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동강 열수, 大同江
    북한의 강. 낭림산맥에서 발원하여 평안남도를 관류한 후 서해로 흘러든다. 상류지역에서는 마탄강·금천강·장선강·비류강·남강 등의 지류가 합류하며, 이후 대하천을 이루게 된다. 주변에 드넓은 평야를 끼고 흐르다가 다시 평양특별시를 관류한 뒤에는 보통강·순화강·곤양천·매상천·황주천·재령강 등의 지류들...
    위치 :
    평안남도 북동부 낭림산맥의 서쪽에서 발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 대동강 大同江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악가사(俗樂歌詞).|구성 및 형식 노랫말은 전하지 않고, 『고려사(高麗史)』 권71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지어진 유래만 전한다. 내용 및 평가 유래는 “주나라의 무왕(武王)이 은나라의 태사(太師)였던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하였는데, 기자는 여덟 조목의 가르침을 베풀어 ...
    시대 :
    고려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고려시대
    성격 :
    속악가사(俗樂歌詞)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대동강 열수(洌水), 大同江
    평안남도 북동부 낭림산맥의 서쪽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다가 남포특별시 부근에서 황해로 흘러드는 강.|개관 길이는 438㎞이고, 유역면적은 1만 6673㎢이다.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로 긴 강이다. 좌안에 지류가 많은 비대칭적 하계로, 총 443개의 지류가 있으며 그중에서 길이 15㎞ 이상 되는 지류가 26개이다. 주요...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대동강
    대동강은 인천 연수구 동춘동에 위치한 한식당이다. 이곳은 황해도 해주 출신 사장님이 1962년에 문을 연 식당으로 보리굴비정식 전문점이다. 또한 안창살과 토시살도 함께 전문으로 판매하고 있다. 대표 메뉴는 녹차물에 밥을 말아먹는 보리굴비정식이다. 밑반찬은 호박무침 등 8가지가 제공된다. 이곳에 또 다른 대표...
    위치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86번길 14-6
  • 송인 송우인, 送人
    고려 중기에 정지상(鄭知常)이 지은 한시.|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로 ‘대동강(大同江)’이라고도 하고, ‘송우인(送友人)’이라고도 한다. 『동문선』 권9에 ‘송인’이라는 제명을 가진 정지상의 오언율시가 있기 때문에 언급한 것이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동문선』 권19, 『...
    시대 :
    고려
    저작자 :
    정지상
    창작/발표시기 :
    고려 중기
    성격 :
    한시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대동강 Taedong River, 大同江
    강 정보 대동강(Daedong River, 大同江)은 한반도에서 다섯 번째로 큰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대흥군의 랑림산맥의 한태령(1,356m)에서 발원하여 평양시·남포시·황해북도·황해남도를 지나 황해로 흐른다. 강의 길이는 439km이며, 수심이 깊은 편이다. 하류에는 평양시가 위치해 있으며, 강 유역에...
    도서 위키백과
  • 봉이 김선달
    닭장수는 어쩔 수 없이 김선달에게 편취한 닭 값에 볼기 값까지 더하여 몇 배의 배상을 해주고 말았다. 그때부터 사람들은 그를 봉이 김선달이라고 불렀다. 대동강 물을 팔아먹다 평양을 중심으로 서북지역에서 발생한 김선달 설화는 각종 야담집과 입소문을 통해 조선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설화 속에서 김선달은 한양...
    시리즈 한국사 인물 열전 | 태그 조선 , 문학
  • 한강과 대동강을 수놓던 황포돛배는 사라지고···
    풀어 만든 황톳물을 들인 것이고, 그렇게 만들어야 좀을 방지하고 질기며 비바람을 맞아도 변하거나 썩지 않기 때문”이라 했다. 밀러는 한강뿐 아니라 대동강을 운항하는 황포돛배도 그렸다. 그녀가 무슨 이유로 황포돛배에 관심을 가졌는지는 알 수 없다.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강물에 띄운 황포돛배가 운송과 교통수단...
  • 대동강 맥주 大同江麥酒, Taedonggang Beer
    개요 북한 대동강 맥주 공장에서 생산하는 맥주를 말한다. 금강 맥주, 룡성 맥주, 봉학 맥주와 함께 북한의 대표적인 맥주 브랜드로 알려졌다. 대동강은 평안남도 북동부에서 발원해 평양직할시를 지나 서해로 흐르는 강이다. 북한 정부가 영국의 양조업체에서 설비를 사들여 공장을 세운 뒤, 2002년 4월부터 생산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술/음료 , 북한
  • 대동강철교 大同江鐵橋
    내용 평양역과 대동강역 사이에 있으며, 현재의 북한 행정 구역상 평양직할시 중구역과 선교구역에 걸쳐 있다. 대동강 하구로부터 92㎞ 지점에 있으며 제1·2대동강철교로 구성되어 있다. 대동강 제1재래교는 1905년 3월 24일에, 대동강 제2재래교는 1905년 3월 29일에 각각 준공되었다. 대동강 재래교는 70t 가량의...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일본의 대동강 입구 개항 요구
    2월, 일본이 대동강 입구에 있는 철도(鐵島)를 개항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일본은 자국 상인들도 청나라 상인들처럼 평안도와 황해도 연안에서 무역을 강행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황해도와 평안도의 경계 지역에 있는 철도는 각 지역의 상선들이 평양으로 들어가는 통로로 황해도 황주목에 속했다. 철도는 국방...
    시대 :
    1891년 2월
    국가/대륙 :
    한국
  • 대동강숭어국 大同江崇魚─
    음식으로 꼽힌다. 숭어는 민물과 바닷물을 오가며 생활하는 물고기로 한자로는 ‘崇魚’로 표기한다. 한반도의 서해 연안에 주로 분포하며 한강, 영산강, 대동강에서 많이 잡히는데 한강과 영산강에서 잡히는 것은 예로부터 회로 즐겨 먹었고, 대동강에서 잡히는 것은 주로 국을 끓이거나 찜을 해서 먹었다. 특히 대동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북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4건

대동강
대동강
대동강
대동강
대동강
모란봉 / 대동강
6.25 피난민 / 대동강철교
주체사상탑에서 바라본 평양 대동강변
동문선 / 대동강
모란봉 / 대동강
대동강 철교
대동강 부벽루
대동강 맥주
대동강/목재 운반
대동강 맥주 로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