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날탕계 음악 날탕系 音樂
    개설 근세기 서도지역의 사당패계승집단인 날탕패가 담당했던 음악으로, 대개 선소리계통소리이다. 내용 날탕계음악은 날탕패들이 담당했던 노래로, 「산천초목」, 「놀량」, 「앞산타령(혹은 사거리)」, 「뒷산타령(혹은 중거리)」, 「경발림(혹은 경사거리)」과 같은 선소리들이해당한다. 이들 소리는 전통시대 대표적...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날탕패 관인구락부, 捺蕩牌
    개설 날탕패는 평양 출신의 남성 전문 공연집단이지만 평양보다는 서울에서 널리 알려졌다. 서울에서 평양 날탕의 존재가 알려진 것은 1907년 12월 야주현에 있었던 관인구락부에서의 공연이후였다.『서북학회월보』(1권 16호)에 의하면, 날탕들이 관인구락부에서 공연한 종목은 「앵봉가」, 「사거리」, 「방에타령...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성격 :
    공연전문집단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강선루
    팔선녀무, 승무, 안악무, 전기호접무, 현금 가야금(伽倻琴)가야금 양금(洋琴)양금 합주, 기생환 등과 금강산사진을 보여주었고, 문영갑(文泳甲)문영갑의 날탕날탕패와 朴春載박츈재의 성쥬푸리노래도 제셕타령있었다. 후반에 는 가인전목단, 향령무, 포구락, 무고, 검무, 남무, 팔선녀무(승진무), 승무, 성진무, 전기...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위치 :
    경성 파조교 단성사
    설립 :
    1912년 4월
    유형 :
    단체
    해체 :
    1912년 5월
    분야 :
    예술·체육/무용
  • 티베트 대장경
    기준으로 하면 카규르은 100함 1,108부, 텐규르는 213함 3,461부로 구성되어 있다. 티베트 대장경이 처음으로 목판에 인쇄된 것은 13세기 무렵인데, 이것을 '날탕(Snar-thaṅ) 고판(古版)'이라고 한다. 이것은 이후 1410년과 1602년에도 다시 새겨졌고 1730년에는 달라이 라마의 명에 의해 대규모로 개정되었는데, 이것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신구유행잡가 新舊流行雜歌
    병기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 <추풍감별곡>은 귀글로 적어 율독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나, 그 밖의 노래는 귀글로 적지 않고 내리 적었다. 특히, 평양날탕패소리는 한문으로는 ‘평양다탕패입창부’라 하였으나 한글로는 ‘평양날탕패선소리부’라 하여 그 명칭이 우리말로 되어 있다. 서울에서 간행되었으면서도 평양...
    시대 :
    근대
    저작자 :
    강의영
    창작/발표시기 :
    1915년(초판), 1917년(6판)
    성격 :
    가집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강희영(강의영), 세창서관
    분야 :
    문학/고전시가
  • 판놀음
    판소리·판춤 등으로 판을 벌이고, 줄타기와 판춤의 반주로 공인들이 삼현육각을 쳤다. 걸립패는 농악으로 판굿을 쳤고, 사당패는 판염불, 선소리패와 날탕패는 판염불이 변형된 선소리, 초라니패는 탈놀이와 고사소리를 불렀으며, 풍각쟁이패는 퉁소와 해금을 타서 풍악을 연주했다. 민중이 즐기는 판놀음의 음악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