항목
-
독무덤 옹관묘(甕棺墓)발견된 바 있고, 화장(火葬) 후의 뼈를 항아리에 매장하는 골호(骨壺)도 일부 확인된다. 또한 공주 마암리 유적에서는 고려시대의 장방형 도관(陶棺)이 발견되었고, 천안 청당동에서 고려시대의 독무덤이 발굴 조사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생활용기인 독그릇을 이용하여 독무덤을 축조한 전통이 드물게 발견된다. 참고문헌
- 시대 :
- 선사, 고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오지그릇형태이다. ③ 중두리 : 독보다 조금 작고 배가 부른 형태이다. ④ 바탱 : 중두리보다 배가 부르고 키가 작다. ⑤ 소래기 : 굽 없는 접시 모양의 넓은 그릇으로 독의 뚜껑으로도 쓰인다. ⑥ 자배기 : 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짝 벌어져 있다. ⑦ 버치 : 자배기보다 조금 깊고 크다. ⑧ 두멍 : 물을 길어 붓고 쓰는 큰 동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
잘 고른 그릇 하나 열 보약 부럽지 않다.우리네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요즘은 음식 못지않게 음식을 담는 그릇에도 신경을 써야하는 현실이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그릇이 특정 음식과 만났을 때는 독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대로 알고 음식을 담아야 한다. 유리,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목기 등 갖은 그릇들이 있는데, 이 중에서 아직까지...
-
드라마 ‘싸인’의 안티몬보다 위험한 건 천연 독?사망하려면 독의 양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상태도 중요하다. 하지만 안티몬이 독성을 갖고 있는 중금속임은 확실하다. 드라마에서 ‘모차르트가 안티몬으로 독살됐다’라는 대사가 등장하는데, 유럽 화가들 중 안티몬에 중독돼 죽은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안티몬(antimon)은 어떤 물질일까? 안티몬은...
-
-
-
독 안에 들다‘독’은 입구가 바닥보다 넓고 배가 볼록하며 양옆에 손잡이가 달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을 말한다. 주로 장을 담그는 데 쓰인다. ‘독 안에 든 쥐’라는 말이 있다. 쥐가 실수로 독 안에 빠지면 그곳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떤 포위망이나 함정 따위에서 아무리 벗어나려 해도 벗어날 수 없는...
-
도깨비鬼)·독갑이[狐魅]·허주(虛主)·허체(虛體)·망량(魍魎)·영감(제주도)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삼국유사≫ 등 여러 문헌에도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삼국시대도 이미 도깨비신앙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추측된다. 인간에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의 양면성을 보이고 있으나 인간을 살해할 만큼 악독...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개구리 독으로 진통제 만든다구?하얀 사기그릇에 담긴 약을 들이미는 포졸 앞에서 소복을 입은 여인이 발광하기 시작한다. 머리가 다 풀어헤쳐질 때까지 억울함을 호소하며 몸을 비트는 여인을...익숙한 광경이다. 사약의 주성분은 ‘부자’라는 독이다. 부자에 있는 ‘아코니틴’이라는 식물성 독은 신경전달물질의 움직임을 방해해 신경과 근육을...
-
혼자 하는 만담과 여럿이 거드는 만담얹어 독만담을 자유자재로 구사하고 있다. 이어서 대화만담으로는 빅타에서 취입한 「선술집과 인생」 중 앞부분을 소개하기로 한다. 선술집에 들어온 노주객은 신불출이며, 선술집 여자는 차홍녀이다. 차홍녀는 그 유명한 「홍도야 우지 마라」의 주연을 맡아 일약 명배우가 되었지만, 1940년 천연두로 사망했다. 이...
-
독쓰인다. 큰 것은 화초무늬 등으로 장식을 하며, 또 기벽(器壁)을 단단히 하기 위해서 서너 줄의 띠를 두르거나 물방울모양으로 凹凸(요철)시키기도 한다. 독에는 주로 곡물, 간장이나 된장을 비롯한 조미료, 술 따위를 담아둔다. 곡물이 담긴 독은 헛간이나 곳간에 두고 조미료가 담긴 독은 집안에서도 햇볕이 잘 쪼이는...
- 성격 :
- 생활용품, 식기
- 유형 :
- 물품
- 용도 :
- 저장용기
- 분야 :
- 생활/식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