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
-
한옥 구조 명칭도부연 서까래에 덧대어 단 짧은 서까래로, 밑을 둥글게 쳐서 각을 없앤다. 서까래만 있는 처마가 홑처마, 부연까지 있어 겹으로 된 처마를 겹처마라고 한다. 대들보 건물에 건너질러 놓은 큰 부재다. 한옥 대청에 앉으면 제일 먼저 시선을 잡는다. 종도리 건물 내부를 건너지르는 부재를 '보'라고 하는데, 보에 수직으로...
-
보내용 보는 도리와 직각으로 만나며, 집의 규모가 커서 구조가 복잡해지면 여러가지 형태의 보가 구성된다. 보는 대들보[大樑]·종보[宗樑]·충량(衝樑)·퇴보[退樑]·우미량(牛尾樑)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밖에 합보·귀보·중종보[中宗樑] 등도 있다. 보의 단면을 대개 구형(矩形 : 직사각형...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주생활
-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扶安 來蘇寺 大雄寶殿4제공은 수서[垂舌]로 되어 있다. 내부의 공포(貢包)는 살미첨차가 모두 판형(板形)으로 되어 그 끝에 연꽃봉오리를 조각하여 장식하고 있다. 가구(架構)는 대들보 앞면에서는 평주(平柱)에 걸고 뒷면에서는 내고주(內高柱)에 걸었으며 그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宗樑]를 받치게 하였는데 종보부터는 우물천장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달성 태고정 達城 太古亭하였다. 기둥 머리에는 굽면이 비스듬히 끊기고 굽받침이 없는 주두(柱頭)가 놓여 있고,그 아래에는 끝부분이 날카로운 쇠서[牛舌] 하나를 밖으로 내고서 대들보 머리를 받치게 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조선 전기의 건실한 초익공(初翼工)계 가구로 보이지만, 모서리 기둥에는 익공이 없다. 건물의 가구(架構)는 5량(樑...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퇴보 끝을 받으면서 외목도리를 받쳤다. 고주머리에는 뜬창방(昌枋)을 돌리며 기둥 위에는 주두(柱頭)를 두고 역시 포작(包作)으로 대들보 끝을 받아 대들보 끝은 중도리를 받쳤다. 대들보 중앙에는 키가 큰 사다리꼴 부재 위에 이중으로 된 포작을 올려 마룻도리를 받치게 하였다. 이 마룻도리는 역시 안으로 굽은 솟을...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