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인식 金仁湜
    김인식은 한국 최초의 서양 음악가로 「학도가」·「표의」·「부모은덕가」 등 다수의 노래를 작곡한 작곡가이다. 음악 교육자, 풍금 연주자, 바이올린 교육자이다. ‘올드 랭 사인’에 붙여 부른 「애국가」의 가사를 작사한 여러 작사가 중 한 명이기도 하다. 홍난파를 비롯한 한국 음악사의 중요 인물들을 지도한 최...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김인식 金寅植
    대한제국기 을사조약 체결 후 자신회를 조직하여 을사오적의 처단을 계획한 항일운동가.|생애 및 활동사항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임실 출신.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이에 격분하여 나인영(羅寅永) · 오기호(吳基鎬) 등과 함께 5적을 처단하기로 계획하였다. 그리하여 자신회(自新會)를 조직하여 ...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김인식 金仁湜
    작곡가·양악교사.|근대 서양음악의 개척자이다. 11세에 평양 숭덕학교에서 창가를 배우고, 16세에 숭실중학교에 들어가 선교사 부인 헌트와 스눅에게 성악을 배웠다. 이때 오르간 연습을 하면서 서양음악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실력이 뛰어나 3학년 때는 저학년들의 음악시간에 교사 노릇까지 했으며, 그람리에게 코...
    출생 :
    평양, 1885. 9. 19
    사망 :
    1963, 대구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김인식 김군식, 金仁植
    1911년 12월 27일 전남 여수 중류(中流)의 농가에서 태어났다. 본적지는 전남 여수군 돌산면(突山面) 죽포리(竹浦里)이다. 1945년 광복 직후에는 벌교군 벌교읍 벌교리에 살았다. 김군식(金君植)이라는 이명과 금택인식(金澤仁植)이라는 창씨명을 사용했다. 1928년 3월 여수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4월 전라남도공...
    출생 :
    1911년 12월 27일, 전라남도 여수(麗水)
    사망 :
    1975년 3월 28일, 전라남도 여수(麗水)
    관련 사건 :
    광주학생운동
    주요활동 :
    1929년 광주학생운동 참가, 1930년 여수사회과학여눅회 참가, 1932년 여수적색노동조합 가입
    포상훈격 :
    2008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여수사회과학연구회
  • 김인식 金寅植
    1879년 전라북도 임실(任實)에서 태어났다. 1905년 11월 18일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이에 반대하여 통감부에 항의문을 제출하고 항거하였다. 1907년 2월 3일 ‘을사오적 처단 의거’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 비밀결사단체인 자신회(自新會)를 조직하고 동지들을 규합하였는데 200여 명에 달하였다. 나인영(羅寅永) ・ 오기...
    출생 :
    1879년 9월 20일, 전라북도 임실(任實)
    사망 :
    1926년 2월 1일
    관련 사건 :
    을사오적 처단 의거
    주요활동 :
    1907년 자신회 조직, 을사오적 처단 의거, 1909년 단군교 중광, 1919년 3・1운동 참가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자신회, 대종교
  • 김인식 (1947년) Kim In-sik, 金寅植
    야구 선수 정보 김인식(金寅植, 1947년 4월 14일 - )은 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자, 현 KBO 총재 특별보좌, 한국독립야구연맹 위원장이다. 실업 야구 팀 한일은행에서 투수로 뛰던 중 어깨 부상을 당해 일찍 은퇴하였다. 배문고등학교, 상문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은 후, 1986년 해태...
    도서 위키백과
  • 김인식 金仁植
    1868년 12월 28일 충남 서산군(瑞山郡) 대호지면(大湖芝面, 현재 당진군) 장정리(長井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서산 천의장터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 서산군 대호지면에서는 면장 이인정(李寅正)을 비롯하여 면서기 김동운(金東雲), 강태완(姜太玩), 민재봉(閔載鳳)과 면사무소 직원 송재만(宋...
