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재규 金載圭
    박정희 정권 하에서 건설부 장관과 중앙정보부장을 지냈으며,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을 시해하여 유신체제의 막을 내리게 했다. 1945년 9월 경북사범대학교 중등교원 양성소를 수료하고 잠시 교사 생활을 하다가 1946년 9월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여 육사 제2기로 그해 졸업·임관했다. 5.16 군사정변 후 계엄군을 지휘했...
    출생 :
    경북 선산, 1926. 3. 6
    사망 :
    1980. 5. 24, 서울
    국적 :
    한국
  • 김재규 金載圭
    해방 이후 10, 26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 당시의 군인. 정치인.|내용 본관은 김녕(金寧)으로 경상북도 선산군(현 구미시 선산읍)에서 출생하였다. 1943년 안동농림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중등교원양성소에 입학하여 1945년 수료하였다. 김천중·고교에서 교직생활을 하였고, 국군창설 때 조선국방경비...
    시대 :
    현대
    출생 :
    1926년 3월 6일
    사망 :
    1980년 5월 24일
    경력 :
    국회의원, 건설부장관, 중앙정보부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10·26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
    직업 :
    군인,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김녕
  • 김재규 Kim Jae-gyu, 金載圭
    공직자 정보 김재규(金載圭, 1924년 4월 9일 ~ 1980년 5월 24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제9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 전국구), 건설부 장관, 중앙정보부장을 지냈다. 박정희의 집권 기간 동안 대표적인 최측근으로 있었으나,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등을 암살한 10.26 사건을 일으켰다. 본관은 김녕(金寧)이...
    도서 위키백과
  • 김재규 金在奎
    전라남도 강진군(康津郡) 남면(南面) 마동(馬洞)에서 태어났다. 1909년 당시 판결문에 따르면 25세로, 1885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잡화상에 종사하다가 신보현(申甫鉉)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의병활동을 하였다. 1907년 8월 헤이그 특사 사건으로 고종이 퇴위당하고 대한제국 군대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해산당하...
    출생 :
    1885년, 전라남도 강진(康津)
    사망 :
    미상
    주요활동 :
    전남 장성(長城), 전북 순창(淳昌), 정읍(井邑) 등지에서 의병활동
    포상훈격 :
    2015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신보현 의병부대
  • 김재규 (1938년)
    공직자 정보 김재규(金在珪, 1938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양정고등학교 1961년: 서울대학교 법학과 학사 1965년: 서울대학교 행정학과 석사 1988년: 국방대학원 안보과정 1989년~1992년: 우간다 주재 대한민국 대사 1992년~1993년: 대전직할시 국제관계자문대사 1993년~1996년: 베를린 주재 대한민국...
    도서 위키백과
  • 10·26사태 박정희 암살 사건, 十二六事態
    즉 10·26사태 직전의 국내외적 상황은 유신체제가 더이상 지속되기 어려운 한계상황이었다. 더욱이 집권층 내부의 갈등은 당시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재규와 대통령 경호실장이었던 차지철(車智澈)의 대립구도로 표면화되었다. 이들의 대립을 결정적으로 증폭시킨 것은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의 저항, 특히 부마사태의...
  • 올라에듀 공무원학원
    회사 정보 올라에듀 공무원학원 (구 김재규학원)은 공무원 학원이다. 1997년 7월: 경찰승진연구회 설립. 1999년 3월: 인쇄소(경승사) 설립. 2002년 7월: 길벗경찰학원 설립. 2004년 6월: 김재규경찰학원으로 명칭변경. 2005년 3월: (주)유비티아로 상호명 변경. 2006년 5월: 김재규학원 광주캠퍼스 설립. 2008년 1월...
    도서 위키백과
  • 10·26사태 십이륙사태, 十二六事態
    집권층 내부의 갈등을 야기시켜 10·26사태를 발생시켰다. 대통령 경호실장 차지철(車智澈)은 부마항쟁에 관한 강경진압을 주장하였으며,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상대적으로 온건한 입장이었고 양인은 서로 경쟁적인 입장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이 차지철의 입장을 수용해 강경진압을 채택하자 차지철의 견제로 진퇴위기...
    시대 :
    현대
    발생 :
    1979년 10월 26일 밤 7시 40분 경
    성격 :
    암살사건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관련 인물/단체 :
    김재규, 박정희
  • 10 ・ 26사건 발생
    박정희 대통령이 중앙정보부 안가에서 술자리를 하다가 심복인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총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 그 자리에 있던 차지철 경호실장도 김재규의 총을 맞고 사망했다. 1979년 들어 박정희 정권은 위기에 몰려 있었다. 박정희 정권은 YH무역의 여성 노동자들을 강제 진압한 데 이어 김영삼 신민당 총재의...
    시대 :
    1979년 10월 26일
    국가/대륙 :
    한국
  • 서울의봄
    신군부가 광주 5 · 18민주화 운동에 군인을 투입해 수많은 희생자를 남긴 채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종결되었다. 내용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등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경호실장을 살해하면서 10 · 26사건이 발생했다. 이날 박정희는 KBS 당진 송신소 개소식과 삽교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현대사
  • 12·12 군사반란 十二十二 軍事叛亂
    것이다. 갈등을 일으키게 한 대립의 쟁점은 사건수사와 군의 인사문제였다. 전두환이 이끄는 신군부세력은 군부 내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정승화가 김재규(金載圭)의 내란에 방조한 혐의가 있다고 주장하고, 10·26사태 수사에 소극적이고 비협조적임을 내세워 정승화를 강제 연행하기로 계획하였다. 10·26사태...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박정희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朴正熙
    선포하고 계엄군을 투입하여 1,058명을 연행하고 66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다. 이를 ‘부마항쟁’이라고 한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는 중앙정보부장 김재규, 경호실장 차지철 등과 함께 부마 사태의 수습책을 논의하기 위해 궁정동에 모였다. 이곳에서 박정희는 차지철과 함께 김재규에게 피격당하고 말았다. 그는...
    출생 :
    1917년
    사망 :
    1979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김재규
재판을 받고 있는 김재규
10.26사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