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당꼬 (동의어 당고)
    현장 기자들 간의 담합(談合)을 이르는 은어로, 일본인들이 담합(談合)을 ‘당꼬(Dang Go, 상의하다는 뜻의 일본말)’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했다. 김준형은 현장 기자들의 담합은 여러 형태로 존재한다면서 당꼬의 유형으로 4가지를 제시했다. 자료 양이 너무 많아 도저히 한 언론사의 기자가 검토해서 기사 쓸 시간이 ...
  • 탕구 (동의어 당고) 塘沽, T'ang-ku
    중국 북동부의 톈진 시[天津市] 동부, 하이허 강[海河]과 보하이 만[渤海灣]에 면해 있는 도시. (병). Tanggu. (웨). T'angku.|톈진과 선양[瀋陽]을 연결하는 철로상에 있으며 중요한 선적 지점이다. 또한 서북서 방향으로 48㎞ 떨어진 톈진의 외항이기도 하다. 이 도시는 예부터 염전으로 이름난 곳이었다. 명대(1368...
    위치 :
    중국 북동부 톈진 시 동부, 하이허 강 북쪽 연안
    면적 :
    790.2㎢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당고 Dango, 団子
    다른 뜻 당고는 경단과 유사한 일본 음식이다. 곡물 가루에 뜨거운 물을 넣고 둥글게 만들어 찌거나 삶아 만든다. 콩고물을 묻혀 먹기도 하고, 간장과 단팥을 올리기도 하며, 꼬치에 꿰어 먹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화과자를 가리키지만, 고기 완자나 흙경단 등 둥글게 만든 것을 부르는 경우가 있다. 그 밖에 일본의 가...
    도서 위키백과
  • 외척과 환관의 전횡, 당고의 화
    당인들을 석방할 것을 아뢰었다. 167년, 환제는 당인들을 석방하면서 종신금고형을 내렸다. 종신금고형은 평생 출사를 금지하는 것으로, 역사는 이를 '제1차 당고(黨錮)의 화' 혹은 '제1차 당고의 옥(獄)'으로 기록한다. 제1차 당고의 화는 환관 세력과 관료 세력의 충돌에서 비롯되었지만, 당시 후한 말에 환관의 전횡...
    시대 :
    166년
  • 삼의당고 三宜堂稿
    石印本) 2권 1책이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전북대학교, 영남대학교, 미국 버클리대학교 등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삼의당고(三宜堂稿)』는 정형택(鄭逈澤)이 편집 · 수정하여 1930년 정일섭(丁日燮)이 삼기당석판인쇄소(三奇堂石版印刷所)에서 발행하였다. 권두에는 정일섭의 서언...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문학/한문학
  • 당고의 화 tangku
    당고란 환관에게 빌붙지 않으려던 사대부의 관직을 빼앗고 벼슬길을 막은 것을 가리킨다. 후한의 화제(和帝:89~105)·안제(安帝:107~125) 때는 외척과 환관이 번갈아가며 권력을 휘둘렀다. 환제(桓帝:146~167) 때는 환관의 세력이 커지자 사대부들이 환관집단을 맹렬히 비판했다. 급기야 166년 사예교위(司隷校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중국
  • 유첨당고 有忝堂稿
    내용 2권 2책. 필사본. 권두에 자서(自序)인 몽각재시서(夢覺齋詩序)와 몽각재폐추서(夢覺齋弊帚序)가 있고, 이내정(李乃貞)이 1706년(숙종 32)에 쓴 제몽각재시고후(題夢覺齋詩稿後)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서(序) 4편, 발(跋) 1편, 시 263수, 제문 2편, 상량문 1편, 권2에 시 321수, 서 1편, 기(記) 1편이...
    시대 :
    조선
    저작자 :
    홍옥보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상하이 길거리 음식 싸고 맛있는 별미
    겉에 양념을 살짝 뿌린 길거리 간식으로, 가을과 겨울에 만날 수 있다. 게살보다는 게 껍질과 튀김옷이 더 많은 양을 차지하지만 느끼하지 않고 고소하다. 해당고(하이탕가오, 海棠糕) 만두 한쪽 부분에 설탕 코팅이 되어 있고 반죽도 파이 같이 얇아서 바삭한 식감을 더해 준다. 소 안에는 고기 대신 팥 앙금을 넣어...
  • 누마노야 100년 전통의 오누마 당고, 沼の家
    50여 년 전인 1905년에 창업한 곳으로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변함 없는 맛으로 오누마 공원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곳이다. 한입에 쏙 들어가는 오누마 당고(370엔~)는 고마(胡麻, 참깨), 쇼유(しょうゆ, 간장), 안(あん, 팥)의 세 가지 맛이 있으며 가격도 저렴한 편으로 여럿이 나눠 먹기도 좋다. 누마노야 근처...
    위치 :
    JR 오누마 공원 역에서 도보 3분
    유형 :
    먹을거리
    소재지 :
    北海道亀田郡七飯町大沼町145
    이용 시간 :
    08:00~18:00
  • 이추 당고(唐古), 李樞
    개설 초명은 이당고(李唐古)이며, 상장군 이응공(李應公)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고려를 배반하고 원나라에 도망하여 들어갔다. 1271년(원종 12)에는 금(金)·칠(漆)·청등(靑藤)·팔랑충(八郎蟲)·비목(榧木)·노태목(奴台木)·오매화(烏梅華)·이등석(梨藤席) 등이 고려에서 생산된다고 무고하고 이를...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울릉도작목사(鬱陵島斫木使)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부원배(附元輩)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예식진 禰寔進, Ye Shikjin
    개설 백제 웅천 출신으로 615년에 태어났다. 조부는 좌평 예다(譽多)이고, 부친은 좌평 사선(思善)으로 2대에 걸쳐 좌평을 역임한 명문 가문 출신이었다. 2006년예식진묘지명(禰寔進墓誌銘)이 발견되어 그의 일생이 알려졌다. 묘지명은 중국 하남성 낙양시에 있는 낙양이공학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생애 및 활동...
    시대 :
    고대/삼국/백제
    출생 :
    615년
    사망 :
    672년 5월
    경력 :
    북방령, 대장, 좌위위대장군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백제 멸망(660)
    직업 :
    유민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당고 開襠袴
    말(襪 : 버선)과 붙어 있는 밑바대가 없는 바지로 바짓부리 밑에 선(襈) 장식을 대었으며 화(靴)를 신었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2건

《삼의당고》
삼의당고
삼의당고
삼의당고
텐잔(天山)의 당고
텐잔(天山)의 당고
오덕동애은당고택
임하필기 / 당고지원편
김해시례염수당고문서
해당고(하이탕가오, 海棠糕)
누마노야(沼の家)의 오누마 당고
누마노야(沼の家)의 오누마 당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