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세 大世
    삼국시대 선술을 체득하기 위해 중국으로 건너간 신라 진평왕대의 귀족.|내용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평왕 9년(587)조에 의하면, 대세는 내물왕의 7대손 이찬(伊飡) 동대(冬臺)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세속사에는 관심이 없고, 풍운을 타고 허공을 날아다니며 천하를 주유하는 선술(仙術)에 심취하였다. 진평왕...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도교인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도교
  • 대세 代洗, baptismus simplex(privatus)
    ≪한불자전≫에서는 사적 세례(私的洗禮, bapteme prive) 혹은 약식세례(略式洗禮, ondoiement)라고 풀이하고 있다. 즉 대세란 세례를 베풀 수 있는 사제를 대신하여 예식(禮式)을 생략하고 영세를 베푸는 것으로 비상세례라고도 한다. 이 때 세례를 베푸는 자가 생수(生水)로 세례자를 씻기고 “나는 성부와 성자와 성...
  • 대세 代洗, private baptism
    정식 세례성사를 대신하여 비상 조치로 베푸는 세례. 죽을 위험에 처하거나 전쟁 또는 박해 등으로 세례성사 집행자인 사제가 없을 경우에 한해 집행한다.|정식 세례성사를 대신하여 비상 조치로 베푸는 세례. 죽을 위험에 처하거나 전쟁 또는 박해 등으로 세례성사 집행자인 사제가 없을 경우에 한해 집행한다.
  • 대세 代洗
    내용이 없습니다|내용이 없습니다
  • 대세, 조건 條件 代洗, Baptism, Conditional
    내용이 없습니다
  • 왜 비빔밥 정신이 시대적 대세인가
    산다"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지만, 섞이는 건 뭉치는 것과는 다르다. 섞이는 건 각자의 개성과 의견을 존중하면서 뭉치는 것이다. 그런 비빔밥 정신이 시대적 대세로 떠오르고 있는데, 그게 바로 컨버전스니 융합이니 하는 것이다. 컨버전스(convergence)를 위키피디어에서 찾아보면 경제, IT, 문학, 음악, 수학, 자연...
  • 미래의 에너지, 절약과 효율이 대세!
    오늘은 2023년 6월 17일. 봄이 잠시 머무르나 싶더니 연일 섭씨 30도를 웃도는 찜통더위가 유월을 점령해 버렸다. 새내기 신입사원 김새경 씨는 가장 먼저 사무실에 도착했다. 사전 인식장치로 사무실 문이 자동으로 열리고 조명도 알아서 켜지더니 친근한 안내음이 들린다. “실내 온도를 몇 도로 유지할까요?” “오늘...
  • 요즘은 보행자를 위한 자동차가 대세!
    자동차와 보행자가 충돌할 때 절대 약자는 보행자다. 하지만 정작 자동차의 안전 기술은 대부분 차 밖의 사람이 아닌 차 안의 사람을 위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차를 살 때 차 밖보다는 차 안의 안전함을 따지게 되는 게 사람이고, 물건을 사는 사람의 요구를 따르는 게 기업이기 때문이다. 기술적으로도 차 안의 승차자...
  • 2023년 미래 산업, 이종 간 융합이 대세!
    2023년, 떠오르는 신생기업 (주)미래㏇의 면접시험은 상상을 초월한다. 제1차 면접은 ‘자신만의 요리’. 네 사람이 한 팀이 되어 시험장에 마련돼 있는 100여 가지의 재료를 가지고 자기 팀만의 독특한 요리를 만드는 것이다. 평가 기준은 요리의 독창성과 팀워크다. 기존의 요리를 잘 만드는 게 아니라 지구상에 없는...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대세지보살상 세지, 大勢至菩薩像
    삼존불의 오른쪽 협시보살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왼쪽에 위치한 자비를 상징하는 관세음보살과 함께 삼존불로 제작된다. 대세지보살은 세지 또는 득대세(得大勢)라고도 하며, 지혜의 빛으로 이 세상의 모든 것을 골고루 비춘다는 뜻에서 무변광(無邊光)이라고도 부른다. 정토교의 경전인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도선사 목조아미타불 ․ 대세지보살상 도선사 목조 아미타여래·대세지보살좌상, ..
    밋밋하며 짧은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었는데 거북목처럼 약간 앞으로 숙인 모습이다. 별도로 만들어 삽입한 손은 하품중생인을 결하고 있다. 우협시 보살인 대세지보살상은 높이가 62.5㎝로서 본존인 아미타불보다 조금 작게 만들었다. 구름 문양과 불꽃 보주 문양으로 이루어진 입식이 가득 달린 크고 화려한 보관을...
    문화재 지정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1호
    성격 :
    불상
    유형 :
    유물
    크기 :
    아미타불 높이 70㎝, 대세지보살 높이 62.5㎝
    재질 :
    목조에 금칠
    제작시기 :
    1740년
    분야 :
    예술·체육/조각
    소장/전승 :
    도선사
  • 구례 천은사 목조관세음보살좌상 및 대세지보살좌상 구례 천은사 목조관음보살상 및 대세지보살..
    삼존불좌상(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이 제작되었던 듯하나, 현재 주존(主尊)인 본존불상(本尊佛像)은 전하지 않고 협시(夾侍)인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과 대세지보살상(大勢至菩薩像)만 남아 있다. 내용 구례 천은사 극락전 주불(主佛)의 협시불(夾侍佛)로 조성된 상으로, 현재 천은사 명월료(明月寮)에 봉안되어 있다...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불상
    분야 :
    예술·체육/조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