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각국사문집 大覺國師文集
    내용 『대각국사문집』 20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권1~2는 서(序)로, 「신집원종문류서(新集圓宗文類序)」, 「신편제종교장총록서(新編諸宗敎藏總錄序)」, 「간정성유식론단과서(刊定成唯識論單科序)」 등이 있어 의천의 저술과 불교 사상에 대해 전하고 있다. 권3~4는 사(辭)로 이 가운데 「신창국청사계강사(新創...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각국사문집 大覺國師文集
    총괄하여 〈대각국사집〉이라고 부른다. 김부식이 〈문집〉 20권을 간행한 일이 있었으나 전하지 않고 의천의 제자 혜관(慧觀)이 처음으로 문집과 외집을 간행했는데 이것이 현행본의 바탕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현존 해인사간본은 문집 23권 가운데 제19권을 제외하고는 모두 결락(缺落) 부분이 있으며, 제21·22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대각 大角干
    내용 17등 관계 위에 비상위(非常位)로 설정된 특수한 관등이다. 『삼국사기』 직관지에 의하면 “660년(태종무열왕 7)에 백제를 멸하고 공을 논하였을 때 대장군 김유신(金庾信)에게 대각간을 주었던 것이니, 17등 위에 더한 비상위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신라가 고구려를 멸한 668년(문무왕 8) 10월 22일 크게...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의천 고려불교의 서광을 밝힌 국사
    국제관계로는 북방에서 여진세력이 크게 성장하여 고려를 위협하고 있었다. 의천은 견문이 넓고 사려가 깊으며 합리적 판단을 하는 품성에다가 왕자라는 높은 신분도 지니고 있었다. 남다른 지도자의 역할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관념을 실천으로, 대립을 융화로 그는 왕권을 강화하고 문벌세력을 누르며 불교의 타락을...
    출생 :
    1055년
    사망 :
    1101년
  • 각 (수학) Angle, 角度
    angle) 대각: 삼각형 등에서 한 외각에 대하여 이웃각(인접한 내각)이 아닌 다른 내각들 밑각: 내각과 외각의 성질 등에서 다루어진다. 평면각(平面角, =이면각, plane angle) 다면각: 원의 원주 즉 원둘레 위의 한 점에서 그은 두 개의 현이 만드는 각으로 그 크기는 중심각의 [[:1}\over{2]]이다. 중심각(中心角...
    도서 위키백과
  • 직사각형 直四角形, rectangle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직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다. 즉, 직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의 특수한 경우이므로 평행사변형의 성질을 모두 만족한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두 쌍의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고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직사각형은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두...
  • 고려 11대 왕, 문종 고려 제11대 왕, 文宗
    한편 불교를 독실히 신봉하여 1067년 흥왕사를 준공했고, 왕자 후(煦:대각국사 의천)를 출가시켜 승려가 되게 했다. 유학도 장려하여 최충의 9재를 비롯한 12도...諸道)에서는 지주부군사·현령이 증설되어 수령의 관료제가 강화되었다. 대외관계에 있어서는 북편에 침입하는 동여진을 토벌했으나 나중에는 회유책을...
    출생 :
    1019(현종 10)
    사망 :
    1083(문종 37)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1046년∼1083년
    시호 :
    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
    능묘 :
    경릉(景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김유신 金庾信
    공을 세웠다. 이로써 그는 가야계 출신이라는 꼬리표를 떼고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다. 김유신의 정치적 비중은 무열왕이 즉위한 이후 더욱 높아졌다. 대각간이라는 관직을 받은 것만 해도 그렇다. 신라의 관등은 상위 17등관계(十七等官階)와 그 위에 상대등, 각간직이 있다. 대각간은 그 상대등과 각간 위의 직에 내린...
    출생 :
    595년
    사망 :
    673년
  • 탄젠트 tangent
    곡선의 할선의 극한 직선이라고 할 수 있다. 접면과 다른 곡면들도 유사하게 정의한다. 탄젠트의 3각법칙은 평면 삼각형의 2변과 그 2변의 대각들의 합과 차의 탄젠트 사이의 관계이다. 평면 삼각형 ABC에서 a, b, c가 각각 각A, 각B, 각C의 대변이라 하면, 이다. 이 공식은 로그를 사용하는 계산에 특히 유용하다. 직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일원상 一圓相
    도달한 대각의 심경을 언어나 문자로 표현하기 전에 일원상(○)으로 상징하였다. 그는 이 일원이 우주만유의 본원이고 제불제성(諸佛諸聖)의 심인(心印)이며 일체중생의 본성자리로서 생멸 없는 도와 인과응보의 이치가 서로 바탕하여 기틀[相]을 지었다고 표현하였다. 평소에 온갖 방편으로 이 일원상의 진리를 대중...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원불교
  • 문종 왕휘(王徽), 文宗
    동경(東京)과 함께 3경제(三京制)가 완성되었다. 지방 향리들의 9단계 승진 규정도 마련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제도 정비는 역시 집권적 지배체제의 확립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다. 사상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다. 불교 면에서는 흥왕사(興王寺)를 창건하여 화엄종의 본찰로 삼았으며 대각국사 의천에...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의천 義天
    했다. 대각국사 의천이 출가할 때 축발한 왕사 난원, 즉 경덕국사는 안산 김씨 출신으로 현종비인 원성태후, 원혜왕후와는 남매간이었다. 또한 해동공자 최충의 후손 가운데서도 준류와 정사 등 고승들이 다수 배출되었으며 문종대 척신인 이자연의 아들 중에서도 넷째 아들 이의는 청평산 보현원을 세웠고, 다섯째 아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