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파 大破
    장비의 원상 회복을 위하여 재생이나 분해 수리가 필요한 상태. 원상 회복에는 창 정비가 필요하다.
  • 조충 담약(湛若), 趙冲
    여진족의 황기자군(黃旗子軍)이 압록강을 건너 인주(麟州) · 용주(龍州) · 정주(靜州) 등지의 경계 내에 침입하자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되어 이를 대파(大破)하고, 그 공으로 파면 이전의 관작으로 복직되었다. 1218년에 수사공 상서좌복야(守司空尙書左僕射)가 되어 개경으로 돌아왔으나, 거란족의 침입이...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왕우 王羽, Wang Yu
    권법을 구사하는 새로운 캐릭터로 재탄생하여 동남아시아를 뜨겁게 달구었던 최고의 흥행작 <용호금강>(龍虎金剛, 1973)의 속편인 <독비권왕 대파혈적자>(獨臂拳王大破血滴子, 1976), <소오강호>(笑傲江湖, 1978) 등의 작품에서 녹슬지 않은 무술 실력과 카리스마를 보여준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는 많은 후배...
    출생 :
    1944년 3월 28일 중국 장쑤성
    본명 :
    왕우(王羽)
    데뷔 :
    <호협섬구>(虎俠殲仇, 1966)
  • 진주 노비 반란
    수밖에 없었다. 이때 진주에서 정방의와 사이가 좋지 못한 20여 명이 합주의 노올부곡(奴兀部曲)의 적당(賊黨)에게 응원을 청하여 정방의를 공격하였으나 오히려 대파(大破)되었다. 그러나 정방의도 진주 사람들이 일어나 그 무리와 함께 패몰되어 난은 1년 만에 진압되었다. 동경의 반란 (경주 민란) 진주 민란 (조선...
    도서 위키백과
  • 의병장 홍자수 묘
    電)․뇌(雷)․계남(季男) 등 아들 5형제와 생질(甥姪) 이덕남(李德男)으로 더불어 의병부대를 지휘, 진천(鎭川) 엽둔고개에서 진(陳)을 치고 있던 왜적을 대파(大破)하는 등 개전(開戰) 초부터 크게 기세를 올렸다. 그 후 의병대장기(義兵大將旗)를 앞세워 모집한 의병은 3천여명에 이르렀는데, 계속 복병(伏兵)과...
    도서 위키백과
  • 고성 김씨
    소(魚有沼)의 종사관(從事官)으로 공을 세워 함길도 순무중군(咸吉道巡撫中軍)을 역임(歷任)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김우추 때 왜적(倭敵)을 대파(大破)하여 수문장(守門將)에 오른 월촌(月村) 김사홍(김仕弘)과 숙종 때 평해군수(平海郡守)를 거쳐 순천부사(順天府使)를 지냈다. 김봉섭이 체결(締結)되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