    출생 :
    1868년 12월 28일, 충청남도 서산(瑞山)
    사망 :
    1945년 1월 29일
    관련 사건 :
    서산군 대호지면 ・ 정미면 천의장터 만세운동
    본관 :
    부안(扶安)
    주요활동 :
    1919년 4월 4일 서산군 천의장터 만세시위 참여
    포상훈격 :
    1995년 대통령표창
  • 김인식 독수재, 金仁植
    1864년 1월 20일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에서 출생하였다. 본관(本貫)은 경주(慶州)이고 자(字)는 사흥(士興)이며, 호(號)는 독수재(篤守齋) ・ 하석(霞石)이다. 어릴 때 불리던 이름은 옥경(玉經) ・ 홍식(洪植) ・ 복경(復經)이다.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 이후 고종황제에게 수차례 소(疏)를 올리고 자결한 연재(...
    출생 :
    1864년 1월 20일, 전라북도 임실(任實)
    사망 :
    1939년 11월 11일
    관련 사건 :
    후기의병
    본관 :
    경주(慶州)
    주요활동 :
    1912년 의병장 이석용이 조직한 임자동밀맹단(壬子冬密盟團)의 단원으로 활동
    포상훈격 :
    2013년 건국포장
    관련 인물/단체 :
    임자동밀맹단
  • 김인식 金仁植
    1883년 8월 6일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한지면(漢芝面) 하왕십리(下往十里)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3월 당시 야채행상을 하며, 고양군 한지면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8일 용산 총독관방 총무국 인쇄소 인쇄직공들의 파업을 시작으로 3월 9일부터 서울 시내에서는 상점들의 철시투쟁이 시작되었...
    출생 :
    1883년 8월 6일, 경기도 고양(高陽)
    사망 :
    1945년 10월 26일
    관련 사건 :
    고양군 한지면 만세시위
    주요활동 :
    1919년 3월 9일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하왕십리 만세시위 참여
    포상훈격 :
    2008년 대통령표창
  • 김인식 (작곡가)
    인물 정보 김인식(金仁湜, 1885년 ~ 1963년)은 1905년 학도가를 작사·작곡한 작곡가이다. 학도가는 한국 최초의 양악곡이며, 이로써 김인식은 한국 최초의 양악곡 작곡가이기도 하다.서적 인용 1885년 평양에서 태어났지만 5남중에는 넷째로 태어났는데 첫번째 형과는 10살 터울, 두번째 형과는 4살 터울, 세번째 형...
    도서 위키백과
  • 김인식 (1953년)
    야구 선수 정보 김인식(金仁植, 1953년 11월 9일 ~ )은 전 KBO 리그 MBC 청룡의 내야수이자 현 코리아 드림 리그 연천 미라클의 감독이다. 쌍방울 레이더스 창단 감독을 지낸 투수 출신의 야구 지도자 김인식과는 동명이인이며, 그의 아들은 전 KIA 타이거즈의 투수이자 현 KBO 리그 연천 미라클 투수인 김준이다. 실업...
    도서 위키백과
  • 김대지 일봉, 金大池
    1891년 10월 7일 경상도 밀양도호부(密陽都護府) 부내면(府內面) 내이리(內二里, 현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서 태어났다. 상민 출신의 가난한 유생(儒生)이면서 밀양군 아전(衙前)이던 김경수(金景守)와 어머니 정라(丁羅) 사이의 1남 3녀 중 외아들이었다. 호는 일봉(一峰)이고, 베이징(北京)에서 김태일(金太一), ...
    출생 :
    1891년 10월 7일, 경상남도 밀양(密陽)
    사망 :
    1942년 10월 26일
    관련 사건 :
    밀양폭탄사건
    주요활동 :
    1913년 일합사 결성, 광복단 참여, 1918년 출옥 후 만주 지린으로 망명, 1919년 임시의정원 의원, 임시정부 내무위원, 의열단 창단 지도, 1920년 의열단의 제1차 국내의거계획 지원, 베이징 군사통일촉성회 활동, 1923~1925년 의열단장 김원봉의 고문 역할, 1927~1929년 만주지역 민족유일당운동에 참여
    포상훈격 :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김인식
김인식
김인식
김인식
김인식 판결 결과 보도(『매일신보』 1936. 7.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