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순정효황후 대지월(大地月), 純貞孝皇后皇太弟)라 하였다. 1907년에 여학(女學)에 입학하여 황후궁에 여시강(女侍講)을 두었다. 1910년 국권이 강탈되면서 그 지위도 왕후로 격하되었다. 만년에 고독과 비운을 달래기 위하여 불교에 귀의, 대지월(大地月)이라는 법명을 받았고, 낙선재(樂善齋)에서 심장마비로 죽었다. 유릉(裕陵)에 순종과 합장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도성대지도 都城大地圖정보에 대한 기호를 가장 체계적으로 사용한 서울 지도 중의 하나이며, 주변 산세의 표현에서 진경산수화의 회화적 기법이 가장 훌륭하게 담겨 있는 작품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도성대지도」를 통해 18세기 정교한 대축척 지도의 발달과 우리식 진경산수화의 유행이 서로 결합되고 있음을 잘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젤다의 전설 대지의 기적 The Legend of Zelda: Spirit ..못하면 손님의 평가가 나빠진다. 표지판을 대포로 맞추면 제한속도등이 있는 표지판이 없어지므로 손님을 태우고 있을 때에는 주의를 해야한다. 대지의 기적 (大地の笛) 본 작품의 주요 아이템. 팬파이프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DS본체의 마이크에 숨을 불어 조작한다. 현자와 같이 연주를 해 게임을 진행하거나 노래를...도서 위키백과
-
대지 大地구성과 내용 『대지』는 윤곤강의 첫 번째 시집으로,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과 계급 의식이 반영된 작품집이다. 시인은 자연과 계절의 상징을 통해 죽음에서 생명으로, 억압에서 자유로의 변화를 겨울에서 봄으로의 흐름이라는 자연의 순리와 병치시키며, 나아가 폭력과 어둠에 맞서 생명의 봄을 이끌어낼 인간 주체의...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도서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대지 상리 마을 大地 上里 마을[명칭 유래] 대지 상리(大地上里) 마을은 대지리(大地里)와 상리(上里)를 합성해 붙인 이름이다. 대지리는 상리 마을이 속한 지역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 삼각주 대저 평야의 넓은 땅에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상리는 대지리에 속하였던 7개 자연 마을[동연정 마을·서연정 마을·상리 마을·중촌 마을·중리 1...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대지 중리 마을 大地 中里 마을[명칭 유래] 대지 중리(大地中里) 마을은 대지리(大地里)와 중리(中里)를 합성해 붙인 이름이다. 대지리는 중리 마을이 속한 지역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 삼각주 대저 평야의 넓은 땅에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며, 중리는 상리(上里)와 하리(下里)의 중간쯤에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 [형성 및 변천] 대지 중리...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대지 중촌 마을 大地 中村 마을[명칭 유래] 대지 중촌(大地中村) 마을은 대지리(大地里)와 중촌(中村)을 합성해 붙인 이름이다. 대지리는 중촌 마을이 속한 지역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 삼각주 대저 평야의 넓은 땅에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며, 중촌은 대지리의 중간에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 마을이 옛 둑길을 따라 길게 뻗어 있어 막대기...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대지 하리 마을 大地 下里 마을[명칭 유래] 대지 하리(大地下里) 마을은 대지리(大地里)와 하리(下里)를 합성해 붙인 이름이다. 대지리는 하리 마을이 속한 지역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 삼각주 대저 평야의 넓은 땅에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며, 하리는 대지리 중 가장 아래쪽에 자리 잡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대지리의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어 아래...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대저1동 대지 당산제 大渚一洞 大地 堂山祭위에 시멘트를 사용한 직사각형(ㅠ) 슬래브[앞면 118㎝, 옆면 61㎝, 높이 40㎝]이며, 제단 위에는 향로 1개, 정화수 그릇 2개가 얹혀 있다. ‘대지리대지지신영좌(大地里大地之神靈坐)’라 쓴 위패[가로 10㎝, 세로 15㎝, 두께 5.5㎝]는 제상의 왼쪽 시멘트 바닥에 세워져 있다. 제당 주위에 담장은 없고, 30~60여 년생...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