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매듭내용 실용적인 매듭과 장식적인 매듭으로 크게 구분한다. 실용적인 매듭은 끈목의 한 끝을 매어 매듭을 지을 때나 끈목과 끈목의 끝을 서로 맞이을 때 사용된다. 또 끈목의 끝을 다른 물체에 잡아매거나 그 물체를 늘어뜨릴 때, 끈목의 길이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그 중간을 맬 때 등 생활 속에 필요한 수단으로 쓰이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다회 多繪내용 다회(多繪)는 끈목을 뜻하며, 여러 모양으로 짠 끈목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다회는 조선 초기의 문헌에서부터 기록이 나타나고 있는데, 면관(冕冠), 교명(敎命), 도자(刀子), 주머니 등 다양한 물품에 장식 또는 실용적인 기능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다회를 짜는 장인인 다회장(多繪匠)은 조선시대에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운봉 수향낭 雲鳳 繡香囊연꽃으로 받침을 하였다. 향낭 위에는 매듭을 달아 장식하고 끝에 긴 고리를 만들어 걸게 하였다. 양 가장자리에는 위에서부터 각색의 끈목을 늘어트려 장식하였다. 고리에서 끈목장식까지의 총 길이는 87.5㎝이다. 몸체 자수 부분의 바탕천은 백색으로 무늬가 없이 짠 공단을 사용했으며 흑·백·청·홍·녹·황색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생활/의생활
-
한국의 미 시리즈(두번째묶음) 도금 호리병 노리개 삼작미 시리즈 우표를 발행하고 있는 체신부는 우리의 아름다운 전승공예인 매듭으로 된 노리개를 소재로 두번째 묶음을 발행합니다. '매듭'이란 한 가닥의 '끈목'(여러 올의 실로 짠 끈의 총칭)을 돌리고 맺고 하여 '끈목'한자리에서 세가닥 이상을 얽어서 만들어내는 모양새를 두고 이르는 말이며 제대로의 모습을 갖추기...
- 발행일 :
- 1992.9.21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00원
- 디자인 :
- 도금 호리병 노리개 삼작
- 우표번호 :
- 1697
- 인면 :
- 22×32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5도색+요판 1도색
- 디자이너 :
- 원인재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한국의 미 시리즈(두번째묶음) 봉술노리개 소삼작미 시리즈 우표를 발행하고 있는 체신부는 우리의 아름다운 전승공예인 매듭으로 된 노리개를 소재로 두번째 묶음을 발행합니다. '매듭'이란 한 가닥의 '끈목'(여러 올의 실로 짠 끈의 총칭)을 돌리고 맺고 하여 '끈목'한자리에서 세가닥 이상을 얽어서 만들어내는 모양새를 두고 이르는 말이며 제대로의 모습을 갖추기...
- 발행일 :
- 1992.9.21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00원
- 디자인 :
- 봉술노리개 소삼작
- 우표번호 :
- 1695
- 인면 :
- 22×32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5도색+요판 1도색
- 디자이너 :
- 원인재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한국의 미 시리즈(두번째묶음) 도금 낙지발술 노리개 삼작미 시리즈 우표를 발행하고 있는 체신부는 우리의 아름다운 전승공예인 매듭으로 된 노리개를 소재로 두번째 묶음을 발행합니다. '매듭'이란 한 가닥의 '끈목'(여러 올의 실로 짠 끈의 총칭)을 돌리고 맺고 하여 '끈목'한자리에서 세가닥 이상을 얽어서 만들어내는 모양새를 두고 이르는 말이며 제대로의 모습을 갖추기...
- 발행일 :
- 1992.9.21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00원
- 디자인 :
- 도금 낙지발술 노리개 삼작
- 우표번호 :
- 1696
- 인면 :
- 22×32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5도색+요판 1도색
- 디자이너 :
- 원인재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한국의 미 시리즈(두번째묶음) 대삼작 노리개미 시리즈 우표를 발행하고 있는 체신부는 우리의 아름다운 전승공예인 매듭으로 된 노리개를 소재로 두번째 묶음을 발행합니다. '매듭'이란 한 가닥의 '끈목'(여러 올의 실로 짠 끈의 총칭)을 돌리고 맺고 하여 '끈목'한자리에서 세가닥 이상을 얽어서 만들어내는 모양새를 두고 이르는 말이며 제대로의 모습을 갖추기...
- 발행일 :
- 1992.9.21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00원
- 디자인 :
- 대삼작 노리개
- 우표번호 :
- 1698
- 인면 :
- 22×32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5도색+요판 1도색
- 디자이너 :
- 원인재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매듭장 매듭匠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복식이나 의식용구의 장식으로 사용하는 매듭은 일명 격답(格搭) · 결자(結子)라고도 하며, 외형상으로는 굵은 끈목을 치는 일, 두 가닥의 끈으로 잇대어 맺어가는 일, 그리고 적절한 술을 만들어 아래로 길게 늘어뜨리는 일 등 몇 가지 세분된 공정으로 되어 있다. 우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장도 粧刀지나치게 강하거나 묽지 않도록 하여 숯돌로 갈아서 광을 낸다. 이렇게 칼자루와 칼집과 칼과 장식이 만들어지면 꽃자주색·남색 등으로 물을 들인 명주실로 끈목을 짜서 한 줄이 네 가닥이 되도록 하여 고리에 끼게 된다. 이때 고리에 끼이게 되는 끈목 아래위에는 고리매듭을 하여 장도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의생활
-
영친왕 도류불수문 자수 향주머니 英親王桃榴佛手紋刺繡香囊물건이다. 남녀가 두루 사용했다. 둥근 모양의 두루주머니와 각이 진 모양의 귀주머니로 구분되며 수를 놓거나 진주로 장식하기도 한다. 입구에 끼워져 있는 끈목을 졸라매어 허리에 차고 다닌다. 기록에 따르면 왕실에서는 향을 넣어 옷에 차는 향낭(香囊)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주머니 한쪽은 홍색, 다른...
- 분류 :
- 유물 > 장신구
- 크기 :
- 높이: 7.6cm, 너비: 10.2cm
- 재질 :
- 견 · 견사 · 금사 · 은사 · 유리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