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탁금 Election deposit, 供託金
    세계화 기탁금(寄託金)은 선거(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에 출마한 후보가 후보등록할 때 관할 선거관리위원회에 일정한 액수의 금액을 기탁한후 당선여부 및 득표율에 따라 전부 혹은 일부 금액을 반환하거나 국고로 귀속하는 제도이다. 선거에서 각 후보 및 정당들의 무분별한 출마를 방지하기 위해 있다. ...
    도서 위키백과
  • 정치후원금 (관련어 기탁금) 정치헌금
    정당과 국회의원 등의 정치 활동에 쓰이는 비용으로 국고나 당비 외에 사용하도록 기부되는 기금. '정치헌금'이라고도 한다. <정치자금법>에는 후원금, 기탁금, 보조금, 그밖의 정치활동을 위해 제공되는 금전이나 물품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정치후원금에 대해서는 각국에서 정치적 영향력과 부의 불균형의 문제가 직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경제
  • 의원후보기탁금제 議員候補寄託金制
    원을 기탁해야 한다(지방의회의원 선거법 제36조, 지방자치단체장선거법 제32조). 한국 선거법에 기탁금제가 생긴 것은 '유신선언' 이후이다. 그러나 기탁금의 액수가 현행처럼 많은 경우에 일반 서민이나 젊은층의 피선거권과 국민의 대표자를 선택할 권리를 침해함과 동시에 선거에 있어서 헌법에 보장되는 기회균등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정치자금법 政治資金法
    투명성 확보와 정치자금 부정 방지를 법률의 목적으로 명시하였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내용 「정치자금법」에서 말하는 정치자금은 기부, 당비, 후원금, 기탁금, 보조금, 정당의 당헌 · 당규 등에서 정한 부대 수입, 정당, 예비후보자 · 후보자 · 당선인, 후원회, 정당의 간부 또는 유급 사무직원, 그 밖에 정치활동을...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정치자금법 政治資金法
    정치자금과 관련한 부정을 방지함으로써 민주정치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되었으며, 제1장 총칙과 제2장 당비, 제3장 후원회, 제4장 기탁금, 제5장 국고보조금, 제6장 기부의 제한, 제7장 정치자금의 회계 및 보고·공개, 제8장 벌칙, 제9장 보칙 등 총 9장 65개조와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회의원선거법 國會議員選擧法
    인의 추천을 받아 선거일이 공고된 날로부터 5일내에 지역구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하였다. 등록시에 정당후보자는 7백만 원, 무소속후보자는 1천5백만 원의 기탁금을 납부하였다. 전국선거구에 있어서는 정당별로 그 당의 순위가 적힌 전국선거구의원후보자명부와 각 본인의 승낙서 및 후보자당 7백만 원의 기탁금과...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48년 3월
    폐지일 :
    1994년 3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대통령선거법 大統領選擧法
    대통령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선거일 공고일로부터 7일 이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하되 정당의 추천을 받은 자의 경우는 추천서와 5,000만 원의 기탁금을, 무소속후보자는 선거권자 5,000인 이상 7,000인 이하의 추천장과 1억 원의 기탁금을 제출 또는 기탁하도록 하였다. 또한, 후보자가 사퇴하거나 등록이...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3년 2월
    폐지일 :
    1994년 3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당비 黨費, Party Due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정당의 재정자립은 물론, 당원들의 정치 참여의식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당은 당비 이외에도 기탁금이나 정부 보조금 등을 받아 운영된다. 기탁금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모금해 각 정당에 배분하는 정치후원금이다. 당비 납부가 저조할수록 외부 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외부...
  • 공직선거 예비후보자제도 公職選擧 豫備候補者制度
    예비후보자제도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비후보자 등록 요건 예비후보자 등록 요건은 두 가지이다. 먼저, 「공직선거법」 제56조에 명시된 각급 선거 기탁금의 20%를 각급 선거구 선거관리위원회에 납부하여야 한다. 예비후보자가 공직선거 후보가 되면 예비후보자 기탁금으로 납부한 나머지 금액(80%)을 납부하면 된다...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공무담임권
    무효로 하는 것은 공직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보장하고 공무원의 원활한 직무수행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청구인의 공무담임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이 사건 기탁금조항은 총장후보자 지원자들의 무분별한 난립을 방지하고 그 책임성과 성실성을 확보함으로써 선거의 과열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므로 목적의 정당성은...
    도서 위키백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관위, 中央選擧管理委員會
    사무 관리 정치자금법에 근거, 정치자금의 원활한 조달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후원회의 등록과 후원금 모금 및 기부상환, 국고보조금 지급과 지출상황 감독, 기탁금의 수탁과 배분, 정당 및 후우너회의 회계 보고 접수와 확인, 정치자금 모금지원 및 사무처리 등을 지원하고 있다. 선거·정치제도 연구 국제과에서는...
    설립 :
    1963년 1월 21일
    유형 :
    헌법기관
    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홍촌말로 44
    사이트 :
    http://www.nec.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헌법
  • 석좌교수 chair professor
    탁월한 학문적 업적을 이룬 당대의 석학을 초빙해 모시는 교수를 말한다. 대학은 외부기관이나 개인 기탁금으로 조성된 대학 석좌기금이나 대학발전기금 등의 재원으로 석좌교수를 지원하는데, 강의보다는 연구 활동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명예로운 자리로 간주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85년 시작되었는데, 애초 취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