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대극 영화(英華), 李大克
    대한제국기 전라남도 중서부 지역에서 활약한 의병장.|개설 본관은 함평(咸平). 전라남도 영광 출신. 본명은 이순식(李淳植). 자는 영화(英華). 흔히 대극 또는 대국(大局 : 大克의 잘못)으로 불렸다. 일본을 크게 이길 수 있다는 뜻에서 스스로 호칭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영광의 양반가문이었으나 유학보다는 무...
    시대 :
    근대
    출생 :
    1875년(고종 12)
    사망 :
    1909년
    경력 :
    호남창의회맹소 감기(監器)
    유형 :
    인물
    직업 :
    의병장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함평(咸平)
  • 대국산성 大局山城
    발굴 경위 및 결과 1995년에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건물지(建物址)와 연지(蓮池), 현문(懸門)식의 문지(門址) 등이 확인되었다. 대국산성의 초축 시기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며 신라 전야산군의 치소(治所)성으로 추정되었다. 전야산군은 690년(신문왕 10)에 남해에 설치한 군으로, 757년(경덕왕...
    시대 :
    고대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다이쿄쿠쇼기 Taikyoku shogi, 大局将棋
    말(大局将棋駒)』을 포함한 '오하시가 문서'는 간사이 쇼기 회관 내의 쇼기 박물관의 폐관 후 한때는 오사카 상업대학 어뮤즈먼트 산업 연구소(大阪商業大学アミューズメント産業研究所)로의 이관도 검토됐으나 최종적으로는 오하시가의 혈연자에게 반환됐다. 1997년)이고, 해당 문헌에는 우메바야시의 해석에 따른 말의...
    도서 위키백과
  • 남해 대국산성
    문화재 정보 남해 대국산성(南海 大局山城)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대국산의 정상에 지어진 산성이다.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9호 대국산성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대국산의 정상에 지어진 산성으로, 산...
    도서 위키백과
  • 동강유집 東江遺集
    사(辭)의 「차도연명귀거래사(次陶淵明歸去來辭)」는 저자가 광주부사(光州府使)로 부임하는 길에 친명배청(親明排淸)의 감정을 토로하며, 붕당의 병폐와 대국(大局)의 파탄을 개탄하는 내용이다. 시대적인 상황이 도연명의 귀거래의 시기와 같으나 자기의 뜻을 펴지 못하면서 벼슬길에 오르고 있는 것이 세속을 잊고...
    시대 :
    조선
    저작자 :
    신익전(申翊全)
    창작/발표시기 :
    1673년(현종 14, 7권), 미상(19권)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9권 3책
    간행/발행 :
    신정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일본동양문고
  • 홍범연기 洪範衍奇
    같이 한쪽 끝지역에는 적용하기가 어렵고 적중률 또한 낮았으므로 우리 나라에 맞게 다시 연구한 것이다. 우리 나라가 간방(艮方)에 속하므로 먼저 천하의 대국(大局)을 포설한 뒤 다시 간방의 수를 중궁(中宮)에 넣어서 재포설하는 방식을 택하여 보니 적중률이 거의 완벽한 데에 이르렀다. 이것을 발견한 우리 나라의...
    저작자 :
    미상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도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김관현
    차례 참의직을 중임하였다. 총독부가 1935년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일제의 통치에 공을 세운 조선인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항상 대국(大局)을 달관하여 일본과 조선의 융화 공영에 진력한 바가 두터웠으며, 그의 공(功)과 노고는 다대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라는 평가가 실려 있다. 2002...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