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르마족 Gurma
    안에 배열된 진흙벽돌 집에서 산다. 부계 혈통을 따르며 남편과 아내(1명 또는 그 이상), 그리고 동생과 나이 든 어머니, 자식들이 대가족을 이루고 산다. 농번기 6~10월에는 원형단지 사이에 수수를 기른다. 친척들끼리 가까운 곳에 이웃하여 산다. 가족 성원이나 씨족 성원, 같은 외래 종교(이슬람교나 그리스도교)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고지제도 雇只制度
    시기에는 토지소유의 양극화가 진행되어, 한편으로 대토지 소유자가 다른 한편으로 영세농과 농업노동자층이 확대되었다. 이 과정에서, 중농 이상의 농가가 농번기의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세농이나 농업노동자와 농사작업시기를 미리 계약하여 금전이나 식량을 선대(先貸)해 주고, 그 대신 농번기에 노동력을...
    유형 :
    제도
    분야 :
    사회/촌락
  • 황등비빔밥 육회비빔밥
    일어나 임금이 몽진하였을 때 수랏상에 올릴 만한 음식이나 충분한 그릇이 없어, 밥에 몇 가지 나물을 비벼 수랏상에 올린 것이 유래라는 임금몽진음식설 - 농번기에 매번 구색을 갖춘 상차림을 준비하기가 어렵고, 또한 그릇을 충분히 가져가기도 어려워 그릇 하나에 갖은 음식을 섞어 먹은 것이 유래라는 농번기음식설...
    분류 :
    주식류 > 밥류 > 비빔밥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방학 放學
    대학의 방학은 이보다 길어서 7∼8월과 1∼2월이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해당한다. 그러나 반드시 여름과 겨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봄철과 가을철의 농번기에 학생들이 일손을 돕도록 하기 위해 며칠씩 학교가 수업을 쉬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각각 봄방학, 가을의 농번기 방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머슴
    분화가 일어났을 뿐만 아니라 광공업이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에 농촌에는 많은 몰락농민이 퇴적되어 있었다. 또한 우리 나라의 경종(耕種) 위주의 농법은 농번기에 일시적으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노동력이 더욱 많이 투하되면서 노동집약화로 나아가게 되었다. 이러한 조건이 많은 머슴을...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촌락
  • 공동작업반 共同作業班
    전혀 아니었으나, 다른 한편으로 여성들의 참여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여성노동력은 대개 부녀자들이었으므로 이들을 농업에 끌어내는 과정에서 농번기 탁아소를 개설하기도 했다. 1940년대초 일제에 의해 강제로 편성되었던 공동작업반은 두레의 해체를 가져왔으며, 8·15해방 이후에는 월남인과 귀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깽깽이풀 깽이풀, Jeffersonia dubia
    속씨식물. 학명은 ‘Jeffersonia dubia’이다. 깽깽이풀이란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여러가지 설만이 존재한다. 모두가 바쁜 농번기에 한가롭게 꽃을 피운하고 하여 이름 붙였다는 설, 식물이 무리 짓지 않고 듬성듬성 나는 것이 깽깽이 걸음을 하는 것과 같아 그렇게 불렀다는 설, 개가 풀을...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매자나무과
    원산지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
    서식지 :
    산중턱 아래의 골짜기 반그늘지며 비옥한 땅
    크기 :
    약 25cm
    학명 :
    Jeffersonia dubia
    꽃말 :
    설원의 불심, 안심하세요
  • 남원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
    된 것은 판소리와 창극으로 만들어진 〈춘향전〉때문이다. 남원 주민들은 1931년부터 이몽룡과 성춘향이 만났던 단오에 춘향제를 올렸으나, 그 시기가 농번기에 해당해 최근에는 춘향의 생일이라고 알려진 사월초파일에 제를 올린다. 그래서 사월초파일이 되면 남원시는 전국에서 유람객이 몰려들고 그네뛰기·씨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북도
  • 전주화약 全州和約
    해산을 종용했다. 한편 농민군 내부에서도 전주성 싸움에서의 피해와 청군 상륙의 소식으로 두려움이 커졌고, 당시가 보리수확과 모내기 준비에 바쁜 농번기였기 때문에 귀향심이 강해지고 있었다. 이에 전봉준(全琫準)은 6월 7일 홍계훈에게 각종 폐정의 개혁과 탐관오리의 제거를 주장하는 27개조의 폐정개혁안(弊政...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겸업농가 兼業農家
    의한 겸업화의 유형은 2가지가 있다. 즉 농촌에 거주하면서 이 지역에 확산되는 공업에 종사하는 출퇴근식 겸업과 농한기 또는 겨울철에 도시로 나갔다가 농번기에 돌아오는 계절적 겸업이 있다. 출퇴근식 겸업의 비중은 작지만 농촌노동시장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계절적 겸업은 주로 건축노동종사자에서 볼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최충 월포, 崔沖
    했다. 1050년 개부의동삼사 수태부(開府儀同三司守太傅)가 되고 추충찬도공신(推忠贊道功臣)의 호를 받았다. 이해 서북면도병마사(西北面都兵馬使)가 되어 농번기의 공역(工役) 및 국가재정의 낭비를 금하도록 상소하여 시행하게 했고, 동여진(東女眞)의 동태를 파악하여 국방경계를 강화하도록 했다. 1053년 추충찬도...
    출생 :
    984(성종 3)
    사망 :
    1068(문종 22)
    국적 :
    고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그네뛰기
    들어와 고려시대에 궁중이나 상류층에서 즐겼으나 조선시대에는 상류층에서 이를 멀리하게 되고 민중 사이에 크게 유행된 것으로 전해진다. 그네는 대개 농번기를 피해 음력 4월 8일을 전후하여 5월 5일 단오절에 이르는 약 한 달 동안 놀았는데, 이 놀이는 오랜 봉건유습에서 내려온 삼간내외법으로 1년 내내 집안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농번기 임시유아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