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북 大北
    조선 중기 북인에서 나누어진 당파의 하나(→ 붕당정치).|선조 초기에 동서분당이 일어났고, 1591년(선조 24)에는 세자책립 문제로 해서 서인 정철이 정권에서 물러나고 동인이 집권하게 되면서 서인의 탄핵문제에 있어서 강경파인 북인과 온건파인 남인으로 분립했다. 그리고 임진왜란 이후 집권하게 된 북인은 1599...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대고 큰북, 大鼓
    대고는 북의 일종으로 큰 북을 가리키는 일반 명칭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북(소고, 행고)에 비해 큰 북을 가리키며, 궁중과 군례, 농악에서 조금씩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궁중음악에 사용된 대고라는 명칭은 통일신라 이후 고려, 조선의 기록에서 확인되며, 건고나 진고, 교방고와 같은 의례용 북과 동일시된 예가 많다...
    시대 :
    조선
    유형 :
    물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타이베이 고풍스러운 전통 문화와 화려한 현대 도시의 공존
    타이완의 수도 타이베이(台北)는 타이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그린 시티이다. 타이베이의 시간을 돌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일찍이 기원전 4000~2500년의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다는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지리적으로는 동아시아 해상 교통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어 17세기 스페...
    행정구역 :
    台北市(국번: 02)
    사이트 :
    fun.taipei.gov.tw
  • 대북 (정치)
    정당 정보 대북(大北)는 조선시대 붕당 가운데 하나로, 북인의 한 계파이다. 선조 시대에 생겨난 당파인 동인(東人)이 정여립 역모 사건을 계기로 남인, 북인으로 나뉘었는데, 이 가운데 북인 정파가 광해군과 영창대군 지지를 두고 다시 대북(大北)과 소북(小北)으로 분파되었다. 분파 시기는 북인이 정권을 차지했던...
    도서 위키백과
  • 대북
    대북은 다음을 가리킨다. 대북(大北)은 북인의 한 당파이다. 대북(臺北)은 한국어의 한자어로 중화민국의 수도인 타이베이시를 가리킨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대북제재결의안 對北制裁決議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2016년 3월 2일(한국시각 3일 0시) 북한의 4차 핵실험과 로켓발사에 대응한 새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15개 이사국 만장일치로 공식 채택했다. 북한이 1월 6일 4차 핵실험을 한지 57일만이다. 채택 과정 2016년 2월 25일 미국과 중국은 대북제재 결의안 초안에 합의했다. 다음날 새벽...
  • 대북화해협력정책 햇볕정책, 對北和解協力政策
    개설 김대중 정부의 대북포용정책(3대 원칙은 무력도발 불용, 흡수통일 반대, 평화협력 및 교류 추진)의 기본적인 틀이다. 이전 정부가 맺었던 북한과의 관계는 형식적이고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적대적이었다는 고찰에서 출발한다. ‘선평화 후통일’을 위해 교류를 기반으로 한 화해와 협력 등을 강조한 포용...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대북방송 對北放送
    개요 북한이 아닌 지역에서 북한 청취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송이다. 한국에서는 대북 심리전의 하나로 단파나 중파 라디오 등을 북한을 향해 송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라디오를 통해 국내·외 주요 소식과 대한민국의 발전상과 문화 등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대북 심리전이란 대북방송, 전단 살포, 대형 전광판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국방 , 방송
  • 유엔 대북제재 UN 對北制裁
    제재의 정의 유엔 대북제재(UN 對北制裁)의 범주에는 군사제재와 경제제재가 있다. 군사제재 군사적 제재란 무력시위, 공중 · 해상 · 육상봉쇄, 전면적 무력 침략, 전면적 · 부분적 기습공격 등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유엔헌장 제7장 제41조에 의거 유엔안보리가 세계 평화와 안보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최후의...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제2차 북방전쟁 대북방전쟁, 第二次北方戰爭
    전쟁의 결과로 발트 해 지역에서 스웨덴의 영향력이 약화되었으며 러시아가 이 지역의 주요세력으로 부상했다. 16, 17세기 스웨덴이 발트 해 연안에서 영토를 팽창함에 따라 이웃한 국가들과 대립하게 되었다. 러시아로서는 스웨덴이 카렐리아·잉그리아·에스토니아 및 리보니아 등을 장악함으로써 발트 해로의 접근을...
  • 이이첨 조선 중기의 문신
    그를 비호하던 광해군은 성균관에서 유생들을 모조리 내쫓았고, 이듬해는 김직재의 무옥(誣獄)을 통해 소북파 인사 100여 명을 처단해 버렸다. 이로써 대북파는 남인과 결별하고 소북파를 축출함으로써 정사를 주도하게 되었지만 영창대군이 살아있는 한 언제든지 광해군의 권좌가 흔들릴 수밖에 없음을 절감했다...
    본관 :
    광주(廣州, 지금의 경기도 광주시)
    자 :
    득여(得與)
    호 :
    관송(觀松), 쌍리(雙里)
  • 미국의 대북경제제재
    테러 행위 지원관련 조치, ⑤ 대공산권 제재조치, ⑥ 인권 관련 제한조치 등이 포함된다. 미국은 북한에 대해 위의 6가지 제재조치를 모두 취하고 있다. 미국의 대북경제제재는 북미관계 개선에 따라 조금씩 완화되었는데, 1989년 1월 자산동결규정을 일부 완화했으며, 1989년 4월 식량·의약품·의료기재 등 인도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선국사대북
남원 선국사 대북
남원 선국사 대북
미국의 대북정책
대북방송을 위해 확성기를 설치하는 모습
대북 전보 공사(다베이 뎬바오 궁쓰 다러우, 大北电报公司大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