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수경 양한재(養閑齋), 金壽卿조선전기 장단부사, 연안부사, 이천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양한재(養閑齋). 반정을 전후하여 한때 김수정(金壽正)으로 이름을 고쳤다가 다시 김수경으로 고쳤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김적(金磧)이며, 영의정 김수동(金壽童)의 동생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82년(성종 13) 성균관유...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65년(세종 11)
- 사망 :
- 1525년(중종 20)
- 경력 :
- 이천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동(安東)
-
김수경 (역도 선수) Kim Soo-kyung (weightlifter), ..인물 정보 김수경(1985년 8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여자 역도 선수이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국가 대표로 참가해 여자 63kg급에서 5위를 차지했으며, 2005년 제4회 동아시아 게임에서 동메달을 땄다. 종목 기록 날짜 대회 순위 종전 기록 63kg 인상 97.5㎏ 2004, 4,13 2004 아테네 올림픽 대표선발 평가전(서울...도서 위키백과
-
김수경 (1976년)인물 정보 김수경(金秀卿, 1976년 ~ )은 통일부 차관이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 / 학사) 스탠퍼드 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 박사) 2000.10: 동아일보 기자 2014.09: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연구교수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2016.12: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2018.11: 통일부 통일교육위원·정책자문위원 2021.03...도서 위키백과
-
조선어문법이론 조선어문법리론대해서는 정열모, 박상준, 박창해, 최태호, 정인승 등 학자의 견해를, 격의 체계와 격 형태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최현배, 정열모, 조선어문연구회, 김수경, 조선과학원, 김대, 김민수, 서광수, 최윤갑, 이희승 등 학자나 기관의 견해를 나열하면서 쟁점을 지적했다. 문장론에서는 문장의 표식과 그 표현 수단, 단어...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귀배(李貴培), 리귀배
- 창작/발표시기 :
- 1988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415쪽)
- 간행/발행 :
-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어 문법1948년 10월에 전문연구위원회 안에 열두 명으로 구성된 문법편수분과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전몽수를 위원장으로 하여 이극로, 홍기문, 김병제, 박상준, 김수경, 허익, 명월봉, 김용성, 신구현, 박종식, 박준영이 그 위원들이었다. 문법편수분과위원회에서는 1년 동안 작업을 하여 1949년 9월 초에 원고를 완성하였는데...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00년 현대 유니콘스 시즌리버스 스윕을 당할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7차전을 승리로 장식하며 두산을 4승 3패로 꺾고 창단 2번째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한편, 김재박 감독이 정민태 김수경 임선동 이들 같은 소속 투수 3명을 공동 다승왕이 되도록 99년 19, 2000년 18)을 기록하긴 했으나 모두 정규시즌 MVP와 거리가 멀었으며 2003년에는 다승...도서 위키백과
-
1998년 현대 유니콘스 시즌뉴스 인용 챙겼다. 방콕 아시안게임 금메달: 최원호, 박재홍 KBO 골든글러브: 정민태 (투수), 박경완 (포수), 박재홍 (외야수), 전준호 (외야수) KBO 신인상: 김수경 KBO 골든포토상: 정민태 매직글러브: 정민태 (투수), 박경완 (포수), 이명수 (2루수), 전준호 (좌익수) 스포츠서울 올해의 선수상: 정민태 한국시리즈...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