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중기 起重機, crane
    기중기는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기능과 이동시키는 기능으로 구분된다. 19세기 초 증기기관·내연기관·전동기가 도입된 이후 기중기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데릭 기중기는 도르레 장치에 의해 지브 전체 길이를 조정하며 지브 꼭대기에서 밧줄로 화물을 끌어올려 회전시켜 화물을 옮긴다. 강력한 데릭 기중기는 해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기중기 hoist
    전력선 보수 용어. 끄는 힘을 가함으로써 하중을 움직이게 하는 장치. 가이드로 움직이는 차나 플랫홈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런 장치는 보통 무거운 하중을 들어 올린다든가 끈다든가 할 수 있도록 롤 또는 링크체인과 함께 지레를 이용하여 설계되어 있다. 종종 이완도 조정 및 결선을 조이는 작업시 도체를 끌어 묶...
  • 기중기 Crane (machine), クレーン
    구별 기중기(起重機) 또는 크레인(Crane)은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옮기는 기계이다. 주로 물건을 담거나 집는 기구 부분, 와이어, 드르래, 팔, 차체 등으로 구분된다. 도르래 작용에 따라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고 회전하여 옮길 수 있다. 기중기는 일반적으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위한 운송, 자...
    도서 위키백과
  • 기중기 起重機, Cranes
    중화물의 적재 및 적하 작업, 기중 작업, 토사의 굴토 및 굴착 작업, 수직 굴토, 항타 및 항발 작업 등을 수행하는 건설 기계. 무한 궤도식, 트럭 탑재식, 휠식 등이 있다.
    분야 :
    기동
  • 크레인 기중기 crane, 크레인 起重機
    이른바 기중기로서 중량물의 이동에 사용되는데 짐을 매달아 상하 방향으로 운반하는 외에 트롤리의 횡행, 기체의 주행 또는 지브의 선회, 기복 등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운반하는 기계로 다종 다양한 종류가 있다. 건설공사에서는 토사, 석재, 목재, 강재, 건설 기계 등의 이동, 운반, 고층 건축물, 대형 토목...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전자석 기중기
    자석을 전자석이라 한다. 연철봉에 코일을 감아 만드는데 전자석의 세기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나 코일의 감은 횟수에 따라 변하게 된다. 전자석 기중기기중기의 아랫부분에 전자석이 든 사각형 모양의 발이 여러 개 있다. 전류를 흐르게 하면 각 발이 모두 강력한 전자석이 되어 여기에 무겁고 긴 철판이나...
    도서 다음백과
  • 용강기중기조종원
    수행직무 작업지시서를 숙지하고 작업내용을 숙지한다. 기중기 및 관련 설비를 운전 전후 점검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주유 및 시운전을 하고 고장 시 수리부서에 의뢰를 한다. 신호에 따라 출선된 레이들(Ladle)을 권상하여 전로에 용선장입, 슬래그 배재 및 운반작업을 위하여 용강기중기를 운전한다. 취련이 종료...
    교육수준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육체활동 :
    시각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조작운전
    유사명칭 :
    용강기중기운전원
    고용직업분류 :
    [6230]물품이동장비 조작원(크레인·호이스트·지게차)
    표준직업분류 :
    [8740]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자격/면허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C241]1차 철강 제조업
    조사연도 :
    2013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천정기중기조종원
    수행직무 작업지시서 및 기중기반장의 지시사항을 숙지하고 작업내용 및 목적, 작업특성 등을 파악한다. 기중기 및 주요 장비에 대하여 운전하기 전 또는 후 검사일지에 명시된 사항을 점검하고 시운전하며 고장 시 정비부서에 수리를 의뢰한다. 작업목적 및 특성에 따라 기중기의 부대품을 선택하고 수동공구 및 장비를...
