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녹음기사녹음장비를 이용하여 영화, 드라마, 음반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소리, 음악, 목소리 등을 녹음한다. 수행직무 영화감독, 녹음기획자 및 음반기획자 등과 함께 녹음해야 할 대상, 대본 등을 확인하고 녹음 절차 및 방법 등을 논의한다. 녹음기 및 녹음장비를 조작하여 녹음할 대상을 각각 녹음한다. 믹싱장비(믹서)를 ...
- 교육수준 :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4년 초과 ~ 10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청각
- 직무기능(자료) :
- 분석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제어조작
- 유사명칭 :
- 녹음엔지니어
- 고용직업분류 :
- [4165]음향·녹음 기사
- 표준직업분류 :
- [2835]음향 및 녹음 기사
- 표준산업분류 :
- [J591]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 [J602]텔레비전 방송업
- 조사연도 :
- 2012년
-
마키노 마사히로 마키노 마사타다, マキノ 雅弘프로듀서와 녹음을 직접 맡았다. 하지만 2년 뒤 이 프로덕션 또한 운영난으로 해체하였다. 비록 그의 프로덕션 사업은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감독으로서 마키노 마사히로는 아버지보다 훨씬 긴 기간 동안 아버지만큼이나 많은 편수의 영화를 연출한 일본영화사의 거장으로 성장하였다. 작품세계 감독으로서 마키노...
- 출생 :
- 1908년 2월 29일 일본 교토
- 사망 :
- 1993년 10월 29일
- 본명 :
- 마키노 마사히로(マキノ 雅弘)
- 데뷔 :
- <파란 눈의 인형>(青い眼の人形, 1926)
-
-
-
동시녹음기사읽고 장면, 등장인물의 성격, 배우의 특징 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시나리오 및 콘티를 검토하고 영화감독, 방송프로듀서(방송연출가) 등과 함께 제작현장 녹음을 위한 계획과 촬영과정에 대해 논의한다. 현장의 주변 상황을 살펴본 후 흡음재, 붐마이크 및 와이어리스마이크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녹음장비를 이용...
- 교육수준 :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4년 초과 ~ 10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외
- 육체활동 :
- 청각
- 직무기능(자료) :
- 분석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제어조작
- 유사명칭 :
- 현장녹음기사
- 고용직업분류 :
- [4165]음향·녹음 기사
- 표준직업분류 :
- [2835]음향 및 녹음 기사
- 표준산업분류 :
- [J591]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 조사연도 :
- 2012년
-
이경순 (영화 녹음기사)영화인 정보 이경순(李敬淳, 1921년 5월 17일 ~ 2008년 5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영화인이다. 195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한국영화의 80% 이상을 녹음한 한양스튜디오 창립자이자 대한민국의 초대 영화 녹음기사이다. 처남은 가수이자 영화 녹음기사인 손인호이다. 이경순은 1921년 평안북도 창성에서 태어났다. 1934...도서 위키백과
-
녹음기획자수행직무 녹음을 의뢰한 고객과 녹음 방향, 절차, 내용 등을 협의하고, 대본을 작성한다. 녹음에 참여할 인력(성우 등)을 섭외한다. 대본을 토대로 녹음기사와 녹음 순서, 절차 등을 협의한다. 대본에 맞추어 녹음기사와 녹음참여 인력에게 지시한다. 녹음에 필요한 음악을 선정한다. 녹음기획 충족 여부, 녹음의 질 등...
- 교육수준 :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10년 초과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청각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협의
- 직무기능(사물) :
- 관련없음
- 유사명칭 :
- 녹음디렉터
- 고용직업분류 :
- [4165]음향·녹음 기사
- 표준직업분류 :
- [2835]음향 및 녹음 기사
- 표준산업분류 :
- [J592]오디오물 출판 및 원판 녹음업
- 조사연도 :
- 2012년
-
영화 映畵, movie요소와 기계기술적 요소, 그리고 경제적 요소가 합쳐져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한 편의 영화를 만들기 위하여는 재정을 책임지는 제작자와 스튜디오·카메라·녹음·현상 등의 시설이 있어야 하며, 작품을 감독하며 시나리오작가·배우·촬영기사·미술가·음악가·편집자가 공동으로 작업해서 이루어낸다. 이렇게 하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