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강막기
    금강막기(Geumgangmakgi)는 올려막기내려막기(또는 바깥막기)가 함께 어우러지는 태권도(Taekwondo 跆拳道)의 기술이다. 손날금강막기, 학다리금강막기등의 여러 동작으로 응용된다. 한편 금강막기는 한반도 고유의 역사적 유물등에서 기록되고 현존하는 바와 같이 한민족 전통의 무예 원형의 하나로 평가받는다...
    도서 위키백과
  • 카타콤베 로마인들의 지하 공동 묘지, Catacombe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아우렐리안 성벽 바깥에 위치한다. 이 아우렐리안 성벽은 총 19km, 300여 개의 감시탑, 2000개의 적 공격용 창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로마로 들어가는 문은 총 14개다. 그중 아피아 가도로 연결되는 성문을 나서면 로마의 카타콤베가 나온다. 카타콤베는 257년 기독교 박해 이래 피신처로...
  • 도봉산 도봉사 코스 인생을 가르쳐주는 코스
    역에서 내려 10분 정도 걸으면 ‘우리술상’이 보이고, 이곳에서 조금만 더 도봉산 쪽으로 올라가면 ‘산두부’가 보인다. 도봉산에서 꽤 알아주는 맛집이다. 순두부백반, 두부찌개백반, 파전, 두부김치 등을 선보이는데 다 맛있다. 지하철역에서 가까운 곳에는 김밥을 판매하는 곳이 많다. 도봉사 천년 역사를 품은...
    난이도 :
    경로 :
    도봉 탐방지원센터 → 도봉사 → 우이암
    거리 :
    약 5.6km
    소요시간 :
    편도 1시간 25분(왕복 2시간 50분)
    가는 법 :
    지하철 1, 7호선 도봉산역 1번 출구에서 도보 15분
  • 대보름 상원
    많이 내려 풍년이 든다고 한다. 이밖에 달이 뜨는 위치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한다. ⑩ 불놀이:달맞이 하러 동산에 올라갔다가 불놀이를 한다. 깡통 속에 솔방울이나 관솔을 넣어 불을 지핀 뒤 깡통을 돌리면 불꽃이 원을 그리는 듯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는다. ⑪ 동제(洞祭)`:해마다 정월 대보름이면 제를...
  • 금문사목 禁紋事目
    것을 막기 위해 내린 것이다. 내용은 선조수교(先朝受敎)·당조수교(當朝受敎)·사목·사행뇌거사목(使行齎去事目)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선조수교는 1746년(영조 22)에 내린 금문교지(禁紋敎旨)이며, 당조수교는 1787년(정조 11)에 내린 교지이다. 사목(10조)에는 금지 물품의 종류가 기록되었다. 사행뇌거사목...
    시대 :
    조선
    성격 :
    법제서, 사목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치악산 구룡사 雉岳山 龜龍寺
    설화에 따르면 원래 지금의 절터 일대는 깊은 소(沼)로서, 거기에는 아홉 마리의 용이 살고 있었다. 의상이 절을 지으려 하자, 용들은 이를 막기 위해서 천둥 벼락과 함께 비를 내려 산을 물로 채웠다. 이에 의상이 부적(符籍) 한 장을 그려 연못에 넣자 갑자기 연못 물이 말라 버리고, 그중 용 한 마리는 눈이 멀었으며...
    시대 :
    /삼국/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물길 바람길 다스리는 나무 병풍 마을숲
    뻗어내려 마을을 감싸 안는 지형인데, 마을 앞쪽에 시냇물이 흘러나가는 터진 곳(수구)에 마을숲을 만들어 양쪽 산줄기와 연결했다. 두 아름이 넘을 듯한 느티나무 거목들이 줄지어 늘어선 숲 속은 어둑했다. 숲을 넘어가면 너른 들판과 마을이 자리 잡고 있었지만 숲 밖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숲은 마을의 안과 밖...
  • 송병순 동옥(東玉), 宋秉珣
    문하에서 성리학과 예학을 수학했으며, 송달수의 사후에는 근수와 외삼촌 이세연(李世淵)의 지도를 받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5년(고종 2) 서원철훼령이 내려 만동묘가 헐리게 되자, 춘추대의 정신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훼손하지 말 것을 상소하였다. 1888년(고종 25) 의정부의 천거로 의금부도사에 임명...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충효동 정려비각 旌閭碑閣
    진출을 막기 위해 경상도 진해 · 고성 등지에서 싸웠다. 그러나 이몽학의 반란에 연루되었다는 모함을 받아 체포되고 혹독한 고문 끝에 20일 만에 옥사했다. 그의 부인 이씨는 정유재란 때 담양 추월산에 피신해 있다가 일본군의 추격을 받아 순절했다.(‘추월산 흥양 이씨 순절지’ 참조) 김덕보(金德普, 1571~1627)는...
    소재지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 (충효동 440)
    지역 :
    광주
  • 여악 여공인(女工人), 女樂
    여악을 내려주었다. 특히 내연과 중궁하례 및 친잠례에서는 여악이 반드시 필요했으므로, 조선시대 말까지 존속할 수 있었던 여악 고유의 기능이다. 조선 후기 조선 후기에 여악제도에 변화가 생겼다. 외방에서 재예가 뛰어난 여기를 뽑아서 장악원에 소속시키고 서울에서 상주하며 악가무 활동을 하게 한 조선 전기와...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무용
  • 낙산 아래 철옹성 흥인지문
    이 둘려 있다. 옹성이란 철옹산성(鐵甕山城)의 준말이다. 적을 막기 위해 성문 밖에 일정한 높이의 옹벽을 친 것을 말한다. 낙산 비탈에서 갑자기 지대가 푹...길목에 있었다. 태종이 아버지 태조의 건원릉을 참배하기 위해 드나들던 곳이기도 하다. 큰비가 내려 종로에서 흥인지문까지 사람 출입이 막힌 적도 있다...
    관련 장소 :
    흥인지문
  • 위기가 준 교훈
    개정을 막기 위해 실력행사에 들어갔다. 이들의 의도는 차기 선거에서 새로운 의회를 구성하여 다른 주정부가 이미 채택한 빈민구제법을 입법화할 때까지 부채와 세금 징수를 정지시키는 데 있었다. 그러나 당시 매사추세츠 주지사는 보수주의자 제임스 보던이었다. 그는 1786년 불법집회를 금지하는 내용의 포고령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