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삼복 더위 날리는 ‘전복 삼계탕’한여름 복날 별미는 역시 닭백숙이다. “오늘은 닭 좀 삶지”아버지의 말씀 한마디면 저녁 밥상에 어김없이 오르던 닭백숙. 찹쌀과 마늘이 더 듬뿍 들어간 영양식으로 겨울에도 식구들 기력이 없어 보인다 싶으면 아버지의 말씀이 없어도 어머니는 슬그머니 가마솥에 닭을 삶아내셨다. ▶ 재료 영계 1마리 450g, 전복...
-
더위팔기 매서아침 일찍 일어나서 이웃에 사는 친구를 찾아가 그의 이름을 부른다. 친구에게 이름이 불린 아이가 무심코 대답을 하면, ‘내 더위 사가라.’ 또는 ‘내 더위 네 더위 먼 데 더위.’ 하고 외친다. 이렇게 하면 먼저 이름을 부른 사람은 더위를 팔게 되고, 대답을 한 사람은 친구의 더위를 산 셈이 된다. 그러나 친구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건강한 밥상] 삼복 더위 보양식 유린기라는 뜻의 중국요리이다. 야채위에 튀긴 닭고기와 알싸한 맛의 파채를 올린 후 청, 홍고추를 넣은 새콤한 간장소스를 부어먹는 유린기가 입맛을 돋운다. 삼복더위가 몰려오는 요즘 삼계탕 대신 색다른 맛으로 더위를 이겨내자. 재료 닭다리살 300g, 생강 1쪽, 마늘 3쪽, 정종 2Ts, 참기름, 대파 흰부분 1/2쪽, 계란흰자...
-
흰더위지기 백호(白蒿)잎 어긋나는데 뿌리잎은 달걀꼴로서 2회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선형을 이룬다. 줄기잎은 댓잎피침형이다. 처음에는 양면에 거미줄 같은 털이 나 있다. 표면은 녹색이고 잔털과 오목한 점이 있으며 뒷면에는 흰 털이 촘촘히 난다. 가장자리에 대개 톱니가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2~3cm이다. 꽃 7~8월...
- 분류 :
- 낙엽 활엽 관목
- 학명 :
- Artemisia iwayomogi for. discolor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기슭의 양지, 들
- 번식 :
- 분근·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
- 생약명 :
- 한인진(韓茵陳)
- 키 :
- 100~120cm
- 과 :
- 국화과
- 채취기간 :
- 6~7월경(줄기가 목질화되어 단단하게 굵어졌을 때)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10~15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더위지기·털산쑥의 온포기
-
정선의 박연폭포로 찜통더위를 날려볼까요?한여름이 세상을 점령하면 사람들은 낮에는 찜통더위에, 밤에는 열대야에 시달립니다. 이러한 삼복더위가 찾아오면 시원한 옛 그림을 보며 마음을 다스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바로 겸재 정선의 '박연폭포'가 그런 그림입니다. 작품의 크기는 세로 119센티미터, 가로 52센티미터인데 겸재가 그린 진경산수화는 자연...
-
더위를 먹다 더위 먹다여름철의 더운 기운이 ‘더위’이다. ‘서기(暑氣)’, ‘서열(暑熱)’이라고도 하며, 반대말은 ‘추위’이다. ‘무더위’, ‘불볕더위’, ‘땡볕더위’, ‘삼복더위’, ‘찜통더위’, ‘한더위’ 등으로 더위의 종류를 구분하기도 한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여름철 더위를 이기지 못하여 생기는 병을 뜻하는 말로 ‘서기...
-
더위를 팔다 더위 팔다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이기도 하다. 그래서 정월대보름에 행하는 세시풍속으로는 그해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거나 점치는 것들이 많다. 그중 하나가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겪을 더위를 미리 파는 것이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이웃이나 친구를 찾아가 이름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
-
-
더위를 이기는 보양식, 복숭아!더운 여름이 제철이고 과일임에도 더위를 이기는 보양식품인 과일이 있다. 바로 복숭아. 복숭아에는 주로 수분과 당분, 유기산, 비타민 A 등 몸에 좋은 성분이 많아 피로회복과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 특히 복숭아에는 아스파르트산이 많이 함유돼 있어 간 해독에 좋고 만성피로를 해소해 준다. 또 칼륨이 많이 함유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