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도기 到記조선시대에 실시된 모임의 방명록 또는 유생(儒生)의 출석부. 내용 시도(時到) 또는 시도기(時到記)라고도 한다. 모임의 방명록으로서의 도기는 치서(齒序 : 나이의 차례)를 정하는 자료로도 쓰이기 때문에, 모임에 도착한 날짜는 물론, 본인의 성명·관향·자·호·생년 등을 적는다. 예컨대, 서원이나 향교에서 춘추...
- 시대 :
- 조선
- 성격 :
- 행정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시행처 :
- 서원, 향교, 성균관, 사학
- 분야 :
- 교육/교육
-
도기 陶器부산 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조선 시대의 도기. [개설] 도기(陶器)란 넓은 의미에서 인공 유약이 입혀지지 않는 질그릇을 총칭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자기가 만들어지는 시기에 자기보다 소성 온도가 낮은 질그릇을 가리킨다. 중국에서는 넓은 의미에서 도기로 부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도기를 토기 및 자기와 구분해...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도기 연유인화문 항아리 일괄 녹유 인화문 뼈항아리[綠釉 印花文 骨壺], 陶器..산화철이나 산화동을 첨가하여 산화염으로 구워낸다. 산화동을 첨가하면 녹색을 띠고, 산화철을 넣으면 갈색으로 발색한다. 우리나라에서 제작한 연유도기는 녹색 계열이 많아서 녹유(綠釉)로 통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유 도기는 한국에서 중국의 영향을 받아 삼국시대부터 등장하였으며, 도기뿐만 아니라 기와와 전돌...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작품/조각·공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법계도기총수록 총수록, 法界圖記叢髓錄개설 『법계도기총수록(法界圖記叢髓錄)』은 의상(義湘, 625~702)의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와 이에 대해 의상의 문손(門孫)들이 한 해석, 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문헌의 구절을 수록한 책이다. 편자는 미상이나, 13세기 중반에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재조장경(再雕藏經)의 간행에 관여했던 천기...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陶器 騎馬人物形 角杯개설 1993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국립경주박물관 소장의 국은(菊隱) 이양선(李養璇) 수집품의 하나이다. 갑옷을 입은 인물이 전신을 갑옷으로 감싼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였다. 내용 토기는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의 모습으로 높이 23.2㎝, 폭 14.7㎝이다. 받침대에는 약간의 돌대가 있는 2단의 띠가 둘러싸여 있고...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동산도기박물관 東山陶器博物館, DONGSAN POTTERY MUSEUM개설 및 설립목적 동산도기박물관은 토도기(土陶器)문화를 재조명하고 국민들에게 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이정복(李正馥) 의학박사가 1997년에 설립한 제1종 전문박물관이다. 선사시대부터 최근까지 수 천년동안 사용해온 토도기(土陶器)와 도자기 등의 유물을 체계적으로 수집ㆍ보존ㆍ전시ㆍ연구함으로써, 전통문화...
- 시대 :
- 현대
- 위치 :
- 대전광역시 서구 도마동 107-1(제1관)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 400-4(제2관)
- 설립 :
- 1997년 3월 1일
- 성격 :
- 박물관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정복(李正馥)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