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쇠고기 채끝살 striploin
    2세가 랭카셔 호튼에 있는 영지를 방문한 자리에서 맛있는 로인스테이크를 대접받은 후, 대단히 만족하여 그 자리에서 검을 들어 나이트 작위를 수여한 까닭에...전한다. 특징 안심과 함께 운동을 하지 않는 부위에 속하여 쇠고기 부위 중에서 가장 연하고 맛있는 부위로 꼽힌다. 안심보다 지방의 분포가 많으며 구울...
    분류 :
    축산물 > 육류 > 쇠고기
    용도 :
    구이용
    영양 성분 :
    단백질, 지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식재료
  • 오키나와 요리 독자적인 식문화를 가진 오키나와
    보통의 소고기에 비해 몇 배 더 높은 가격을 받는다. 생선 요리 섬이 많고 바다에 둘러싸여 있어 생선 요리를 많이 먹을 것 같지만 의외로 생선 요리가 많이 발달하지 않았다. 오키나와에서는 주로 참치와 가다랭이가 많이 잡히며 시장에 가면 동남아시아나 열대 지방에서 볼 수 있는 생선들이 많이 진열되어 있다. 스시...
  • 함흥 농마국수 감자농마국수, 咸興 농마국수
    하며 결혼식과 여러 잔치 때 손님을 대접하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함경도 지방에서는 결혼 적령기에 들어선 청춘 남녀들에게 “언제 국수먹을 수...밀국수에 비할 바 없이 질긴데 그 질김 정도가 소 힘줄보다도 질기고 오들오들 씹히는 것이 특징이다. 감자 농마국수의 꾸미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시대 :
    조선
    유형 :
    음식·약/음식
    분야 :
    생활/식생활
  • 평양온면 平壤溫麵
    국물로 겨울철에 먹는 별미이다. 국수감의 반죽·누르기·씻기 등은 보통 국수 만들 때와 같으나 뜨거운 장국물을 부어내는 것이 다르다. 국물은 주로 닭, 꿩, 소고기로 내며, 조갯국물로 내기도 한다. 온면을 말 때에는 국수대접과 국수사리를 뜨겁게 데워야 하며, 기름을 찬 국수보다 많이 쓰지만 고춧가루는 쓰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북한
  • 키르기스족의 종교 신앙과 민속문화
    젖, 고기 및 각종 유육제품으로, 우유, 양젖, 말젖, 요구르트, 치즈와 소고기, 양고기, 말고기, 낙타고기 등이다. 고기의 요리방법은 조림, 구이, 볶음, 소시지...있다. 키르기스족 음식 가운데서 민족 풍미가 있는 전통적으로 손님에게 대접하는 음식으로는 납인(纳仁, 수조라면에 양고기, 감자, 양파, 당근을 넣는...
    분류 :
    돌궐어족 민족 > 키르기스족
  • 골동면 비빔면
    정도로 삶아서 냉수에 여러 번 헹군 다음 건져 물기를 뺀다. 5. 큰 그릇에 국수를 담고 비빔 양념장을 넣어 비벼서 맛을 낸다. 6. 준비한 고기, 표고버섯, 오이를 고명으로 얹을 것으로 조금씩 남기고 모두 한 데 넣어 고루 비빈다. 7. 비빈 국수를 대접에 담고 위에 남긴 쇠고기, 표고버섯, 황백지단, 고추채를 얹는다...
    분류 :
    주식류 > 국수 및 수제비류 > 국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상하이 요리 입이 즐거운 중국 요리의 향연
    바로 게 요리다. 상하이에서 게 요리는 예로부터 중추절 같은 명절에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내놓았던 고급 음식이었다. 찌고, 졸이고, 술에 담가 먹는 등 다양한...매콤한 쓰촨식 국물은 한국인의 입맛에도 잘 맞는다. 육수, 돼지고기, 소고기, 해산물, 채소와 부재료까지 직접 메뉴판을 보고 일일이 주문해야 하는 경우...
    도서 ENJOY 상하이 | 태그 아시아 , 중국 , 음식
  • 잡채 雜菜
    채소·소고기, 당면 등의 재료를 볶아 참기름으로 고소하게 무쳐 고명을 얹은 음식이다. '채'란 여러 가지 재료를 채썬 뒤 섞어 버무려 먹는 것으로, 잡채는 가장 대표적인 채이다. 만드는 법은 당면을 미지근한 물에 불렸다가 끓는 물에 재빨리 삶아내어 참기름·깨소금·소금으로 맛을 낸다. 채소는 양파·당근·오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떡국
    쓰였다. 준비한 맑은장국이 팔팔 끓기 시작하면 흰 떡을 어슷어슷한 모양으로 얇게 썰어넣고, 흰 떡이 끓어 위로 떠오르면 파를 넣고 잠시 후 합·반병두리·대접 등의 그릇에 담고 웃기를 얹는다. 웃기로는 쇠고기볶음, 지단이 주로 쓰이는데 파산적이 쓰일 때도 있다. 맑은장국은 간을 약간 세게 하여 끓여야 흰떡을...
    성격 :
    음식, 국, 탕
    유형 :
    물품
    재질 :
    양지머리, 꿩고기, 떡, 지단, 파산적
    용도 :
    절식, 주식
    관련 의례 :
    설날, 정조차례
    분야 :
    생활/식생활
  • 임자수탕 깨국탕
    헹구어 건진다. 10. 붉은고추는 갈라서 씨를 빼고 1.5cm × 3.5cm의 직사각형으로 썰어서 전분을 묻혀서 끓는 물에 데쳐내어 바로 냉수에 헹구어 건진다. 11. 대접에 닭고기살 찢은 것을 담고 위에 황백지단, 쇠고기완자, 미나리초대, 표고버섯, 오이, 붉은 고추 등을 얹고 찬 깻국을 붓는다. 참고사항 ''임자(荏子)''는...
    분류 :
    부식류 > 국 및 탕류 > 토장국 > 육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양고기 mutton
    고기. 소고기를 금지하는 힌두교, 돼지고기를 금지하는 이슬람교 등의 종교가 있는 데 비해 양고기는 종교적으로 금기시되는 고기가 아니었기 때문에 ‘고기의 왕’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1인당 소비량 기준으로 주요소비국은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그리스, 우루과이, 아일랜드 등이다. 다리와 등심(마지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식재료
  • 장국상 醬국床
    쓴다. 쇠고기가 널리 보급되기 이전에는 꿩고기를 많이 썼다. 국수로는 메밀국수와 밀국수를 쓴다. 고장에 따라서는 뜨거운 국수장국을 냉면으로 대치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는 메밀이나 밀의 소출이 적었으므로 고래로 국수는 별식의 하나였다. 특히, 국수는 가닥이 길므로 생일 점심이나 신부의 축하 잔칫상에는...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식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