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당선생한씨부훈 한씨부훈, 南塘先生韓氏婦訓
    전제하면서 사친(事親)과 봉선(奉先)이 만사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강조하였다. 의의와 평가 송시열의 『계녀서(戒女書)』와 송요화(宋堯和)의 아내인 김호연재(金浩然齋, 1681∼1722)가 지은 『자경편(自警篇)』과 함께 충청권에서 저술된 여성 규훈서로서 조선후기 성리학적 여성 규범과 가정 안에서의 역할을 이해하는...
    시대 :
    근대/개항기
    저작자 :
    한원진
    창작/발표시기 :
    1874년(고종 11)
    성격 :
    교훈서, 여훈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17장)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서울대학교 규장각
  • 윤여환
    원산 대종사 진영을 제작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한국인의 초상인물화를 남기며 폭넓은 영정미술 문화를 다져나가고 있다. 2019년에는 조선시대 여성시인 김호연재의 생애와 시문학을 돌아보고, 직계 혈손들을 통해 그의 용모를 찾아가 김호연재 영정으로 환생되는 과정을 그린 ‘TJB창사특집_다큐판타지 환생, 달의...
    도서 위키백과
  • 김성동 (소설가) Kim Seong-Dong, 金聖東
    김성도)의 큰형인 고성군수 김성달(이옥재)부부는 부부시인으로 유명하였는데 안동세고와 연주록같은 시문집을 남겼으며 조선후기 여류시인으로 유명한 김호연재(호연재김씨)는 김성달의 딸이며 김성도의 조카이다. 김성동의 증조할아버지 김창균(창규)은 촉망받는 수재였다고 한다. 15살 때 충청남도 생진과 시험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