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5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성한 제1회 동인 문학상 수상자『바비도』 김성한(金聲翰, 1919~2010)은 전후에 왕성하게 활동한 신세대 작가 중의 한 사람이다. 1956년 그는 단편 「바비도」로 제1회 동인 문학상을 거머쥐는 영광을 차지한다. 「바비도」는 중세 영국을 배경으로 위선적이며 권위적인 교회 체제에 맞서다가 이단으로 몰려 사형을 당하는 봉제 직공 바비도를 주인공...
- 출생 :
- 1919년
- 사망 :
- 2010년
-
-
-
김성한 하남(霞南), 金聲翰해방 이후 「오 분간」·「바비도」, 『임진왜란』 등을 저술한 소설가.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는 하남(霞南)이다. 우화 기법이나 신화 변용을 통해 독특한 작품 세계를 드러내면서, 전후 한국사회의 부패상이나 혼란에 대한 소설적 비판을 수행하였던 작가이다. 1960년대 중반 이후에는 역사소설의 집필에 ...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현대
- 출생 :
- 1919년 1월 17일
- 사망 :
- 2010년 9월 6일
- 경력 :
- 사상계 주간, 동아일보 논설위원, 예술원 회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소설가
- 대표작 :
- 오 분간, 바비도, 이성계, 이마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본관 :
- 김해(金海)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성한 (1958년) Kim Seong-han (baseball), 金城漢1988), 또한, 은퇴 당시 안타(1389), 루타(2285), 득점(762), 2루타(247) 부분에서 통산 1위를 기록하였다. 장종훈의 등장 이전 각종 타격 기록은 김성한의 것이었고 "기록 제조기"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1982년 KBO 리그 원년 해태 타이거즈는 14명이라는 초미니 선수단으로 출발하였다. 김성한은 팀의 3번 타자로서...도서 위키백과
-
김성한 金聖漢1892년경 경기도 김포군(金浦郡) 군내면(郡內面) 북변리(北邊里, 현 김포시 북변동)에서 태어났다. 성장 배경 및 가족 관계, 본관 등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성장한 뒤에는 만주에서 독립군으로 활동하였다. 3・1운동의 영향으로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조선독립운동기성회(朝鮮獨立運動...
- 출생 :
- 1892년, 경기도 김포(金浦)
- 사망 :
- 미상
- 주요활동 :
- 1925년경 대한국민회 제15지회 서기로 활동
- 포상훈격 :
- 2012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국민회
-
김성한 (1960년)공직자 정보 김성한(金聖翰, 1960년 11월 25일~)은 대한민국의 제5대 국가안보실장이다. 1973년 2월: 대광초등학교 졸업, 윤석열 대통령과 동갑이며 국민학교 동기동창이다. 1976년 2월: 동대문중학교 졸업 1979년 2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졸업 1983년 2월: 고려대학교 영문학 학사 1985년 2월: 고려...도서 위키백과
-
김성한 金成漢1896년 7월 8일 경상북도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에서 태어났다. 1919년 당시에는 비안면 동부동(東部洞)에 거주하였다. 1919년 3월 12일 비안면 쌍계동에서는 비안공립보통학교의 학생들과 쌍계교회 교인, 쌍계동 주민들이 연합하여 만세 시위를 일으켰다. 이 만세 시위는 인근 서부동 및 동부동으로 번져갔다. ...
- 출생 :
- 1896년 7월 8일, 경상북도 의성(義城)
- 사망 :
- 1974년 2월 11일
- 관련 사건 :
- 비안면 만세시위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13일 의성군 비안면 만세시위 참여
- 포상훈격 :
- 2008년 대통령표창
-
김성한 (1992년 9월)프로게이머 정보 김성한(1992년 9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종족은 저그이며, 아이디는 Sleep이다. IM과 SlayerS, CheckSix팀에서 활동하였으며 2012년 12월 AZUBU에 입단했다. 2014년 1월 KT 롤스터로 이적했다. 2015년 8월 19일 KT 롤스터 팀을 탈퇴하였다. 2016년 4월 Team LeiFeng...도서 위키백과
-
김성한 (1887년)김성한(金星漢, 1887년 ~ ?년)은 일제강점기의 관료이다. 출신지는 경성부와 원적지인 충청남도 공주군의 두 가지로 전한다.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인 1911년에 경성부의 관립한성외국어학교를 졸업하였다. 학교 졸업과 동시에 조선총독부 군서기에 임명되면서 관계에 들어섰다. 경상남도 경주군에 처음 발령받았고...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