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수 로그, 對數
    1이 아닌 양의 정수를 a로 하여 임의의 양수 x에 대해서 x=au의 관계를 만족하는 실수 u는 반드시 존재하고 x와는 1대 1의 대응을 한다. u를 a를 밑으로 하는 x의 대수라고 하고 u=loga⁡x로 나타내며 x를 u의 진수라고 한다. 특히 을 기본으로 하는 것을 자연대수 또는 네이피어의 대수라고 하며 u=ln⁡x로도 쓰고 이론상 ...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수학
  • 대수 大首
    조선시대 왕비가 대례복에 하던 삼각형의 머리모양.|내용 대수는 ≪진서 晉書≫ 여복지(輿服志)의 “대수계(大手髻) 7개의 비녀가 계(髻)를 덮었다.”라는 구절로 미루어 오래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 왕비의 대례복에 하게 된 것은 대례복인 적의(翟衣)에 하던 적관(翟冠)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의생활
  • 대수 代囚
    조선시대 죄수를 대신하여 관계자 또는 근친을 죄수로 구속하여 복역하게 하던 제도.|내용 죄수가 병 또는 사고로 복역을 못하거나 범인을 체포하지 못하였을 때 관계자 또는 근친을 대신 수금, 복역하게 하던 제도이다. 이때 대신 수금될 자는 본래의 죄수보다 관계상 지위가 낮은 사람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따...
    시대 :
    조선
    성격 :
    행정제도, 사법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로그 대수, logarithm
    a>0, a≠1일 때, 양수 N에 대하여 ax=N을 만족하는 실수 x는 오직 하나 존재한다. 이 실수 x의 값을 x=logaN과 같이 나타내고, a를 밑으로 하는 N의 로그(logarithm)라고 한다. 이때 N을 logaN의 진수라고 한다. x=logaN (a : 밑, N : 진수) 로그의 기본 성질 a≠1, a>0, x>0, y>0일 때, • logaa=1, loga1=0 • log...
  • 로그 대수, logarithm
    예를 들어 bx=N에서 b가 10이고 N이 100이면 x는 2이다. 이를 밑 10에 대한 100의 로그라 하며, log100=2로 쓴다. 로그는 천문학과 같이 큰 수를 계산하는 분야에서 많이 이용된다. 영국의 네이피어가 처음 발견했으며, e =2.71828……을 밑으로 사용하는 로그는 그의 이름을 따 네이피어 로그, 혹은 자연로그라 한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대수 大綬
    유물설명 대수(大綬)는 훈장 정장(正章)과 한 벌로,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에 드리우는 띠이다. 연두색 비단에 정장 부착 부분에는 둥글게 꽃모양을 접어 드리웠다.
    분류 :
    유물 > 장신구
    크기 :
    가로: 72cmcm, 너비: 10cmcm, 최대너비: 18.5cmcm
    재질 :
    사직, 견
  • 대수 帶水
    한강의 다른 이름으로서, 삼국시대 초기에 한반도의 중간 허리부분을 띠처럼 두르고 있다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유형 :
    자연물
  • 원삼 (동의어 대수) 圓衫
    부녀의 예복으로 갖추는 웃옷의 하나.|대의·대수(大袖)·장삼(長衫)이라고도 한다. 원삼은 통일신라 제30대 문무왕 4년(664) 예복을 개혁하는 가운데 중국 당나라의 복식제도를 받아들여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이것이 오랜 시일이 흐르는 동안에 제식·제도면에서 한국화되어 오늘의 원삼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민정중 (동의어 대수) 閔鼎重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여흥. 자는 대수(大受), 호는 노봉(老峯). 아버지는 관찰사 광훈이며, 어머니는 이조판서 이광정(李光庭)의 딸이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649년(효종 즉위) 정시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성균관·사간원·홍문관의 관직을 두루 거쳤다. 그뒤 동래부사·전라어사·충청어사 등을 지내고...
    출생 :
    1628(인조 6)
    사망 :
    1692(숙종 18)
    국적 :
    조선, 한국
  • 대수 (환론) Algebra (ring theory), 環上の多元環
    추상대수학에서 대수(代數, llang)는 쌍선형 곱셈을 갖춘 가군이다. 호환되는 환과 가군 구조를 갖춘 대수 구조에서 곱셈 항등원과 곱셈 결합 법칙을 생략하여 얻는다. 가환 유사환 R 위의 대수 (A,+,\{r\cdot\}_{r\in R},*)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키는 대수 구조다. (A,+,\{r\cdot\}_{r\in R})는 R의 가군이다...
    도서 위키백과
  • 대수
    대수는 다음을 의미한다. 계백의 등장인물 두근두근 내 인생의 등장인물 자유부인 2017의 등장인물 대수(大綬)는 세계 각국의 1등급 훈장 수훈자에게 부장(副章), 메달과 함께 주어지는 띠이다. 대수(大數)는 큰 수를 의미하는 한자어이다. 대수(代數)는 수학적 구조를 다루는 대수학을 뜻한다. 대수(代數)는 환이며 동...
    도서 위키백과
  • 기호의 사용 (관련어 대수)
    대수의 핵심은 방정식에서 수를 기호로, 보통은 알파벳 문자로 대신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 덕분에 수에 대한 일반적인 규칙을 식으로 만들고 미지의 양을 다룰 수 있게 되었다. 변수와 상수 간단한 식 y=x+2를 보자. 이 식에서 문자 x와 y는 어느 값이나 될 수 있기 때문에 변수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x=2이면 y=4이...
    도서 손안의 수학 | 태그 수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3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