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장군 大將軍
    고려시대 종3품 무관직.|내용 고려시대 경군에서 상장군 다음가는 직위로, 이군육위 8개 단위부대에 각 1인씩 배속되어 총 8인에 이르렀다. 각 군·위의 부지휘관 임무를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상장군과 더불어 합의기관인 중방(重房)을 구성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무신의 권력집중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시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대장군 大將軍
    신라 군관의 최고 통솔자.|6세기까지는 일찍이 주에 설치된 정이라는 군관구마다 군주가 파견되어 대외적인 전쟁 활동을 주도했는데, 이것이 장군에 해당한다. 7세기 삼국 간의 전쟁이 최고로 고조되어감에 따라 군대조직이 6정으로 재편되면서 각 정마다 2~4명의 장군이 임명·배치되기에 이르렀다. 이때 이들 6정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대장군 大將軍
    고려시대 무관직의 하나.|2군6위의 8개 부대에 1명씩 배속되어 모두 8명이 있었다. 각 부대의 최고지휘관인 상장군 다음가는 직위로 부지휘관의 임무를 담당했으며 품계는 종3품이었다. 이들 대장군 8명은 정3품의 상장군 8명과 함께 무신들의 최고기구인 중방을 구성하여 군사에 관한 일을 의논했다.→ 중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대장군 大将軍, 大將軍 (東亞)
    대장군(大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다. 고대 중국에서 대장군은 각 장군 가운데서 최상위에 위치한 자를 의미하는 관직이 그 기원은 확실하지 않은데, 이미 전국시대에 그 명칭이 등장하고 있으며, 한나라 이전까지 최고 군사 지휘관의 칭호는 상장군(上將軍)이었고, 진나라의 백기(...
    도서 위키백과
  • 한신 한초삼걸, 韓信
    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한신을 중용해야 한다고 간언했다. 유방은 소하의 조언을 받아들여 한신을 장군으로 임명하려 했으나 소하의 거듭된 청에 대장군으로 임명했다. 대장군으로 등용된 한신은 유방에게 전국의 객관적인 정세 분석과 패권을 차지할 전략을 내놓았다. 이후 한신은 옹왕 장한을 기습하여 제압했다. 이어...
    출생 :
    미상
    사망 :
    BC 196
  • 대장군식당
    [중소벤처기업부 2019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꿩요리는 월악산, 수안보 온천 등과 함께 충주의 3대 명물로 꼽히는데, 대장군식당은 1994년 꿩요리 기능보유자로 지정된 공식 맛집이다. 예로부터 내려오던 궁중요리를 기반으로 꿩요리 본연의 맛을 최대한 살려내며 최고의 꿩요리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기본적...
    위치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송계로 105
  • 근장대장군 近仗大將軍
    내용 이군은 육위와 함께 고려 중앙군의 기간이었으나, 왕의 측근으로 친위대적 성격이 강하여 그 상장군은 근장상장군, 대장군은 근장대장군으로 불리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 현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근장대장군 近仗大將軍
    근장은 국왕의 친위대인 2군의 별칭으로 쓰였으므로, 2군의 부지휘관인 대장군을 근장대장군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6위의 대장군보다 우위에 있었다.→ 대장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정이대장군 Shogun, 征夷大将軍
    동량 가문이 대를 이어 계승하는 경향이 생겼다. 이미 조정을 통제하고 무가를 거느리는 일본의 실질적 통치자를 의미하는 직책이 되었으며, 외국에서는 정이대장군을 국왕으로 간주하는 게 통상적이었다. 에도 시대까지 최고 권력자의 직책으로 존재하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폐지되었다. '정이'(征夷)라는 명칭에서...
    도서 위키백과
  • 관군대장군 冠軍大將軍
    내용 무산계 29계 가운데 제4계로서 정3품이다. 무산계는 향리나 여진의 추장 등에게 제수된 것으로 무반의 관계가 아니다. → 무산계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시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운휘대장군 雲麾大將軍
    내용 995년(성종 14)에 정해진 무산계 29등급의 하나이다. 품계는 종3품으로서 제5계에 해당한다. →무산계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품계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진국대장군 鎭國大將軍
    995년(성종 14)에 무산계 전체 29계 가운데 제3계로, 품계는 종2품으로 정해졌다.→ 무산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방어대장군
진서대장군
삼한벽공도대장군목상
남원 서천리 당산 진서대장군
〈마징가 제트 대 암흑대장군〉을 한국식 코믹스 버전으로 각색한 이세호 작가의 『마징가 제트, 그레이트 마징가와 합동 작전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