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피아노 소나타 29번 ‘함머클라비어’ 루트비히 판 베토벤, Piano Sonata No. 29 in BMajor Op.106 ‘Hammerklavier’
    아사이 비바체’ 빠른 스케르초로 역시 3도 관계의 두 음을 중심 모티브로 사용하면서 이 모티브가 카논 형태로 되풀이되어 등장한다. 소나타 형식을 바탕으로 작곡된 3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는 187마디에 달하는 장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3악장에 느린 템포의 악장이 자리한 건 보통 2악장에 느린 템포를 배치...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독주곡 > 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818년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출판 :
    1819년
    헌정 :
    루돌프 대공
    구성 :
    4악장
  • 용액의 총괄성 溶液總括性, colligative properties
    그 성질들은 원자 이온 분자에 상관없이, 용질 입자의 수라는 공통된 원인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성질을 총괄성 또는 집합성이라고 한다. 함께...의미를 가진 colligative라는 말대로 집합적으로 모여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성질이다. 총괄성에는 증기압력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 등이...
    도서 다음백과
  • 곰보타령
    직흥, 준오, 준륙, 사오(18) 같고/활량의 사포(19) 과녁, 에 앉은 매암이 잔등이 같고/ 경상도 진상 대굿 바리(20), 꿀병(21), 촛궤(22)/격자 바탕(23) 싸전 가게 내림틀(24) 같고/변 굼보, 태 굼보, 성주패두 염 만흥 같고/감영 뒷골의 암괭이 같고, 냉동의 박 수염 같고/새절 중으 낙도 같고, 염불암 중의 포운이 같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충신의사단비 忠臣義士壇碑
    청원을 받은 정조 임금이 ‘충신의사단(忠臣義士壇)’이라는 단호(壇號)를 내림과 동시에 충절에 대한 제문을 손수 지어 경상관찰사로 하여금 제사를 드리게...다음 해에 정조 임금이 이들의 공적을 논한 교서를 내렸는데, 이 교서를 바탕으로 비석을 세우고 교서의 내용을 비문에 새겼다. 교서에서는 이들 5인의 공적을...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1길 10-16
    지역 :
    상주
  • 라울 François-Marie Raoult
    했다. 그는 1867년에 그르노블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1870년부터 죽을 때까지 그 학교의 교수를 지냈다. 1886년경에 수용액의 어는점 내림은 용액에 녹아 있는 비전해질의 양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액체에 어떤 물질이 녹아있을 때 그 액체와 관련되어 있는 기본적인...
    출생 :
    1830. 5. 10, 프랑스 푸르네장베프
    사망 :
    1901. 4. 1, 그르노블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문학진 文學晉
    이후 1950~60년대에는 전위의식 때문에 입체파 화풍을 바탕으로 한 순수추상을 주로 했다. 그뒤 회화적 공간을 색채 위주의 깊이와 넓이, 분위기로 전환시키는...색을 억제하는 대신 나름대로 마티에르를 다양하게 구사했다. 유채의 독특한 맛을 살리기 위해 쏟아번짐, 흘러내림, 두텁고 얇은 여러 채색법을 고루 써서...
    출생 :
    1924. 4. 30,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사월의노래 四月─
    있다. 내림 마장조의 4분의 3박자 곡이며 못갖춘마디 형식을 띠고 있다. 두 마디의 동기가 선율 혹은 리듬이 반복되는 방식으로 쓰였으며 곡의 후반부는 1절과 2절 가사가 반복된다. 전반부에서는 단순한 리듬을 반복하여 서정적이면서도 담담한 분위기를 빚어내지만, 후반부 가사 ‘돌아온 사월은 생명의 등불을...
    시대 :
    현대
    저작자 :
    박목월 작시·김순애 작곡
    창작/발표시기 :
    1953년
    성격 :
    예술가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이음맞춤 Joint
    맞춤, 내림주먹장맞춤, 트인장부맞춤, 연귀맞춤, 제비초리맞춤 등이 있다.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반턱맞춤은 가장 기본적인 맞춤으로 접합부 춤의 절반씩 장부 자리를 파서 받을장 엎을장으로 맞춤을 한다. 수평부재 간 장부맞춤은 부재 마구리에 장부를 만들어 나뭇결 방향의 종단면에 파 놓은 장부구멍에 맞춤을 한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그리운 금강산 그리운 金剛山
    가곡이다. 내림나장조의 유절 가곡으로 3절까지 있으며 각 절의 3번째 악절은 후렴구로 반복된다. 전체적인 빠르기는 보통 빠르기로 노래하듯이(Moderato cantabile)이며 ‘그리움에 사무쳐서’라는 지시어가 덧붙여 있다. 노래 전반에 크레셴도(crescendo), 데크레셴도(decrescendo), 리타르단도(ritardando), 테누토...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현대음악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봄이오면
    작곡자는 이 곡을 작곡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인 작곡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조금 느린 속도의 4분의 3박자로 되어 있으며, 원곡은 바장조였으나 사장조 또는 내림마장조로도 불린다. 형식은 가요 2부형식이며 세 개의 절을 가지고 있는 유절형식의 가곡이다. 화성은 전통적인 기능화성의 바탕 위에서 주요 3화음만을...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동환, 김동진
    창작/발표시기 :
    1931년
    성격 :
    가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축귀경 逐鬼經
    막야검 · 비수검 등의 위력을 약술하여 귀신을 질책 위협하고, 여러 신장을 내림(來臨)하도록 하여 악귀를 잡아 없애겠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용호대축사...구축하고 인간을 질병과 재액으로부터 구제한다는 것으로 도교적 신관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 형식은 축귀 대장의 위엄을 소개하고 용천검 등의 위력을...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문선왕악장 文宣王樂章
    정당성을 바탕으로 왕조 영속의 당위성을 고취하고자 행하던 제례였다. 유교를 국시로 표방한 만큼 조선조에서 공자가 ‘백대 제왕의 스승’으로 추앙된 것은 자연스러웠으며, 그에 따라 이념의 정통성을 확립한다는 측면에서 문선왕 석전제의 제도가 수시로 보완·시행되어 왔다. 그 석전에서 불리던 「문선왕 악장」은...
    시대 :
    조선전기
    성격 :
    악장
    유형 :
    작품
    권수/책수 :
    7장
    분야 :
    문학/고전시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