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깡통 깡筒본 뜻 알루미늄이나 쇠붙이 등으로 만든 속이 빈 밀폐용기인 캔(can)과, 캔에 해당하는 한자어인 통(筒)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이다. 바뀐 뜻 음식이나 음료수 등을 담아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만들어진 용기를 가리킨다. 속어로 쓰일 때는 아는 것이 없고 머리가 텅 빈 사람을 가리킨다. 보기글 ㆍ그 사람 컴퓨터엔 완...
- 유형 :
- 외래어
-
깡통으로 화분 만들기 분유통·깡통을 화분으로 변신시키기버려지는 분유통이나 깡통들을 모아서 화분으로 만드는 건 어떨까요? 물이 새지 않는 모든 것들이 화분이 될 수 있어요. 분유통과 깡통 바닥에 구멍을 뚫고, 손잡이를 달아서 걸 수 있게 만들 수도 있지요. 조금만 정성을 들이면 돈을 들이지 않고도 내 취향에 딱 맞는 수많은 화분들을 만들 수 있어요. 정성이 들어간...
-
-
-
깡통차기내용 깡통이라는 물건이 우리나라에 유입되기 시작한 근대 이후에 발생한 놀이다. 놀이방법에는 다음의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아이들끼리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정한 뒤에, 술래가 깡통을 차서 다른 아이를 맞히는 방법이다. 이때 술래가 차는 깡통을 피해다닐 수 있는 거리를 미리 정해두지만, 잘못하여 그 깡통에 맞은...
- 시대 :
- 근대
- 성격 :
- 어린이놀이, 소년놀이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통치마 깡통치마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전통치마와 같이 길이가 발등까지 내려왔으나, 1920년대 들어오면서 점차 통치마 길이가 짧아지면서 종아리가 드러나 보이게 되자 ‘깡통치마’라 불렀다. 통치마에 멋을 부려 서양복의 플리츠 스커트처럼 치마 주름이 굵직하게 치맛단 끝까지 내려오도록 눌러서 다려 입기도 하였다. 단 윗부분을...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의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부평시장(깡통시장)부산 부평시장은 깡통시장이라고도 한다. 이름부터 재미있는 깡통시장은 6.25후 미군이 진주하면서 군용 물자와 함께 온갖 상품들이 밀수입되었는데 특히 과일, 생선 등 갖가지 통조림이 많이 수입되어 시장의 이름이 깡통시장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돗떼기 시장'이라고도 했는데 그 당시 이곳을 토애 전국의 주요...
- 위치 :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1길 48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