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들보 girder
    건물구조에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집중하중을 떠받치는 수평으로 된 지지들보.→ 들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대들보
    대들보는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운산리에 있다.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외관과 차분한 느낌의 인테리어로 이루어졌다. 드넓은 농지에서 직접 재배하는 채소들과 직거래를 통해 유통과정을 최소화한 신선한 수산물, 축산물을 이용하는 이곳의 대표 메뉴는 낙지볶음이며, 꼬막비빔밥도 많은 사람이 찾는다. 이 밖에 ...
    위치 :
    충청남도 당진시 미락2안길 25 (주)녹색전기.페인트
  • (관련어 대들보) beam
    건물시공에서 개구부 위에 얹히는 벽돌벽이나 석재방벽으로 인한 하중을 받치는 수평재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빔은 바닥장선이나 지붕들보라고 부른다. 다리의 데크(상판)에서 가벼운 하중을 받는 세로방향의 빔은 세로보라 하고, 좀더 무거운 가로방향을 지지하는 것은 바닥보라고 한다. 다른 빔의 끝부분을 받치며 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대들보
    대들보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가로재인 큰 들보를 말한다.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대들보정육점식당
    대들보정육점식당은 경기도 의왕시 학의동에 있는 정육식당이다. 한우등심, 안심, 살치살, 생갈비살, 제주흑돼지, 한돈삼겹살, 생오리로스가 대표 메뉴이다. 질 좋은 생고기를 저렴한 가격에 참숯불구이로 즐길 수 있다. 식사 메뉴로 흑돼지김치찌개와 한우국밥을 판매한다. 총 3층 건물로 매장 내부는 넓고 쾌적하다...
    위치 :
    경기도 의왕시 의일로 130
  • 가구 架構
    보[樑]·도리(道里)·대공(臺工) 등으로 구성된 지붕가구와 창방(昌枋)·인방(引枋)·주선(柱椬) 등으로 이루어진 벽체가구 등으로 구분된다. 보 보는 대들보[大樑]·종보[宗樑]·퇴보[退樑] 등으로 나누어지며 지붕구조를 받는 수평재(水平材)로서 가구의 바탕을 이룬다. 건물의 규모나 평면의 구성형태, 지붕의 모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한옥 구조 명칭도
    부연 서까래에 덧대어 단 짧은 서까래로, 밑을 둥글게 쳐서 각을 없앤다. 서까래만 있는 처마가 홑처마, 부연까지 있어 겹으로 된 처마를 겹처마라고 한다. 대들보 건물에 건너질러 놓은 큰 부재다. 한옥 대청에 앉으면 제일 먼저 시선을 잡는다. 종도리 건물 내부를 건너지르는 부재를 '보'라고 하는데, 보에 수직으로...
  • 내용 보는 도리와 직각으로 만나며, 집의 규모가 커서 구조가 복잡해지면 여러가지 형태의 보가 구성된다. 보는 대들보[大樑]·종보[宗樑]·충량(衝樑)·퇴보[退樑]·우미량(牛尾樑)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밖에 합보·귀보·중종보[中宗樑] 등도 있다. 보의 단면을 대개 구형(矩形 : 직사각형...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건물의 규모나 평면의 구성형태, 지붕의 모양 등에 따라 놓여지는 위치나 종류가 다르다. 대들보는 어떤 건물에나 반드시 걸치게 되는 기본 가구재로서 평주(平柱)와 평주 위, 또는 평주와 고주 위에 놓이거나 기둥 위에 공포가 있을 때에는 그 위에 놓이게 된다. 종보는 일반적으로 5량 이상의 가구에 놓여 마루대공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扶安 來蘇寺 大雄寶殿
    4제공은 수서[垂舌]로 되어 있다. 내부의 공포(貢包)는 살미첨차가 모두 판형(板形)으로 되어 그 끝에 연꽃봉오리를 조각하여 장식하고 있다. 가구(架構)는 대들보 앞면에서는 평주(平柱)에 걸고 뒷면에서는 내고주(內高柱)에 걸었으며 그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宗樑]를 받치게 하였는데 종보부터는 우물천장을...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달성 태고정 達城 太古亭
    하였다. 기둥 머리에는 굽면이 비스듬히 끊기고 굽받침이 없는 주두(柱頭)가 놓여 있고,그 아래에는 끝부분이 날카로운 쇠서[牛舌] 하나를 밖으로 내고서 대들보 머리를 받치게 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조선 전기의 건실한 초익공(初翼工)계 가구로 보이지만, 모서리 기둥에는 익공이 없다. 건물의 가구(架構)는 5량(樑...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퇴보 끝을 받으면서 외목도리를 받쳤다. 고주머리에는 뜬창방(昌枋)을 돌리며 기둥 위에는 주두(柱頭)를 두고 역시 포작(包作)으로 대들보 끝을 받아 대들보 끝은 중도리를 받쳤다. 대들보 중앙에는 키가 큰 사다리꼴 부재 위에 이중으로 된 포작을 올려 마룻도리를 받치게 하였다. 이 마룻도리는 역시 안으로 굽은 솟을...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대들보
아치형 대들보
가구 명칭도
목수들아, 대들보를 높이 올려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