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장군 大將軍고려시대 종3품 무관직. 내용 고려시대 경군에서 상장군 다음가는 직위로, 이군육위 8개 단위부대에 각 1인씩 배속되어 총 8인에 이르렀다. 각 군·위의 부지휘관 임무를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상장군과 더불어 합의기관인 중방(重房)을 구성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무신의 권력집중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시대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한신 한초삼걸, 韓信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한신을 중용해야 한다고 간언했다. 유방은 소하의 조언을 받아들여 한신을 장군으로 임명하려 했으나 소하의 거듭된 청에 대장군으로 임명했다. 대장군으로 등용된 한신은 유방에게 전국의 객관적인 정세 분석과 패권을 차지할 전략을 내놓았다. 이후 한신은 옹왕 장한을 기습하여 제압했다. 이어...
- 출생 :
- 미상
- 사망 :
- BC 196
-
-
근장대장군 近仗大將軍내용 이군은 육위와 함께 고려 중앙군의 기간이었으나, 왕의 측근으로 친위대적 성격이 강하여 그 상장군은 근장상장군, 대장군은 근장대장군으로 불리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현종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관군대장군 冠軍大將軍내용 무산계 29계 가운데 제4계로서 정3품이다. 무산계는 향리나 여진의 추장 등에게 제수된 것으로 무반의 관계가 아니다. → 무산계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시대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운휘대장군 雲麾大將軍내용 995년(성종 14)에 정해진 무산계 29등급의 하나이다. 품계는 종3품으로서 제5계에 해당한다. →무산계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성격 :
- 품계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