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체교섭 團體交涉, collective bargaining
    근로자 대표와 사용자 간에 고용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하는 협상 과정.|이때 체결된 단체협약은 임금 외에도 고용·임시해고(layoff)·승진, 근로조건 및 시간, 작업규율, 연금계획 등 광범위한 사항을 다룰 수 있다. 단체교섭은 18세기말 영국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유럽 대륙과 미국에서는 나중에 발전했다. 단체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단체교섭 團體交涉
    단체교섭이란 노동조합 대표자가 노동조합 또는 조합원을 위하여 사용자나 사용자단체단체협약체결 기타 사항에 관하여 교섭하는 과정을 말한다. 근로자 개인은 사용자의 개별적인 교섭에서는 사용자의 사회 ・ 경제적 지위가 작용해 교섭력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다. 교섭력이 약한 근로자가 대등한 입장에서 교섭...
  • 단체교섭 (관련어 단체 교섭) Collective bargaining,..
    단체교섭(團體交涉, 근로조건 등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행하는 교섭이다. 단체교섭의 결과는 단체협약으로 체결되었고, 법에 의해 단체교섭과 노사협의회에서 결정할 사항이 구별되어 있는데, 단체교섭은 임금, 노동시간, 근로조건 등이 노사간 이해가 대립되는 것을 다루게 되어 있고, 노사협의회에서는 생산성의 ...
    도서 위키백과
  • 노동조합 노조, 勞動組合
    파괴활동만으로는 자신들의 생활을 개선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또 사용자측은 노동조합 활동을 무조건 억압하기보다 이를 용인하고 고용조건 교섭에 관한 규정을 만드는 편이 보다 합리적이고 유리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처럼 여건이 변화하는 흐름 속에서 비로소 노동조합은 대중조직으로 자리잡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교섭단체 원내교섭단체, 交涉團體
    정당에 소속된 의원들로 구성되는 원내의 정당 또는 정파를 말한다. 현재 「국회법」은 20인 이상의 소속의원을 가진 정당은 하나의 교섭단체가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내용 교섭단체의 구성에 관하여는 「국회법」이 자세히 정하고 있다. 현행 「국회법」 제33조에에 의하면 국회에 20인 이상의 소속위원을 가진 정당은...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노동조합 노조, 勞動組合
    단체행동권을 가진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그 구체적 내용을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노동쟁의 조정법 등 노동 관련 법률로 규정하고 있다. 노동조합의 단체교섭의 방식은 1) 노동조합과 사용자 간의 기업별 교섭, 2) 전국적 노동조합과 전국적 사용자 단체 간의 통일교섭, 3) 상급 노동조합과 개별기업의 사용자 간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교섭단체 交涉團體, Parliamentary Negotiatio..
    교섭단체란 국회에서 의사진행에 관한 중요 안건을 협의하기 위해 일정한 수 이상의 의원들로 구성된 의원단체이다. 국회법에 따른 교섭단체 요건은 의석수가 20석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러 정당끼리도 합해서 의원 수가 20인 이상이고 다른 교섭단체에 속해 있지 않다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 교섭단체 交涉團體
    원내교섭단체라고도 한다. 국회법 제33조 1항에 따라 20명 이상의 의원을 가진 정당이나 다른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20명 이상의 의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교섭단체의 대표의원은 소속의원이 연서·날인한 명부를 의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그 소속의원에 이동이 있을 때에는 그 사실을 의장에게 보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국회 國會
    각 나라의 정치현실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의 의회제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의회의 개념은 다양하다. 따라서 의회의 명칭은 Parliament, National Assembly, Congress, Legislature, Diet 등 여러 가지로 불리며, 이것을 우리말로 사용할 때 '국회'와 '의회'라는 용어로 혼동하여 사용하지만 이 두 용어가 갖는 개념상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의회/정당 ,
  • 유신정우회 유정회, 維新政友會
    배경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유정회는 유신체제를 지지하고 박정희의 의지를 정치적으로 관철시키기 위한 단체였다. 설립목적 제9대 국회에서 원내 제1교섭단체로 출범하게 된 유신정우회는 자신의 목적을 유신헌정을 수호하고 그 헌법정신을 국정에 구현하도록 하며, 그 이념과 목표를 국민들에게 인식시켜 국력의...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교섭단체 交涉團體
    복수의 정당이 연합해 구성할 수도 있다. 매년 임시회와 정기회에서 연설을 할 수 있고 국고 보조금 지원도 늘어난다. 국회법 제33조 1항(교섭단체) 국회의 20인 이상의 소속의원을 가진 정당은 하나의 교섭단체가 된다. 그러나 다른 교섭단체에 속하지 아니하는 20인 이상의 의원으로 따로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 단체교섭요구서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시행 2012.12.27] [고용노동부령 제72호, 2012.12.27, 타법개정]에 의한 [서식 2] 단체교섭요구서 양식입니다. - 서식명 : 단체교섭요구서 - 소관부처 : 고용노동부 - 법령명 :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별지서식 : [서식 2] - 법령...
    분류 :
    법률서식 > 민원/행정서식
    원문 :
    https://www.yesform.com/dic/yesform_document/view/43228
    도서 예스폼서식사전 | 태그 서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단체교섭요구서
교섭 단체
교섭단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