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랑도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농림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없음 ㆍ타법에...
- 면적 :
- 3,273m 2
- 좌표 :
- 37° 04′ 24″ N, 125° 57′ 19″ E
- 해도번호 :
- 04932015
- 지번 :
- 덕적면 백아리 산186
- 소유현황 :
- 국유지(산림청)
- 육지와의 거리 :
- 인천항에서 약 73.1km, 유인도인 백아도에서 약 0.3km
-
도랑선배 청정각씨 노래채록본, 임석재(任晳宰) · 장주근의 1965년 채록본, 김태곤(金泰坤)의 1978년 채록본으로 조사 · 발표되었다. 「도량선배 청정각씨 노래」는 이 중 「도랑선비」 또는 「도랑축원」에 연행되는 서사무가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줄거리 청정각씨가 도랑선배(선비)에게 시집을 가게 되었는데, 도랑선배가 신부 집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도랑갖춘돌널무덤 周溝石棺墓개설 매장주체부 주변에 도랑이 돌려져 있는 석관묘로, 도랑의 형태로는 방형, 장방형, 세장방형의 것이 있다. 도랑 내에서 의례 행위와 관련된 곡물, 석기, 토기 등이 출토되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도랑갖춘돌널무덤은 현재 돌대문토기와 가락동식토기가 중복되어 분포하고 있는 북한강 유역, 남한강 상류역, 금강...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도랑춤보낼 때의 의례를 구체화 내지는 강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점(占)을 치거나 사설의 보조수단으로 행하는 수도 있다. 제주도의 무속무용을 가리켜 ‘도랑춤’ 또는 ‘감장도는 춤’이라 하는데, 춤의 구조는 제자리 회전과 원선상(圓線上)의 회전을 하면서 몇 가지의 손짓과 절을 가미하게 되고, 춤이 끝나면 흔히...
- 성격 :
- 춤, 굿춤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소장/전승 :
- 제주도
-
해자 주황(周隍), 垓子않는 경우도 있다. 해자가 주로 발견되는 시설물은 성곽과 고분이다. 선사시대 취락의 주위에 돌린 환호(環濠)도 해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무덤의 주위에 돌린 도랑은 일반적으로 주구(周溝)라고 부르는데 삼국시대 대형 고분을 감싼 도랑을 해자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특히 영산강 유역과 일본열도 각지에 분포...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고대/삼국/백제 , 고대/삼국/신라 ,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환호 環濠개설 취락을 감싸는 형태의 도랑이 만들어지는 시점은 청동기시대부터이다. 이러한 취락을 환호취락(環濠聚落)이라고 부른다. 환호취락은 이후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에도 이어지고 삼국시대 이후에는 본격적인 성곽의 축조와 함께 자취를 감춘다. 하지만 통일신라시대 청원 쌍청리유적에서 보듯이 일부 명맥이...
- 시대 :
- 선사/청동기, 선사/철기, 고대/초기국가/삼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긴다리도랑반날개참고사항 국내최초기록: Ahn, K-J., 1999. Three Falagriini species new to korea (Insecta: Coleoptera: Staphylinida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7(1): 125-128.
- 분류 :
- 딱정벌레목 > 반날개과
- 학명 :
- Myrmecocephalus sapida (Sharp, 1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