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중근 (동의어 도마 안중근) 응칠, 安重根순국 직전 동포들에게 남긴 의사의 마지막 유언 내가 한국독립을 회복하고 동양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3년 동안을 해외에서 풍찬노숙하다가 마침내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이곳에서 죽노니, 우리들 2천만 형제자매는 각각 스스로 분발하여 학문을 힘쓰고 실업을 진흥하며, 나의 끼친 뜻을 이어 자유 독립을 회복...
- 출생 :
- 1879년 9월 2일, 황해도
- 사망 :
- 1910년 3월 26일
- 수상 :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년
-
안중근 (동의어 도마 안중근) 한말의 독립운동가1909년 중국 하얼빈에서 초대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여 처단한 구한말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순흥, 자는 응칠, 세례명은 토마스로 양반가에서 태어났으며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이후 1906년부터 계몽운동을 벌였다. 1907년 전국적으로 의병이 일어나자 강원도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1909년 단지회라는 비...
- 출생 :
- 1879년 9월 2일
- 사망 :
- 1910년 3월 26일
- 본관 :
-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 자 :
- 응칠
-
안중근 (동의어 도마 안중근) 항일 독립투사의 표상민족의 이름으로 안중근(安重根, 1879~1910)은 실천적인 삶 속에서 민권의식에 철저했고 국가와 민족을 누구보다도 사랑했으며, 민족의 삶을 유린하고 평화를 깨는 무도한 자를 응징했다. 그는 우리 민족에게 하나의 신앙의 대상이 될 정도로 숭앙을 받고 있다. 그의 생애는 짧았으되 그의 정신은 영원히 전승될 것이다....
- 출생 :
- 1879년
- 사망 :
- 1910년
-
안중근 (동의어 도마 안중근) 응칠, 安重根구한말의 독립운동가로 삼흥학교를 세우는 등 인재 양성에 힘썼다.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고 사형당했다. 사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다. 총 한 자루로 제국주의를 처단하다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30분 헤이룽 성 하얼빈 역. 일본의 정치 거물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의 문무 관병과 악수를...
- 출생 :
- 1879년
- 사망 :
- 1910년
-
안중근 (동의어 도마 안중근) 응칠, 安重根1879년 9월 2일 황해 해주부(海州府) 광석동(廣石洞)에서 아버지 안태훈(安泰勳)과 어머니 조마리아(趙마리아) 사이에서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태어날 때 북두칠성과 같은 일곱 개의 점이 가슴에 있어, 북두칠성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는 뜻으로 할아버지 안인수(安仁壽)가 응칠(應七)이란 이름을 지어 주었다...
- 출생 :
- 1879년 9월 2일, 황해 해주(海州)
- 사망 :
- 1910년 3월 26일
- 관련 사건 :
- 하얼빈 의거
- 본관 :
- 순흥(順興)
- 주요활동 :
- 계몽교육운동, 의병전쟁, 하얼빈의거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삼흥학교, 돈의학교, 단지동맹
-
안중근 (동의어 도마 안중근) 安重根일제강점기 이토저격사건과 관련된 독립운동가. 의병장, 의사(義士).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황해도 해주 출신. 할아버지는 진해현감 안인수이다. 아버지 진사 안태훈(安泰勳, 安泰勛)과 어머니 조씨(趙氏) 사이의 3남 1녀 중 맏아들이며, 아내는 김아려(金亞麗)이다. 어려서는 안응칠(安應七)로 불렸고 해외생활 중...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79년(고종 16)
- 사망 :
- 1910년(순종 3)
- 경력 :
- 대한의군 참모중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이토저격사건
- 직업 :
- 독립운동가, 의병장, 의사(義士)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