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호학파 畿湖學派조선 중기의 학자 이이(李珥)를 조종으로 하는 학문상의 유파. 개설 이황(李滉)의 학설을 따르는 영남지방의 성리학자들을 지칭하는 영남학파와 구별하여 일컫는 말이다. 기호지방은 경기도를 중심으로 황해도와 충청도 일원으로서, 동쪽은 관동지방, 남쪽은 호남지방, 북쪽은 관서지방과 접경을 이룬다. 이곳에서 이...
- 시대 :
- 조선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17세기 이후의 기호학파16세기에 형성된 기호학파는 17세기에 새로운 양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 시기 집권층의 과제는 양란의 피해를 복구하고, 신분제의 문란과 지주제의 전개에 따른 중세사회의 동요를 해결하여 국가를 재건하는 것이었다. 이런 추세에 맞추어 사상계에서는 주자의 사상과 경세론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
기호학파의 형성과 학설고려말에 수용된 성리학은 16세기가 되면서 더욱 발전하여 그의 기본개념인 이기(理氣)에 대한 원론적인 탐구와 논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이 발단은 1559년(명종 14)부터 8년간 이황과 기대승(奇大升) 간에 벌어진 사칠논변(四七論辯)이었다. 이 논쟁은 1572년(선조 5) 이이와 성혼(成渾)과의 논쟁에서 재연되었으며, 이...
-
-
절충파 折衷派보면, 이황(李滉)과 이이(李珥)가 이기론의 문제에 있어 각기 상이한 학설을 제시한 이래, 영남학파(嶺南學派)는 이황의 학설을 신봉해 주리파로 발전하고, 기호학파(畿湖學派)는 이이의 학설을 옹호해 주기파로 발전함으로써 학파의 분열이 일어났다. 그 사이에서 자파의 입장을 떠나 양자의 견해를 자유로이 수용하기...
- 시대 :
- 조선
- 성격 :
- 성리학 유파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
주기파 主氣派내용 기호학파(畿湖學派)라고도 하나 정확히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다. 이기론(理氣論)에 있어 이이(李珥)의 학설을 따라 이(理)와 기(氣)가 결코 분리될 수 없으며, 작용하는 것은 기뿐이라고 하는 ‘이기혼융설(理氣混融說)’ 내지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다. 이황(李滉)의 학설을 계승해 이와...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송시열 宋時烈먼저 율곡을 배워야 한다.’라는 취지에서 아들에게 《격몽요결》부터 가르쳤다. 그리고 공자에서 주자, 이이로 이어지는 학통을 강조해 일찍부터 아들에게 기호학파의 학풍을 주입시켰다. 송시열의 뛰어난 자질은 사계 김장생을 만남으로써 완성되었고, 사계의 도학은 송시열을 얻음으로써 빛을 발하게 되었다고 해도...
- 출생 :
- 1607년
- 사망 :
- 1689년
-
-
김집 사강(士剛), 金集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조대건(曺大乾)의 딸이다. 아버지 김장생과 함께 예학의 기본적 체계를 완비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에게 학문을 전하여 기호학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91년(선조 24)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했으나, 사장학(詞章學: 시와 문장을 짓는 데 힘쓰는 학문)보다는...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74년(선조 7)
- 사망 :
- 1656년(효종 7)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광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