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장의미아리고개 斷腸의미아리고개구성 및 형식 사단조, 2/4박자, 27마디 가창부, 2절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반야월 작사, 이재호 작곡, 이해연 노래로 녹음되어 1957년에 오아시스레코드에서 음반이 발매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어린 딸을 잃은 작사자의 경험이 창작 배경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대 중후반에 발표된 수많은 전쟁 관련 대중...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반야월 작사, 이재호 작곡
- 창작/발표시기 :
- 1957년
- 성격 :
- 대중가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대중음악
-
단장의 능선 전투 斷腸의 稜線 戰鬪대하여 공격을 시작하였다. 이 공세의 일환으로 미 제2사단은 9월 5일 양구 동북방 ‘피의 능선’을 빼앗고 9월 13일부터는 그 북쪽에 있는 ‘단장의 능선’을 공격하였다. ‘단장의 능선’은 양구와 인제의 중간에서 남북으로 뻗어 있는 양구 북방 문등리 일대의 연봉들로, 능선 동쪽의 사태리계곡과 능선 서쪽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단장이별곡 斷腸離別曲구성 및 형식 『가사집』에 전한다. 이별한 임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단장이별곡 1」과 「단장이별곡 2」로 나뉘어 있는데, 그 내용이 이별 이전과 이후로 나뉘어 있는 점에서 「단장이별곡 1」과 「단장이별곡 2」는 한 작품일 수도 있다. 「단장이별곡 1」은 4음보를 1구로 계산하여 159구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단장인단표회곡 斷腸人簞瓢懷曲구성 및 형식 가사내용에 ‘우체통’·‘자동차’ 등과 같은 개화기 이후의 문물이 등장하고, ‘남녀동등’, ‘일인(日人)득세’ 등의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작품 중의 ‘기미(己未)’는 1919년으로 추정되므로, 창작연대는 1920년대 초로 볼 수있다. 형식은 4음보를 1구로 계산하면 343구이다. 4·4조가 주축을...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규방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감옥풍운 (1997년 영화) Chinese Midnight Express, 黑獄斷腸歌之砌..영화 정보 《감옥풍운》는 홍콩에서 제작된 등연성 감독의 1997년 액션 영화이다. 양조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이조기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양조위 오맹달 서금강 나가영 임국빈 장문자 이조기 오지웅 정동 채엽신 유보현 송본충 윤양명 이력지 여피득 황수당 여선 오의장도서 위키백과
-
산의서곡 山─序曲구성은 작자가 직접 맡아 했다. 내용 이 시집에는 총 60편이 4부로 나뉘어 편성되어 있다. ‘산(山)의 서곡(序曲)’장에 「산은 알고 있다」 등 16편, ‘단장서곡(斷腸序曲)’장에 「고원(故園)」에 보내는 시(詩) 등 21편 그리고 ‘영구차(靈柩車)의 역사(歷史)’장에 「밤의 노래」 등 18편, 마지막 ‘기여시초(羈旅...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신석정
- 창작/발표시기 :
- 1967년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204면
- 간행/발행 :
- 가림출판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처서 더위를 처분하고 가을의 길목에 접어드는임 기다리는 처자 낭군의 애(창자) 끊으려 가져가네'라고 말한다." 남도지방에서 처서(處暑)와 관련해서 전해지는 이야기입니다. 귀뚜라미 우는 소리를 단장(斷腸), 곧 애끊는 톱소리로 듣는다는 참 재미있는 표현이지요. 절기상 모기가 없어지고, 처량하게 우는 귀뚜라미 소리를 듣는 시기의 정서를 잘 드러냅니다...
-
안드레아 셰니에 움베르토 조르다노, André Chénier이 시는 모두 유명한 아리아로 알려졌는데, 하나는 ‘즉흥시’로 알려진 〈어느 날 푸른 하늘을 바라보며〉(Un di all'azzurro spazio)와 다른 하나는 〈단장시〉(斷腸詩)이다. 즉흥시는 셰니에가 실제로 교류가 있었던 코와니 가문의 저택에서 시를 읊는 장면에서 사용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리얼리티를 살리는 것은...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오페라
- 작곡가 :
- 움베르토 조르다노(Umberto Giordano, 1867~1948)
- 초연 :
- 1896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출판 :
- 1896년
- 등장인물 :
- • 안드레아 셰니에(시인, 테너) • 마달레나 코와니(코와니 백작의 딸, 소프라노) • 카를로 제라르(코와니가의 하인이자 혁명정부의 간부, 바리톤) • 코와니 백작부인(마달레나의 어머니, 메조소프라노) • 베르시(마달레나의 흑인 하녀, 메조소프라노) • 밀정(제라르의 부하, 테너) • 루시에(셰니에의 친구, 베이스) • 슈미트(생 라자르 감옥의 간수, 베이스) • 마델롱(눈먼 노파, 메조소프라노) • 마츄(제라르의 부하, 베이스)
- 배경 :
- 프랑스 혁명 시절, 파리와 그 근교
- 대본(리브레토) :
- 이탈리아어. 루이지 일리카
- 구성 :
- 4막 역사 드라마(Dramma istorico)
-
김일엽 원주(元周), 金一葉를 발표하였다. 1921년 1월 『폐허』 2호에 「먼저 현상(現象)을 타파(打破)하라」는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같은 해 『신민공론』의 편집동인이 된 후 「단장(斷腸)」(문예시대, 1927.1.) · 「애욕(愛慾)을 피(避)하여」(삼천리, 1932.4.) · 「오십전은화(五十錢銀貨)」(삼천리, 1933.1.) 등의 단편을 발표하고, 수필...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제전 祭奠내용 북망산에 묻힌 임의 무덤을 찾아가 제사를 드리면서 사별을 애통하는 단장(斷腸)의 소리이다. 첫째단에서는 이른 봄 한식일을 당하여 임의 무덤을 찾아가 정성스레 제물을 차리는 예법을 노래한다. 둘째단에서는 제상에 차려진 제물의 이름들을 들고 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의 절차에 따라 잔을 드리는...
- 성격 :
- 잡가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