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나물산이나 들에서 채취한 식물 또는 채소를 조미하여 만든 반찬. 내용 나물은 숙채와 생채의 총칭이나 보통은 숙채를 일컫는다. 우리 일상식의 부식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음식의 하나로, 나물의 재료로는 모든 채소와 버섯, 나무의 새순 등이 쓰인다. 특히 우리나라는 산이 많고 청명하여 이곳에서 자란 산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
고구마 잎자루 및 끝순 나물용 재배법고구마 잎자루와 끝순의 영양가와 이용 (1) 나물용 고구마 재배 현황 고구마 잎자루는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속칭 고구마 순이라 부르며 나물용으로 애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채소 단경기인 5~6월부터 여름철까지는 고구마 잎자루를 생으로 또는 살짝 데쳐서 나물로 이용하며 가을에 채취한 잎자루는 건조 나물로...
-
수박나물 족보 있는 반찬후 남은 껍질의 하얀 속살을 썰어 고추장과 식초로 양념해서 무치면 맛있는 수박나물이 된다. 아삭아삭 씹히는 맛이 식감도 좋고, 맛도 늙은 오이로 무친 오이나물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훌륭하다. 그래서 예전에는 많은 가정에서 수박 껍질로 나물을 무쳤는데 요즘은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겼을...
- 분류 :
- 채소류
-
오곡밥과 나물의 조화, 정월대보름 이야기액막이 연 날리기, 달집 태우기, 쥐불놀이, 줄다리기 등이다. 독특한 음식도 빠질 수 없다. 정월 대보름에는 다섯 가지 곡식으로 오곡밥을 지어먹고 열 가지 나물로 반찬을 만들며 단단한 견과류를 입에 넣고 부럼 깨물기를 한다. 차가운 술을 남녀노소가 함께 마시는 귀밝이술, 솔잎을 깔고 떡을 쪄먹는 솔떡도 대보름...
-
윤판나물 Korean disporum않게 관리한다. 용도 • 꽃이 아름답고 번식 및 재배가 용이한 식물이므로 공원 등의 낙엽성 교목 하부식재용 지피식물로 이용하면 매우 좋다. •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根莖(근경) 및 根(근)을 石竹根(석죽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에서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潤肺(윤폐), 止咳(지해...
- 분류 :
- 백합목 > 백합과 > 애기나리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Disporum uniflorum Baker
- 개화기 :
- 4월, 5월, 6월
-
짚신나물줄기 높이 3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나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생육환경 •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용도 •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9월 단단해진 줄기 아랫부분은 버리고 부드러운 윗줄기와 잎, 꽃을 함께 잘게 썬 다음 끓여서 염액을 내었다. 아주...
- 분류 :
- 장미목 > 장미과 > 짚신나물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Agrimonia pilosa Ledeb.
- 개화기 :
- 6월, 8월, 7월
-
파드득나물있다. 또 연작을 싫어하므로 재배할 때는 3년정도로 윤작할 필요가 없다. 씨는 건조를 싫어하며 수명은 2년이다. 용도 • 잎과 줄기, 꽃봉오리, 뿌리까지 나물로 이용한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단맛이 있어서 그 향과 맛을 살려 조림도 만들고 튀김이나 볶음도 맛있다. 뇌의 활동을 향상시키며 시력도 좋게 하므로...
- 분류 :
- 산형화목 > 산형과 > 파드득나물속
- 꽃색 :
- 백색
- 학명 :
-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개화기 :
- 7월, 6월
-
물레나물 매대체, Giant St. Johnswort화려하며 많은 수의 수술이 다섯 묶음으로 난 특징을 지닌 다년초로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 꽃잎이 물레처럼 비틀어져 있어 물레나물이라고 불린다. 고추나물(H. erectum Thunb.)에 비해서 수술은 5개의 뭉치로 되며, 암술대가 5개이고, 꽃은 더욱 크므로 구분된다. 동아시아에서 북아메리카 동부에 이르는 광범위한...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차나무목 > 물레나물과 > 물레나물속
- 서식지 :
- 산록의 초지
- 학명 :
- Hypericum ascyron L.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중국, 베트남, 일본, 몽골, 러시아, 북아메리카 동부
-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개요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짚신나물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Agrimonia pilosa Ledeb.’이다. 짚신나물이라는 이름은 식물에 달린 털들이 짚신에 달라붙어 신과 함께 여기저기를 여행했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또한 학명의 ‘agrimonia’는 ‘가시가 많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pilosa’는...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짚신나물속
- 원산지 :
- 유럽, 아시아
- 서식지 :
- 풀밭, 길가
- 크기 :
- 약 30cm ~ 1m
- 학명 :
- Agrimonia pilosa Ledeb.
- 꽃말 :
- 감사
- 용도 :
-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
광대나물 코딱지나물꽃은 줄기의 윗부분에 달리는 엽액에 달리며 잎자루가 없고 대생하기 때문에 마치 잎이 윤생(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본 분류군은 우리나라의 광대나물속 다른 식물들에 비해서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며, 꽃은 길이 2cm 이하로서 작으므로 구분된다. 어린 식물체는 나물로 먹기도 하고, 민간에서는 지혈제로 쓰인다...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광대나물속
- 서식지 :
- 숲의 가장자리, 길가, 밭
- 학명 :
- Lamium amplexicaule L.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