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연실 金蓮實, Kim Yeon-sil일제 강점기 조선과 6.25 전쟁 이후 북한의 배우인 김연실은 부모를 일찍 여의고 김학근 밑에서 성장했던 김연실은 15세의 나이로 초혼을 했지만, 곧 실패하고 말았다. 김연실은 연극과 영화계에 골고루 활동한 경력이 있으며, 다채로운 이력으로 인해 굵직한 한국 연극영화계의 단체들을 경험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 출생 :
- 1910년 12월 29일
- 사망 :
- 1997년
- 본명 :
- 김연실(Kim Yeon-sil)
- 데뷔 :
- 1927년 <잘 있거라>
-
김연실 金蓮實해방 이후 북한에서 「정찰병」, 「처녀 리발사」, 「아름다운 거리」 등에 출연한 배우. 영화배우, 연극배우, 가수. 생애/활동사항 1911년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한 김연실은 변사로 활동하는 오빠 김학근의 영향으로 영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가정형편이 어려워 학교를 중퇴한 김연실은 1927년 나운규프로덕션의 1...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1년
- 사망 :
- 1997년 8월
- 경력 :
- 인민배우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월북, 인민배우
- 직업 :
- 배우, 영화배우, 연극배우, 가수
- 대표작 :
- 남한: 잘 있거라(1927), 세 동무(삼걸인)(1928), 바다와 싸우는 사람들(1930), 승방비곡(1930), 화륜(1931), 임자없는나룻배(1932), 종로(1933), 청춘의 십자로(1934)북한: 정찰병(1953), 처녀 리발사(1970), 아름다운거리(1970), 잔칫날 도시편(1974), 탈출기(1984), 림꺽정(1987-1989)
- 성별 :
- 여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김연실 최연실, 金蓮實1898년 1월 16일 평안북도 희천군(熙川郡) 남면(南面) 원명동(圓明洞)에서 태어났다. 이명으로 최연실(崔蓮實)을 사용하였다.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영변의 숭덕(崇德)여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15년부터 1917년까지 증산 창신(彰新)여학교와 평양 정진(正進)여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였다. 1917년부터 1918년까지 경성...
- 출생 :
- 1898년 1월 16일, 평안북도 희천(熙川)
- 사망 :
- 미상
- 관련 사건 :
- 3・1운동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1일 평양 남산현 감리교회 만세운동 참여, 대한애국부인회 ・ 흥사단에서 활동, 1923년 대한인여자애국단 활동과 성금으로 독립운동 후원
- 포상훈격 :
- 2015년 건국포장
- 관련 인물/단체 :
- 창신여학교, 정진여학교, 인성학교, 대한애국부인회, 흥사단, 대한인여자애국단
-
-
-
김소봉 야마자키 도키히고(Tokihiko Yamasaki), 金蘇峯현상을 맡았다. 〈전과자〉(전 7권)는 가족을 떠나 방랑하던 주인공이 아버지의 위급을 구하고 전과자가 되는 내용의 영화였다. 이 작품에는 이경선과 김연실이 출연하여 집을 나간 아들과 오빠를 기다리는 여동생 역할을 맡았으며, 어머니 역으로 김소영이 출연하였다. 최진이 조명을 맡은 작품이었다. 김소봉의 다음...
- 본명 :
- 야마자키 도키히고(Tokihiko Yamasaki)
- 데뷔 :
- 1934년 경성촬영소 1회 작품인 〈전과자〉
-
레코드사마다 연예인 영입 경쟁보기로 한다. 괄호 안의 이름은 상대 만담가이다. 「월급날」(윤백단) 「만주의 지붕밑」(윤백단) 「소문만복래」(성광현, 신일선, 나품심) 「창살기도」(신은봉, 김연실) 「요절 춘향전」(성광현) 「선술집과 인생」(차홍녀, 이동호) 「개똥할머니」(김진문) 「홍백타령」(신은봉) 「국수 한 사발」(신은봉) 「곁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