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현방 懸房내용 도사(屠肆) 또는 다림방이라고도 하였다. 성균관 노비들은 문묘를 지키는 관원들의 사환으로 입역하기 때문에 생계유지를 위하여 소의 도살판매권이 주어졌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권의 대가로 매달 삼법사(三法司 : 형조·한성부·사헌부)에 세금을 납부해야 하였다. 조선시대에 있어서 현방 이외의 도살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반촌 泮村이들 가운데 재인(宰人)이라고 불린 백정들이 도살업에 종사하였다. 성균관의 제사에 소용되는 희생(犧牲)을 잡는 것이 이들의 임무였으며, 현방(懸房) 혹은 다림방이라고 하는 푸줏간을 독점적으로 경영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았다. 따라서 도살업이 조선 중기 이후 반인들의 가장 중요한 생업이 되었다. 반인들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촌락
-
반인 泮人즉 푸줏간에 관련된 일을 하면서 속전을 내었다. 현방은 서울에서 소의 도살과 쇠고기의 독점 판매를 담당하던 시전(市廛)의 하나로, 반인들이 운영하였으며 다림방이나 도사(屠肆)라고도 불렸다. 성균관에는 조선 전기부터 문묘제향(文廟祭享)에 필요한 쇠고기를 조달하기 위해 도사(屠肆)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 도사...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