    교육수준 :
    6년 초과 ~ 9년 이하(중졸 정도)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육체활동 :
    손사용, 시각
    직무기능(자료) :
    비교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조작운전
    유사명칭 :
    천정기중기운전원
    고용직업분류 :
    [6230]물품이동장비 조작원(크레인·호이스트·지게차)
    표준직업분류 :
    [8740]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자격/면허 :
    기중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F426]건설장비 운영업
    조사연도 :
    2013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기중기신호원
    장애물의 유무를 확인한다. 중량물을 와이어로프로 묶거나 연결용 쇠고랑을 체결한다.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링벨트(Sling Belt)를 사용한다. 기중기조종원에게 신호하여 물품을 약간 들어올려 낙하물 및 고정상태를 확인한 후 운반위치에 이동시켜 내려놓는다. 연결고리 및 로프를 풀고 물품의 상태를 확인...
    교육수준 :
    6년 초과 ~ 9년 이하(중졸 정도)
    숙련기간 :
    시범후 30일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외
    직무기능(자료) :
    비교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단순작업
    유사명칭 :
    크레인신호수, 기중기수신호원, 크레인수신호원, 타워크레인수신호원
    고용직업분류 :
    [7060]건설·채굴 단순 종사원
    표준직업분류 :
    [9100]건설 및 광업 단순 종사원
    표준산업분류 :
    [F411]건물 건설업 / [F412]토목 건설업 / [F426]건설장비 운영업
    조사연도 :
    2014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기중기조종원
    수공구를 사용하여 붐(Boom)에 작업장치를 조립·설치하고 점검 일지에 명시된 사항을 점검한다. 시동순서에 따라 엔진을 시동한다. 레버를 조작하여 기중기방향을 조종하고 작업장소로 운전한다. 작업 중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중기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정차시킨다. 운반물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고 기중기...
    교육수준 :
    6년 초과 ~ 9년 이하(중졸 정도)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육체활동 :
    시각
    직무기능(자료) :
    비교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조작운전
    유사명칭 :
    크레인운전원, 기중기운전원
    고용직업분류 :
    [6230]물품이동장비 조작원(크레인·호이스트·지게차)
    표준직업분류 :
    [8740]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자격/면허 :
    기중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F426]건설장비 운영업
    조사연도 :
    2013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기중기조종반장
    수행직무 제품·반제품·중간소재·재료 등의 중량물을 필요한 위치와 목적에 따라 운반·교환·장입·적재하기 위한 작업계획을 세운다. 기중기조종원 등의 작업원에게 작업지시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중기운전을 직접 수행하기도 한다. 기중기조종원 등의 작업원에게 직무교육 및 안전위생교육을 실시하여 직무...
    교육수준 :
    6년 초과 ~ 9년 이하(중졸 정도)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조정
    직무기능(사람) :
    감독
    직무기능(사물) :
    조작운전
    유사명칭 :
    기중기운전반장
    고용직업분류 :
    [6230]물품이동장비 조작원(크레인·호이스트·지게차)
    표준직업분류 :
    [8740]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자격/면허 :
    기중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F426]건설장비 운영업
    조사연도 :
    2013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컨테이너기중기조종원
    수행직무 하역할 컨테이너의 수량 및 규격을 확인하고 조정장치를 조작하여 기중기를 선박의 갑판이나 차량 위로 내린다. 조정레버와 패널을 조작하여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들어 올려 갑판 위나 차량으로 운반한다. 신호원의 신호에 따라 선적·하역할 장소에 기중기를 내리고 조정장치를 조작하여 컨테이너를 선박...
    교육수준 :
    6년 초과 ~ 9년 이하(중졸 정도)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육체활동 :
    손사용, 시각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관련없음
    직무기능(사물) :
    조작운전
    유사명칭 :
    트렌스퍼크레인조작원, 컨테이너기중기조작원
    고용직업분류 :
    [6230]물품이동장비 조작원(크레인·호이스트·지게차)
    표준직업분류 :
    [8740]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자격/면허 :
    기중기운전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H529]기타 운송관련 서비스업
    조사연도 :
    2013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기중기
기중기
기중기
기중기
기중기
전자식 기중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