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대수 大首조선시대 왕비가 대례복에 하던 삼각형의 머리모양. 내용 대수는 ≪진서 晉書≫ 여복지(輿服志)의 “대수계(大手髻) 7개의 비녀가 계(髻)를 덮었다.”라는 구절로 미루어 오래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 왕비의 대례복에 하게 된 것은 대례복인 적의(翟衣)에 하던 적관(翟冠)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
-
대수 代囚조선시대 죄수를 대신하여 관계자 또는 근친을 죄수로 구속하여 복역하게 하던 제도. 내용 죄수가 병 또는 사고로 복역을 못하거나 범인을 체포하지 못하였을 때 관계자 또는 근친을 대신 수금, 복역하게 하던 제도이다. 이때 대신 수금될 자는 본래의 죄수보다 관계상 지위가 낮은 사람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따...
- 시대 :
- 조선
- 성격 :
- 행정제도, 사법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로그 대수, logarithma>0, a≠1일 때, 양수 N에 대하여 ax=N을 만족하는 실수 x는 오직 하나 존재한다. 이 실수 x의 값을 x=logaN과 같이 나타내고, a를 밑으로 하는 N의 로그(logarithm)라고 한다. 이때 N을 logaN의 진수라고 한다. x=logaN (a : 밑, N : 진수) 로그의 기본 성질 a≠1, a>0, x>0, y>0일 때, • logaa=1, loga1=0 • log...
-
-
대수 大綬유물설명 대수(大綬)는 훈장 정장(正章)과 한 벌로,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에 드리우는 띠이다. 연두색 비단에 정장 부착 부분에는 둥글게 꽃모양을 접어 드리웠다.
- 분류 :
- 유물 > 장신구
- 크기 :
- 가로: 72cmcm, 너비: 10cmcm, 최대너비: 18.5cmcm
- 재질 :
- 사직, 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