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낭만주의 시대의 상상력 상상력의 날개를 펴다이성의 손아귀에 놓여 있던 상상력이 비로소 완전히 해방된 것은 낭만주의 시대이다. 낭만주의는 이 세계를 더 이상 이성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보지 않는 정신적 태도이다. 따라서 낭만주의는 현실이 수수께끼와도 같은 것이며 신비스러운 것이라고 이해한다. 그래서 낭만주의는 현실을 떠나 또 다른 세계로 진입하며...
-
바로크 예술의 상상력 육체와 감각을 해방시키다것이다. 바로크 미술의 이러한 경향은 '예수의 육화(肉化)' 사건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가톨릭교회는 종교개혁에 대항하기 위해 정신적인 것과 육체적인 것을 결합시킨 존재로 예수의 정체성을 강조했고, 그러한 종교관은 바로크 예술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바로크 시대의 사람들은 중세...
-
연금술사 상상력의 천재들억압으로부터 나온 상상력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트는 억압된 욕망은 언제나 되돌아온다고 말했다. 꿈은 현실에서 억압된 욕망이, 정신의 검열관인 초자아가 휴식을 취하는 수면 상태에서 의식으로 되돌아오는 현상이다. 이때 꿈은 약하지만 여전히 작용하고 있는 초자아를 속이기 위해 이미지를 변형하는 작업을...
-
상상하는 인간 아웃사이더가 되다 영원히 상상하는 인간근거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오는 것이며 이성의 빛은 지식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으로 인간 내면에서 인간 스스로에 의해 점화되는 것이다. 계몽주의의 과학정신은 믿음의 세계를 어둠의 세계로 생각하며 자신들이 암흑의 세계를 이성과 지식으로 밝혔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계몽주의자들은 망상이나 환상에 사로잡힌...
-
신들이 사는 나라 차원의 벽을 넘어서, 공간 상상계층화되어 있다. 불교에서는 우주를 삼계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이는 인간의 수행 과정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이 중 첫 번째 세계인 욕계(欲界)는 성과 몸, 정신이 모두 공존하는 세계로 육도, 즉 현실 세계를 의미하며, 색계(色界)는 성이 사라진, 즉 남성과 여성의 개념이 사라지고 몸과 정신만이 존재하는 세계를...
-
인간 생존의 필수조건 상상력 영원히 상상하는 인간철학적 사유에 비해 덜 중요하게 여겨졌다. 아니면 적어도 이성이나 철학으로 발전하는 단계의 과정에 놓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예를 들어 베이컨은 인간정신의 종류에 따라 세 가지 학문을 구분했는데 기억에 기반하는 역사, 상상력에 기반하는 문학, 오성에 기반하는 철학이 그것이다. 이러한 분류는 감성에서 상상력...
-
도전받은 이성, 불합리주의의 문제합리정신을 부정하며 폭력을 찬양하고 개인 상호 간 또는 국가와 민족 간 투쟁을 자연의 법칙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이들은 인간의 행동을 다스리는 원천이 이성이 아니며 무의식과 충동이라고 믿고 있었다. 따라서 불합리한 감정의 폭발은 억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본질로써 분출되었다. 이리하여 본능적 충동...
- 시대 :
- 19세기
-
상상력의 융합 나는 상상한다, 고로 존재한다디지털, 과학 등의 키워드들이 속한다. 그런데 두 개의 큰 축이 수렴됨으로써, 이러한 상반된 키워드들이 서로 연결되고 있다. 오늘날 융합이라고 하는 세계정신은 바로 이런 두 축의 수렴으로부터 나온 현상이다. 앞으로의 미래사회는 이질적인 것이 네트워킹될 수밖에 없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 분명하다. 이성과...
-
무의식 상상이 시작되는 곳사실 이야기가 치료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은 현대에 이르러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고도로 복잡해진 사회가 초래한 인간 정신의 질병들을 이야기가 치료해줄 수 있을 것 같아 보이기 때문이다. 기술적 진보가 가져다 준 물질적 풍요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욕망의 충족을 약속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상품으로 전치...
-
시계가 가져온 상상력 상상력의 끝없는 욕망, 무한한 시간컨베이어 벨트 위 제품의 나사못을 조이는 일을 할 뿐이다. 그리고 결국 그 행동에 노이로제가 걸리면서,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조이려는 강박관념에 빠져 정신병원으로 가게 된다. 이는 인간이 단순한 행위에 종속된 것이라기보다 시간에 종속되어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사실 타이타닉의 침몰 또한, 선장이...
-
아바타 환상의 세계를 현실로 체험하다대해서는 워낙 다양하고 상반된 분석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그것만 설명해도 책을 한 권 쓸 판이다. '앨리스'에 대해서 수많은 정치적, 형이상학적, 혹은 정신분석학적인 해설들이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그 내용들 또한 나름대로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해석의 기반이 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