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피아노 소나타 29번 ‘함머클라비어’ 루트비히 판 베토벤, Piano Sonata No. 29 in B♭Major Op.106 ‘Hammerklavier’아사이 비바체’ 빠른 스케르초로 역시 3도 관계의 두 음을 중심 모티브로 사용하면서 이 모티브가 카논 형태로 되풀이되어 등장한다. 소나타 형식을 바탕으로 작곡된 3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는 187마디에 달하는 장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3악장에 느린 템포의 악장이 자리한 건 보통 2악장에 느린 템포를 배치...
- 시대 :
- 고전
- 분류 :
- 고전주의 음악 > 독주곡 > 피아노 독주곡
- 제작시기 :
- 1818년
- 작곡가 :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 출판 :
- 1819년
- 헌정 :
- 루돌프 대공
- 구성 :
- 4악장
-
-
-
사월의노래 四月─있다. 내림 마장조의 4분의 3박자 곡이며 못갖춘마디 형식을 띠고 있다. 두 마디의 동기가 선율 혹은 리듬이 반복되는 방식으로 쓰였으며 곡의 후반부는 1절과 2절 가사가 반복된다. 전반부에서는 단순한 리듬을 반복하여 서정적이면서도 담담한 분위기를 빚어내지만, 후반부 가사 ‘돌아온 사월은 생명의 등불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박목월 작시·김순애 작곡
- 창작/발표시기 :
- 1953년
- 성격 :
- 예술가곡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이음맞춤 Joint맞춤, 내림주먹장맞춤, 트인장부맞춤, 연귀맞춤, 제비초리맞춤 등이 있다.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반턱맞춤은 가장 기본적인 맞춤으로 접합부 춤의 절반씩 장부 자리를 파서 받을장 엎을장으로 맞춤을 한다. 수평부재 간 장부맞춤은 부재 마구리에 장부를 만들어 나뭇결 방향의 종단면에 파 놓은 장부구멍에 맞춤을 한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그리운 금강산 그리운 金剛山가곡이다. 내림나장조의 유절 가곡으로 3절까지 있으며 각 절의 3번째 악절은 후렴구로 반복된다. 전체적인 빠르기는 보통 빠르기로 노래하듯이(Moderato cantabile)이며 ‘그리움에 사무쳐서’라는 지시어가 덧붙여 있다. 노래 전반에 크레셴도(crescendo), 데크레셴도(decrescendo), 리타르단도(ritardando), 테누토...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현대음악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봄이오면작곡자는 이 곡을 작곡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인 작곡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조금 느린 속도의 4분의 3박자로 되어 있으며, 원곡은 바장조였으나 사장조 또는 내림마장조로도 불린다. 형식은 가요 2부형식이며 세 개의 절을 가지고 있는 유절형식의 가곡이다. 화성은 전통적인 기능화성의 바탕 위에서 주요 3화음만을...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동환, 김동진
- 창작/발표시기 :
- 1931년
- 성격 :
- 가곡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축귀경 逐鬼經막야검 · 비수검 등의 위력을 약술하여 귀신을 질책 위협하고, 여러 신장을 내림(來臨)하도록 하여 악귀를 잡아 없애겠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용호대축사...구축하고 인간을 질병과 재액으로부터 구제한다는 것으로 도교적 신관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 형식은 축귀 대장의 위엄을 소개하고 용천검 등의 위력을...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문선왕악장 文宣王樂章정당성을 바탕으로 왕조 영속의 당위성을 고취하고자 행하던 제례였다. 유교를 국시로 표방한 만큼 조선조에서 공자가 ‘백대 제왕의 스승’으로 추앙된 것은 자연스러웠으며, 그에 따라 이념의 정통성을 확립한다는 측면에서 문선왕 석전제의 제도가 수시로 보완·시행되어 왔다. 그 석전에서 불리던 「문선왕 악장」은...
- 시대 :
- 조선전기
- 성격 :
- 악장
- 유형 :
- 작품
- 권수/책수 :
- 7장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