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마도 대마월도(大磨月島), 大馬島명칭유래 섬이 큰 말처럼 생겼다하여 대마도(大馬島)라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대마월도(大磨月島)로 표기되었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대마월도(大麻月島)로 표기되어 있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 때 지금의 대마도리에 속하게 되었다. 대마도는 제주에서 본토로 가는 해상...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대마불사 (바둑용어) 大馬不死바둑에서, 대마는 여간하면 죽지 않는다는 격언. 대마가 크다는 것은 활로도 다양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공격을 타개하고 집을 낼 가능성이 많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
도드-프랭크법따서 명명되었다. 동 법은 금융시스템리스크 예방을 위한 금융안정감시위원회(Financial Stability Oversight Council) 신설, 금융회사 정리절차 개선, 대마불사(大馬不死) 관행을 막기 위한 대형 은행의 자본확충 의무화, 금융감독기구별 역할 정비,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소비자금융보호국(Bureau of Consumer...
-
대마불사 (경제학) Too big to fail, 大きすぎて潰せない대마불사(大馬不死, Too big to fail, TBTF)는 경제학 용어로서, 규모가 거대한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도산할 경우, 그와 이해관계가 얽힌 수많은 경제 주체들이 피해를 봐서 경제 전체적으로 재앙적인 사태가 벌어지므로, 정부가 그러지 않도록 반드시 구제해야 한다는 논리이다.뉴스 인용뉴스 인용 1984년 미국...도서 위키백과
-
역전 驛田의 인위전으로는 급주전(急走田) 50부씩을 지급(긴요한 역에는 급주전 50부를 추가로 지급)한다. ③ 역마(驛馬)의 사육용 재원인 마위전(馬位田)으로는 대마(大馬)에 7결, 중마(中馬)에 5결 50부, 소마(小馬)에 4결씩을 지급(긴요한 역로의 대마에는 1결씩, 중‧소마에는 각 50부씩 추가로 지급)한다. ④ 역둔전(驛屯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초료장 草料狀마필과 종인의 수를 거기에 기입해 본인에게 발급했는데, 역참에서의 여행자에 대한 모든 대우는 이에 따랐다. 초료의 수량은 2품 이상관에 종인 6명과 대마(大馬) 1필·소마(小馬) 1필, 3품 이하관에 종인 4명과 대·소마 각 1필, 7품 이하관에 종인 2명과 대·소마 각 1필, 무직인(無職人)에게 종인 1명과 소마 1필...
- 시대 :
- 조선
- 성격 :
- 문서, 증명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마전 馬田확인할 수가 있지만, 그 구체적 내용은 알 수 없다. 조선시대에는 ≪경국대전≫ 호전 제전조(諸田條)에서 마분전에 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대마(大馬) 1필에 대해 7결이며, 긴로(緊路 : 교통량이 많은 역로)에는 1결을 더 첨가한다. 중마(中馬) 1필에 대해 5결 50부, 긴로에는 50부를 더 첨가한다. 소마...
- 시대 :
- 조선
- 성격 :
- 재정, 경제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