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당송가문 唐宋八家文
    당송가문』은 조선 시대 고문의 체법(體法)을 익히기 위한 고문선집이다. 문장은 실무와 연관된 양식으로, 문신으로 행세하기 위해서 문장 수업은 필수였다. 이에 선비들은 한(韓)·유(柳)·구(歐)·소(蘇)의 문집을 구하여 익히기에 급급하였다. 『당송가문』은 당나라와 송나라의 이름난 문장가 8인의 글을 총칭...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 당송가문 당송팔대가문독본, 唐宋八家文
    중국 당·송대의 고문 명문집(名文集). (병). Tang Song ba jia wen. (웨). Tang Sung pa chia wen.|보통 청 건륭제(乾隆帝) 때 시문작가 심덕잠(沈德潛)이 편집한 〈당송가문독본 唐宋八家文讀本〉을 가리키는데, 정식 명칭은 〈당송팔대가문독본 唐宋八大家文讀本〉이며 모두 30권이다. 이 심덕잠본이 성립되기 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문진보 古文眞寶
    두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책이 당송팔가(唐宋八家)의 문장을 주축으로 한 것은 사실이지만, 책의 성격에 있어서는 『당송가문』과 달리하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당송가문』에서는 이른바 ‘고문체’만을 수록하였는데, 『고문진보』에서는 고문체와는 정반대라고 할 수 있는 「북산이문(北山移文)」과...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 당송팔대가 唐宋八大家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대가문회 大家文會
    국어 國語≫(2권)·≪전국책 戰國策≫(2권)·≪사기 史記≫(3권)·≪한서 漢書≫(3권)·≪한문 韓文≫(4권)·≪유문 柳文≫(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당송가문 가운데에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만을 취하였다. 선진양한(先秦兩漢)의 글을 위주로 하였다. 각 권은 고문가의 전집 형태를 취하였다. 유몽인은 고문...
    시대 :
    조선
    저작자 :
    유몽인
    창작/발표시기 :
    1606년
    성격 :
    고문선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1권 11책
    분야 :
    문학/한문학
  • 고문백선 古文百選
    조선 숙종 이후 편찬된 듯하다. 중국의 고문집인 〈고문진보〉·〈당송가문〉·〈문선〉 등에서 100편을 뽑아 우리말로 풀이했다. 10권 10책. 책머리에 김석주의 서문이 있고, 본문은 상·중·하 3편으로 나뉘어 있다. 상편은 5권, 중편은 4권, 하편은 1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권의 첫장에는 수록된 작품명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당송팔대가문초 / 당송팔가문
당송팔대가문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