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사 都事
    종5품으로 경력과 함께 수령관(首領官)이라고 불렸다. 정원은 1도(道)에 1명이며 경력이나 도사 가운데 1명만 두었다. 1388년(우왕 14)에 설치했는데, 경력은 1465년(세조 11)에 폐지되어 이후에는 도사만 남았다. 임기는 1년이었다. 감사가 자리를 비웠을 때는 임무를 대행하고, 감사와 지역을 나누어 도내를 순시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도사 都事
    내용 정원은 2인이었다. 문종 때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이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병합되어 첨의부(僉議府)로 되면서 다른 상서성 관속들과 함께 혁파되었다. 1298년 충선왕에 의해 첨의부의 관직으로 잠시 둔 적이 있으나 곧 혁파되었다. 1331년(충혜왕 1)에는 삼사(三司) 안에 두었다...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 문종시기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도사 都事
    2인이었다. 고려에 정동행성이 처음 설치된 것은 1280년(충렬왕 6)이지만, 낭중 이하의 속관을 둔 것은 1288년안향(安珦)이 원외랑에 임명되면서부터이므로 도사 역시 이 무렵에 설치되었을 것이다. 원나라의 관직임에도 불구하고 정동행성의 다른 속관들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으로만 충원되었으며, 특히 고려의 고위...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288년(충렬왕 14)
    폐지일 :
    1388년(우왕 14)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도사 都事
    내용 품계는 종5품이다. 중앙의 각 관서의 제반 서무를 주관하거나 지방의 관찰사를 보좌하던 관원이다. 도사 가운데도 특히 관찰사의 보좌관으로서의 도사가 주목되는데, 이때의 도사는 경력(經歷)과 함께 수령관(首領官)으로 통칭되기도 하였다. 수령관으로서의 도사와 경력은 고려 말 공양왕 때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도사 都事
    각 관청의 서무를 맡아보았다. 그러나 부서에 따라 임무는 약간씩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이중 의금부 도사는 관리의 감찰을 맡아보았다. 〈경국대전〉에서 의금부 당하관은 경력과 도사를 합쳐 10명을 둔다고만 규정했는데, 〈속대전〉에서는 종6품 도사 5명과 종8품 도사 5명으로 나누었다. 개성부 도사는 태조 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도사 都事
    1288년(충렬왕 14) 무렵 2명을 두었으며, 품계는 종7품이었다. 정동행성은 원나라가 설치한 관청이지만, 관원은 모두 고려의 고위관리로 임명했다. 1356년(공민왕 5) 반원정책을 실시할 때 정동행성이문소를 폐지하면서 관원도 함께 없앴다. 그뒤 1361년에 다시 두었으나, 1388년(우왕 14) 정동행성을 완전히 폐지하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도사 都事
    문종 때 2명을 두었으며, 품계는 종7품이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과 중서문하성을 합해 첨의부로 개편하면서, 다른 상서성의 속관들과 함께 없앴다. 그뒤 여러 번 부활과 폐지를 반복했다. 1390년(공양왕 2) 도평의사사에 경력사를 설치하면서 5·6품의 문관직으로 1명을 두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도사사지 都事舍知
    내용 대일임전(大日任典)의 소속관원이다. 경덕왕 때에 일시 중전사(中典事)로 고쳤다가 후에 옛 이름으로 되돌렸다. 정원은 4인이었으며, 관등이 사지(舍知)에서 대사(大舍)까지인 자로 임용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도사대사 대전사, 都事大舍
    내용 대일임전(大日任典)의 소속관원이다. 경덕왕 때에 일시 대전사(大典事)로 고쳤다가 후에 옛 이름으로 되돌렸다. 정원은 2인이었으며, 관등이 사지(舍知)에서 나마(奈麻)까지인 자로 임용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황사우의 재영남일기 16세기 초, 경상도 도사로 보낸 1년의 시간
    17일에 쓰기 시작해 1520년(중종 15) 9월 8일에 이르러 마침표를 찍었다. 1년 10개월여의 시간이 여기에 담겨 있는 셈이다. 이 기간 황사우는 1년 동안 경상도 도사(都事)로 근무했고, 임기를 마친 뒤에는 서울의 중앙 관서로 자리를 옮겼으므로 일기에는 지방 관료와 중앙 관료로서의 생활이 두루 적혀 있다고 할 수...
  • 의금부 금오, 義禁府
    뒤에 도부외는 없어지고 도성 내의 금란은 한성부의 소관이 되었다. 〈속대전〉에 의하면 〈경국대전〉에 규정된 경력과 도사를 모두 참상도사(參上都事)와 참외도사(參外都事)라고 했으며, 참외도사는 900일의 재직임기가 만료되면 6품으로 승급했다고 한다. 또 〈속대전〉에는 경력을 감원하고 정원 10명을 나누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경력사 經歷司
    이들이 백첩(白牒)으로 전곡을 출납하는 등의 폐단을 자주 야기시켰으므로, 이를 감독하기 위해 경력사를 설치하였다. 변천 여기에는 경력(經歷)·도사(都事) 각 1인이 배속되어 있었다. 경력은 3·4품의 관원으로 임명했으며, 도사는 5·6품의 관원으로 충원하였다. 이 도평의사사의 경력사가 조선조에 이르러 어떻게...
    시대 :
    고려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 후기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