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트센터 나비 워커힐미술관, Artcenter 나비
    인터랙티브(Interactive) 설치작업인 ‘삼자대화(Trialogue)’를 제작하였다. 미디어아트와 공연을 접목하는 방안을 모색해 온 아트센터 나비는 디지털 미디어와 무용, 영화, 고전음악, 게임 등 여러 장르와의 융합을 시도한 작업들을 소개했고, ‘언집핑 코드(Unzipping CODE)’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디제잉...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의식 무용
    지낼 때도 의식 무용을 추게 하였다. 또한 문묘제례(공자를 비롯하여 우리 나라와 중국의 뛰어난 유학자를 모신 문묘에 드리는 제사)와 종묘제례(왕조의 선대에 드리는 제사)에 포함되는 문묘일무와 종묘일무도 의식 무용에 속한다. 불교 무용인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 목어, 타주(打柱)도 의식 무용이라 할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나비 착복무(着服舞)
    행위동작으로 불법(佛法)을 상징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불교의식 무용 가운데 가장 중요한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식 가운데 대개 영산재(靈山齋...따서 다양하게 붙이고 있으나 춤사위는 대동소이하다. 오늘날 추는 중요 나비춤의 명칭은 도량게작법(道場偈作法) · 다게작법(茶偈作法) · 사방요신작법...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민속무용 Folk dance, フォークダンス
    사용하는 와얀 케도크라는 영회극(影繪劇)과 양클 크리티크라는 목제(木製)의 인형극이다. 무용에서는 스린피라는 궁정무용이 대표적이며, 그 밖에 쿠프쿠프라는 나비의 춤이라든가 트페인이라는 가면무용이 있다. 발리섬의 무용으로는 레곤이 가장 유명하다. 레곤극(劇)에서 나오는 아름다운 여성의 춤이며, 이와 반대...
    도서 위키백과
  • 한국 무용 Korean dance
    원구단, 사직단(社稷壇-地神) 제사에서도 노래와 춤이 있었으나, 오늘날은 제사마저 폐지되었기 때문에 춤은 소멸되었다. 먼저 불교계통의 무용은 5종이 있는데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 목어 타주(打柱) 등 5가지가 그것이다. 불교 재의식 절차 중에는 '식당작법(食堂作法)'이라고 하는 순서가 있어서, 반드시 상기 5...
    도서 위키백과
  • 법무 (무용)
    추는 원형은 타악기만의 반주로 타령 비슷한 장단을 쓴다. 속화된 것은 반염불굿거리 타령이 쓰인다. 절에서 영산재와 같은 의식에 추는 불교무용의 하나이다. 큰 고깔을 쓰고 나비처럼 긴 소매가 달린 누런 장삼을 입고 양손에 연화지(蓮花枝)를 들고 춘다. 승무(僧舞)는 불교무용에 영향을 받은 민속무용의 하나이다...
    도서 위키백과
  • 나비 Nabichum
    나비춤은 불교에서 의식을 위하여 추는 무용의 하나이다. 한자로는 ‘접무’(蝶舞), 또는 일명 ‘작법’(作法)으로도 부른다. 영산재, 상주권공재, 수륙재, 각배재, 생전예수재 등의 의식의 중간에 삽입해서 춘다. 큰 고깔을 쓰고 나비처럼 긴 소매가 달린 장삼을 입고 연화지를 들고 추며, 그 모양이 나비가 나는 것과...
    도서 위키백과
  • 조용자 갑식(甲植), 趙勇子
    서울인 경성 부민관에서 올렸다. 1945년 열린 제2회 무용발표회에서는 한국무용 「영봉찬무」, 「즉흥무」, 「봉선화」 등을 추었고, 서양무용으로는 「헝가리 무곡」, 「나비」, 「바그다드의 여인」등을 올렸다. 자신의 안무작 「봉선화」는 일제의 압박에도 민족적 긍지를 내세운 춤으로 평가받았다. 1946년에 세...
    시대 :
    현대
    출생 :
    1924년 7월 5일
    사망 :
    ?
    경력 :
    조선무용예술협회 현대무용부 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무용가
    대표작 :
    안무·출연작 「봉선화」, 「부여회상곡」, 「영봉찬무」, 「즉흥무」, 「헝가리 무곡」, 「나비」, 「바그다드의 여인」, 「포도송이 익을 무렵」
    성별 :
    분야 :
    예술·체육/무용
  • 민속시리즈(2) 승무
    승무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시작된 불교의식 중의 하나로서 이는 신체의 표현 동작으로 부처님의 공덕을 찬양하는 신업공양으로 나비춤, 바라춤과 함께 불교의식 무용으로 발달하여 왔다. 먹장삼 입고 흰 고깔 쓰고 가사(袈裟)를 메고 추는 이 춤은 처음에 부처님의 자비와 교화를 상징하는 긴 염불로 시작...
    발행일 :
    1967.6.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3
    액면가격 :
    7원
    디자인 :
    승무
    우표번호 :
    555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디자이너 :
    강춘환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민속시리즈(2) 검무
    승무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시작된 불교의식 중의 하나로서 이는 신체의 표현 동작으로 부처님의 공덕을 찬양하는 신업공양으로 나비춤, 바라춤과 함께 불교의식 무용으로 발달하여 왔다. 먹장삼 입고 흰 고깔 쓰고 가사(袈裟)를 메고 추는 이 춤은 처음에 부처님의 자비와 교화를 상징하는 긴 염불로 시작...
    발행일 :
    1967.6.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3
    액면가격 :
    4원
    디자인 :
    검무
    우표번호 :
    553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10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디자이너 :
    강춘환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민속시리즈(2) 태평무
    승무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시작된 불교의식 중의 하나로서 이는 신체의 표현 동작으로 부처님의 공덕을 찬양하는 신업공양으로 나비춤, 바라춤과 함께 불교의식 무용으로 발달하여 왔다. 먹장삼 입고 흰 고깔 쓰고 가사(袈裟)를 메고 추는 이 춤은 처음에 부처님의 자비와 교화를 상징하는 긴 염불로 시작...
    발행일 :
    1967.6.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3
    액면가격 :
    5원
    디자인 :
    태평무
    우표번호 :
    554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디자이너 :
    강춘환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박금슬 김길남(金吉男), 朴琴瑟
    정소산의 입춤과 굿거리춤 등에 관심을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만남을 이어갔는데 이러한 과정이 그의 춤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불교무용의 명인인 권수근 스님으로부터 나비춤과 바라춤, 법고춤 등을 배웠다. 서울에 돌아온 뒤 안암동, 용두동, 종암동 등지에서 무용연구소를 열었고, 1951년 부산문화극장을 시작...
    시대 :
    현대
    출생 :
    1922년
    사망 :
    1983년 2월
    유형 :
    인물
    직업 :
    무용가, 한국무용가
    대표작 :
    『춤동작』(1982)안무작 「효심」, 「중생」, 「번뇌」, 「모상(母像)」, 「승무와 바라」, 「꺼구로산조」, 「태초」, 「환희」, 「연」, 「구름」 등
    성별 :
    분야 :
    예술·체육/무용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