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여악 여공인(女工人), 女樂
    서울과 외방의 국가기관에서 신역으로 악가무를 하는 여자 악인 또는 그들이 공연하는 악가무. 여공인·여령·기악·여기·기생·기·창기·관기.|개설 신분은 공천(公賤)으로, 50세까지 국가의 크고 작은 연향에서 공연활동을 하였다. 공연의 주요 내용은 정재였고, 악기 연주 및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경우에 따라 ...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무용
  • 기녀 여기, 妓女
    여기(女妓)·여악(女樂)·기생(妓生)이라고도 한다. 보다 포괄적으로는 약방(藥房)에서 의약(醫藥)과 침구(鍼灸)를 배운 의녀(醫女), 상방(尙房)에서 침선(針線) 등을 익힌 관비(官婢)의 총칭으로, 어떤 특별한 기능을 가진 여성이라는 뜻이며 관제상 기생과 같다. 고대로부터 가무를 하는 유녀(遊女)는 있었던 것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직업
  • 기성기생양성소 평양기생학교, 箕城妓生養成所
    안에 있는 기생 교육기관이다. 한 명의 기생이 탄생하기까지 매우 엄격한 전문 교육이 이루어졌다. 평양의 경우 1921년 이전까지 기생의 학습은 기생서재(妓生書齋)에서 이루어졌다. 기생서재에서는 기생의 학습이 사적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교육의 내용 역시 유동적이다. 그러나 기생학교에서는 교육 과정과 평가...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풍물차비 풍물차비기생(風物差備妓生), 風物差備
    내용 풍물차비는 조선 후기 궁중 연향을 행할 때에 악기를 연주한 여성 음악인을 말한다. ‘풍물차비기생(風物差備妓生)’ 또는 ‘풍물잽이’라고도 하였다. 관현맹인(管絃盲人)과 함께 주로 장악원(掌樂院)의 악공(樂工)이나 악생(樂生)이 참여할 수 없는 내연(內宴)에서 음악을 연주하였다. 조선조에는 궁중에서 연향...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기생타령 妓生打令
    形式)으로 되어 있고, 장단은 다른 휘몰이 잡가와 마찬가지로 대개 잦은 타령장단에 의하나, 자수에 따라 장단이 일정하지 못하다. 사설 가운데에 ‘귀권번(貴券番)’ 또는 ‘가무선생(歌舞先生)’ 등의 용어가 나오는 점으로 미루어, 기생권번(妓生券番)이 처음으로 설립된 1910년 이후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성격 :
    휘몰이잡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소장/전승 :
    서울
  • 기생 관기, 妓生
    제정 목적 기생은 국가에 대한 공적(公的) 의무를 져야 했던 특수 계층의 여성으로 조선시대에 국가 의례나 궁중의 연회에서 여악(女樂)을 담당했던 전문 예술인을 말한다. 이들은 궁중과 지방의 연회에 참석하여 쾌락과 유흥을 담당하였다. 또한 다모(茶母)의 역할이나, 관리들을 응대하고 성적 봉사를 해야 하는...
    시대 :
    근대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사회/사회구조
  • 기생 Kisaeng, 妓生
    직업 정보 기생(妓生) 혹은 기녀(妓女)는 춤·노래·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관기(官妓) ·민기(民妓) ·약방기생 ·상방기생 등 예기(藝妓)의 총칭이다. 천인 신분이었지만 춤, 노래, 시(詩) 등에 능한 예인(藝人)이었으며, 대표적인 기녀로는 16세기 사람인 황진이가 있다...
    도서 위키백과
  • 다동기생조합 무부기조합, 茶洞妓生組合
    개설 무부기조합으로 불리기도 했다. 다동기생조합이라는 이름은 서울 중구 다동에 있는 기생조합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다동기생조합이라는 이름은 설립 초부터 불렸던 이름은 아니었다. 다동기생조합 설립 초기에 세간에서는 이 조직을 무부기조합이라고 불렸다. 그러나 무부기는 다동조합 설립 이전에도 있었고, 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13년
    성격 :
    기생조합
    유형 :
    단체
    해체 :
    1918년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기생조합만세운동 妓生組合萬歲運動
    내용 1919년 서울에서 3·1운동이 전개되고 전국 각지로 파급되자, 진주·수원·해주·통영 등지의 기생들이 독자적으로 만세 시위를 통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3월 19일진주에서 기생독립단 일대가 태극기를 선두로 촉석루를 향해 시위 행진하며 독립 만세를 외쳤다. 이때 일본 경찰이 기생 6인을 붙잡아 구금...
    시대 :
    근대
    발생 :
    1919년
    성격 :
    독립운동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기생조합
  • 기생조합만세운동 妓生組合萬歲運動
    1919년 3월 19일, 일단의 진주 기생들은 태극기를 앞세우고 촉석루를 향해 시위행진을 벌이면서 독립만세를 외쳤다(→ 3·1운동). 이에 일본경찰은 6명의 기생을 구금했는데, 그중 한금화(韓錦花)는 흰 명주자락에 "기쁘다, 삼천리강산에 다시 무궁화 피누나"라는 혈서를 쓰기도 했다. 3월 29일에는 수원기생조합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기생방 妓生房
    돌려 보낸 일도 있었으나 11세기 중엽에 다시 설치되었다. 1076년의 관현방과 1124년의 태악서(太樂署) 등에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서가 보인다. 조선시대의 기생은 기녀 이외에도 유녀집단이 계속되어 유녀금록(遊女禁錄)이 등장하기도 했다. 조선 초기부터 관습도감(慣習都監)·전악서(典樂署) 등에서 음악과 무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기생초류 妓生草類, tickseed
    기생초속은 100여 종(種)의 1년생초와 다년생초로 이루어져 있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대부분 두상화가 피며 통상화는 노란색, 설상화는 노란색·분홍색·흰색 또는 알록달록한 색이다. 두상화는 줄기 끝에 1송이씩 피거나 무리져 피고 몇몇 변종들은 겹꽃으로 핀다. 잎은 갈라져 있으며 마주난다. 기생초를 정원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