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법원 大法院, Supreme Court of Korea법의 구체적 해석과 적용 등을 담당하는 사법부의 최고기관. 내용 오늘날 국가조직은 삼권분립을 원칙으로 하여 입법권은 국회에, 행정권은 행정부에, 사법권은 법원에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대법원은 법원의 최고기관이며, 최고법원이다. 「헌법」과 「법원조직법」에 의하여 설치된 독립된 기관으로서, 대법원장을...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기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대법원 大法院, Supreme Court of Korea대한민국 사법부의 최고 기관. 최고 법원으로서의 최종심판권, 전속관할권과 헌법재판권을 가진다. 대법원장과 13인의 대법관으로 구성되며, 대법원장은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 산하 기관으로는 법원행정처를 비롯하여 사법연수원과 정책연구원, 도서관 등을 두고 있다. 개요 대한민국 최고의 법원이...
- 설립 :
- 1899년 (평리원)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19
- 사이트 :
- http://www.scourt.go.kr/supreme/supreme.html
-
대법원 최종 판결의 의미와 법률가의 역할대법원의 최종 판결 과정이 갖는 의미 어찌 되었든, 상소제도를 통한 재판의 끝은 대법원입니다. 그게 어떤 사안이든 또 아무리 더 재판을 하고 싶은 마음이 있든 제도상 삼세판 이상을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상소제도의 끝인 대법원의 판결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큽니다. 대법원의 재판은 원칙적으로 전원이 합의하여...
-
-
서울 구 대법원청사 서울 舊 大法院廳舍건립 경위 구 대법원 청사가 자리한 곳은 대한제국의 사법기관인 평리원(平理院)과 한성재판소가 있던 자리이다. 주변에는 탁지부와 토지조사국, 의정부와 중추원이 들어 서 있었다. 이 일대에 사법기관과 행정기관이 많았던 까닭은 이곳이 고종이 거처한 경운궁과 가깝기 때문이었다. 주변에 있던 독일 영사관을 다른...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인종 차별에 대해 미국 대법원은 어떤 역할을 했는가? 미국 법과 정의대법원은 1950~1960년에 차별법을 불법으로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으나, 기존의 대법원 입장과 상반되는 판례를 남기면서 대법원 자체의 문제점을 바로잡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 1800년대 후반, 남북전쟁이 끝나고 노예가 해방되자, 대법원에서는 주(州)에서 구분이라는 명목 아래 차별법을 제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역할...
-
형사소송법, 대법원 판결의 구속력 떡값의 기원1억 원이 뇌물이 아니라 떡값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1, 2심은 피고인 주장대로 '떡값=미풍양속'이라는 이유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 검사가 대법원에 상고하자 대법원은 떡값이 너무 많아 뇌물로서 의심이 간다고 하여 파기 환송했다. 그런데 2심은 액수가 많기는 해도 진짜 떡을 해 먹었으니 무죄라고 다시 무죄...
-
형사소송법, 대법원의 재판 방식 정력에 좋다면그러나 그 약을 먹고 효험을 보았다는 50대 남성들이 변강쇠에게 유리하게 증언을 하는 바람에 1심은 무죄, 2심도 무죄였다. 검사가 마지막으로 대법원에 상고하였다. 대법원이 심리해보니 증언은 조작되었고, 약의 성분은 인체에 유해한 것이었다. 대법원이 변강쇠를 유죄로 판결하고 징역을 선고할 수 있는가? 예문 ①...
-
미국 대법원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미국 법과 정의미국 헌법 제3조에는 "미국의 사법권은 하나의 대법원 아래에 확립된다"고 적혀 있다. 그리고 계속해서 대법원의 관할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법정이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 혹은 얼마나 많은 법관을 둘 것인지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이러한 문제들은 하원에서 다루도록 되어 있었으며, 헌법이...
-
라이히스카머게리히트 제국대법원, Reichskammergericht중세 초기부터는 고등재판소(Hofgericht)가 대법원이었는데, 이곳에서는 황제가 직접 재판을 주재했고 그를 돕는 재판관들이 재판석에 앉았다. 그러나 고등재판소는 황제 개인과 연관되어 있어서 황제가 해외에 나가 있을 때는 운영할 수 없었고 죽으면 아예 해체되었다. 15세기에 들어와 황제권이 약화되자 고등재판소...
-
싱가포르 구 대법원 여전히 위용 있는 구 대법원 건물, Singapore O..시티 홀 역 주변에서 시청과 함께 가장 눈에 띄는 건축물이 바로 구 대법원 건물이다. 커다란 푸른색 돔을 가지고 있어서 오히려 시청보다 더 눈에 띈다. 대법원은 위치를 옮겼지만 여전히 건물은 남아 위용을 뽐내고 있다. 구 대법원 건물과 시청 건물은 현재는 비어 있으며 내셔털 아트 갤러리가 그 자리에 문을 열...
- 위치 :
- 시청 옆에 있다.
- 유형 :
- 관광(Sightse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