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깡통 깡筒
    본 뜻 알루미늄이나 쇠붙이 등으로 만든 속이 빈 밀폐용기인 캔(can)과, 캔에 해당하는 한자어인 통(筒)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이다. 바뀐 뜻 음식이나 음료수 등을 담아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만들어진 용기를 가리킨다. 속어로 쓰일 때는 아는 것이 없고 머리가 텅 빈 사람을 가리킨다. 보기글 ㆍ그 사람 컴퓨터엔 완...
    유형 :
    외래어
  • 깡통 Steel and tin cans, 缶
    깡통(-筒, can통, 캔)은 상품의 유통 또는 보관을 위한 얇은 금속 재질로 된 용기를 말한다. 일부 캔은 캔 따개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상단 패널을 제거하여 열 수 있다. 다른 제품에는 도구 없이 손으로 커버를 제거할 수 있다. 캔에는 식품, 음료, 기름, 화학 물질 등 다양한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다. N.아페르에 ...
    도서 위키백과
  • 깡통주택
    집을 팔아도 대출금이나 세입자 전세금을 다 갚지 못하는 주택이라 할 수 있겠다. 주택담보대출금과 전세보증금을 합친 금액이 70퍼센트가 넘으면 사실상 ‘깡통주택’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집이 경매에 넘어갔을 때 새 주인을 찾는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의 비율)이 대체로 시세의 70~80퍼센트 선에서...
  • 깡통으로 화분 만들기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기
    버려지는 분유통이나 깡통들을 모아서 화분으로 만드는 건 어떨까요? 물이 새지 않는 모든 것들이 화분이 될 수 있어요. 분유통과 깡통 바닥에 구멍을 뚫고, 손잡이를 달아서 걸 수 있게 만들 수도 있지요. 조금만 정성을 들이면 돈을 들이지 않고도 내 취향에 딱 맞는 수많은 화분들을 만들 수 있어요. 정성이 들어간...
  • 깡통전세 깡통주택
    남는 것이 없거나 손해를 본다는 뜻의 ‘깡통 차다’와 ‘전세(傳貰)’를 결합한 신조어로, ‘깡통주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해당 주택에 대한 담보 대출금 총액과 전세금(임차보증금)의 합이 집값의 70%가 넘으면 깡통전세로 본다. 주택이나 아파트의 매매 가격이 내려가고, 전세금이 올라가는 현상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부동산 , 시사용어
  • 깡통계좌 적좌계좌
    적자계좌라고도 한다. 1990년 6월말에 조사한 바로는 약 5만 개의 깡통구좌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 이로 인한 증권투자가들의 총외상자금은 무려 3조 원에 달했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물론 주가의 폭락이지만, 그보다 더 깊은 원인은 신용거래라는 주식외상거래제도이다. 이 제도는 증권회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깡통전세
    깡통전세는 남는 것이 없거나 손해를 본다는 뜻의 ‘깡통 차다’와 ‘전세’를 결합한 신조어로, 집주인의 주택 담보 대출 금액과 전세금 합계가 집값에 육박해 시장 침체 시기 집값이 떨어지면서 세입자가 전세금을 떼일 우려가 있는 주택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주택 담보 대출 금액과 전세금의 합이 집값의 70%가...
  • 깡통차기
    내용 깡통이라는 물건이 우리나라에 유입되기 시작한 근대 이후에 발생한 놀이다. 놀이방법에는 다음의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아이들끼리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정한 뒤에, 술래가 깡통을 차서 다른 아이를 맞히는 방법이다. 이때 술래가 차는 깡통을 피해다닐 수 있는 거리를 미리 정해두지만, 잘못하여 그 깡통에 맞은...
    시대 :
    근대
    성격 :
    어린이놀이, 소년놀이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통치마 깡통치마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전통치마와 같이 길이가 발등까지 내려왔으나, 1920년대 들어오면서 점차 통치마 길이가 짧아지면서 종아리가 드러나 보이게 되자 ‘깡통치마’라 불렀다. 통치마에 멋을 부려 서양복의 플리츠 스커트처럼 치마 주름이 굵직하게 치맛단 끝까지 내려오도록 눌러서 다려 입기도 하였다. 단 윗부분을...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의복
    분야 :
    생활/의생활
  • 남포동 깡통시장 알짜배기 쇼핑과 즐거운 눈요기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형성된 시장으로 옛날에는 주로 미군 부대에서 반출된 물건을 팔던 곳이었다. 미군 부대에선 주로 통조림 같은 깡통 제품이 많이 반출되었는데 그래서 '깡통 시장'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수입품을 많이 판매하고 있는데 술, 과자, 의류, 화장품, 가방, 그릇 등 다양한 물건을...
    위치 :
    중구 중구로 43번길, 47번길
    가는 법 :
    지하철 1호선 자갈치역 7번 출구에서 도보 7분
  • 부평시장(깡통시장)
    부산 부평시장은 깡통시장이라고도 한다. 이름부터 재미있는 깡통시장은 6.25후 미군이 진주하면서 군용 물자와 함께 온갖 상품들이 밀수입되었는데 특히 과일, 생선 등 갖가지 통조림이 많이 수입되어 시장의 이름이 깡통시장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돗떼기 시장'이라고도 했는데 그 당시 이곳을 토애 전국의 주요...
    위치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1길 48
  • 국제시장 國際市場
    4공구, 가전제품·기계·공구 등을 판매하는 5·6공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함께 근처에 구제시장 골목, 팥빙수 골목, 화장품 골목, 먹자골목, 소품골목, 깡통 시장 등이 들어서 있다. 2016년 기준 약 1,500명 정도가 국제시장과 인근 일대를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014년 개봉한 윤제균 감독의 영화 <국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부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3건

알루미늄 깡통
깡통전세
남포동 깡통 시장
남포동 깡통시장
분유통·깡통으로 만든 화분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는 방법 6단계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는 방법 3단계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는 방법 4단계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는 방법 5단계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는 방법 7단계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는 방법 1단계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는 방법 8단계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는 방법 2단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