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답습 踏襲
    본 뜻 먼저 사람이 밟고 간 길을 그대로 따라 밟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바뀐 뜻 전부터 내려온 정책이나 방식이나 수법 같은 것을 그대로 따라 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보기글 ㆍ오늘날의 전기 작가들은 옛날에 쓰던 천편일률적인 일대기 형식을 답습하지 않고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서술 형식을 개발하...
    유형 :
    한자어
  • 답습하다 踏襲하다
    밟다. 습(襲) - 이어받다. 먼저 사람이 밟고 간 길을 그대로 따라 밟는 것이 답(踏)이고, 앞 사람이 한 대로 따르는 것이 습(襲)이다. 바뀐 뜻 전부터 내려오던 정책이나 방식, 수법 같은 것을 그대로 따라 행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보기글 ㆍ정권을 잡았다 하면 누구나 다 개혁이란 구호를 답습한다.
  • 한국의학사 韓國醫學史
    1877년 부산 제생의원은 일본이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개설한 서양식 의료기관이고, 조선 정부는 1885년 왕립병원인 광혜원을 설립했다. 1948년 대한민국이 수립되면서 의학교육의 연한은 종전대로 예과 2년, 본과 4년으로 통일되었으나, 국가시험 및 수련과정 자격시험 및 일반의료행정 등에서 미국 전통을 답습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학문 , 역사 일반
  • 등고 登高
    잘 요약된 기록이 보이고 있다. 또 ≪동국세시기≫(1849년) 9월 9일조에는 “서울 풍속에 남북의 산에 올라서 음식을 먹고 즐긴다. 이는 등고의 옛 풍속을 답습한 것이다. 청풍계(淸楓溪, 청운동 소재)·후조당(後凋堂, 미상)·남한산·북한산·도봉산·수락산 등이 단풍구경에 좋은 곳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漢, Han Dynasty
    그는 평민 출신으로서, 단명했던 진(秦 : BC 221~206)의 강압적인 통치에 반기를 들고 일어선 반란군 두목이었다. 한은 고도로 중앙집권적인 진의 행정제도를 답습해서 전국을 군·현(郡縣)으로 나누고 중앙에서 그곳에 관리를 파견했으며, 관료제를 발전시켜 업적에 따라 관료를 승진시키고 급료를 지불했다. 그러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사행시제조금칙절목 使行時諸條禁飭節目
    시행 연유, 도강기(渡江記) 법규와 격식 개정, 마환명색(馬還名色), 차과전명지법(借窠塡名之法), 패(牌) 없이 모입하는 것, 후시(後市)에서 유례(謬例)를 답습하여 지체하는 폐단 금지와 벌칙, 관무역사칭 세금포탈, 책단(柵緞) 방색, 부칙 등을 주 내용으로 하여 사신 행차시 금지 사항을 9개 항에 걸쳐 기록한 절목...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비변사
    창작/발표시기 :
    1838년
    성격 :
    문서, 조목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9개 항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오형 五刑
    내려온 형벌을 정리해 『개황률(開皇律)』을 제정하였다. 이때 태·장·도·유·사의 오형제도를 확립하였다. 그리고 후대의 당·송·원·명 모두 이를 답습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의 율령제도를 도입한 삼국시대부터 이 제도를 실시하였다. 『고려사』 「형법지」에도 수록되어 있다. 그 뒤 조선시대 『경국대전...
    시대 :
    조선
    성격 :
    형벌
    유형 :
    제도
    시행일 :
    1392년
    시행처 :
    형조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천군본기 天君本紀
    등을 기술하였다. 유교적인 도덕률로써 부단히 수양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작품 끝에 논평부(論評部)를 첨부하여 사마천(司馬遷)의 ≪사기 史記≫의 형식을 답습하였다. 각 연조 끝에 사평(史評)을 붙여 작가가 의도한 작품의 교훈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화사 花史≫에서 형식을 답습한 것이다...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기화
    창작/발표시기 :
    조선 순조
    성격 :
    고전소설
    유형 :
    작품
    권수/책수 :
    1책
    분야 :
    문학/한문학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한객건연집 韓客巾衍集
    이서구는 육언시 3, 오언절구 3, 칠언절구 28, 오언율시 14, 칠언율시 28, 오언고시 13, 칠언고시 1로 모두 100수이다. ≪한객건연집≫에서 사가의 특징은 답습(踏襲) · 진부(陳腐)를 버리고 독창 · 참신을 주장한 점이다. 이덕무는 <증인지임금교찰방(贈人之任金郊察訪)>이라는 시에서 늘그막에 벼슬길에 나서는...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 농민의 화가, 대 피터르 브뤼헐 Pieter Bruegel the Elder
    창시했다. 얀 반 에이크, 판 데르 베이던, 히에로니무스 보스 등이 일군 15세기 북유럽 르네상스는 16세기에 들어 지역 화가들이 이탈리아의 양식을 모방하고 답습하는 데 그치면서 쇠락해 갔다. 17세기 루벤스가 등장하기까지 독자성을 잃어 가던 북유럽 미술계에서, 북유럽의 사실주의 수법 및 고딕적인 환상 세계를...
    출생 :
    1525년경
    사망 :
    1569년 09월 09일
    국적 :
    네덜란드
    대표작 :
    〈눈 속의 사냥꾼〉, 〈추수하는 사람들〉, 〈사계〉, 〈농부들의 춤〉 등
  • 군대 동원과 사회관리
    것이 보통이다. 지원병의 결속을 유지하는 다른 방법은 세뇌(洗腦)와 정치적 훈련에 의한 것이다. 초기의 소련군은 국민개병제를 실시하여 고전적인 모델을 답습하면서 재조직되었으나 동시에 그 내부에 공산당이 조직한 정치조직이 심어져 있었다. 이같은 방식은 게릴라군이 많이 답습했는데 게릴라군은 군사적 요소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한국 근대춤의 흐름
    분명히 자생적인 춤 양식이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 근대춤을 이끌었다. 이런 가운데 신무용과 함께 서구의 발레나 현대춤의 방법론을 응용하거나 그대로 답습한 한국 발레와 현대춤도 해방 이후 한국 근대춤의 하나로 추가되었는데 1950년대에 이따금 모습을 드러내다가 1970년대부터 제자리를 잡았다(→ 현대무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