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골 骨기골(氣骨) : 기혈(氣血)과 골격(骨格). 여기서 ‘기골이 장대(壯大)하다’라는 말이 나왔다. 자신의 신념(信念)을 좀처럼 굽히지 아니하는 강한 기개(氣槪)를 이른다.
- 유형 :
- 신체에 관련된 한자
-
이규보 고려의 문신삶에도 주목, 여러 편의 시를 남기기도 했다. 그의 문학은 자유분방하고 웅장한 것이 특징인데, 당시 이인로 계열의 문인들이 형식미에 치중한 것에 반해 기골(氣骨)·의격(意格)을 강조하고 신기(新奇)와 창의(創意)를 높이 샀다. 자기 삶의 경험에 입각해서 현실을 인식하고 시대적·민족적인 문제의식과 만나야...
- 출생 :
- 1168(의종 22)
- 사망 :
- 1241(고종 28)
- 국적 :
- 고려, 한국
- 대표작 :
- 동국이상국집
- 종교 :
- 불교
- 본관 :
- 황려(黃驪, 지금의 경기도 여주시)
- 자 :
- 춘경(春卿)
- 호 :
- 백운거사(白雲居士), 지헌(止軒),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
신라 23대 왕, 법흥왕 法興王등 신라의 국가 체제를 정비하였으며, 연호를 사용하고 불교를 공인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기골이 장대했던 아버지 지증왕을 닯아 키가 7척이나 되었으며, 도량이 넓었고 백성을 사랑하는 성품이었다고 전한다. 부인이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의 딸이었는데...
- 출생 :
- 미상
- 사망 :
- 54(법흥왕 27)
- 국적 :
- 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514년∼540년
- 출생지 :
- 신라 금성 탁부
- 능묘 :
- 경주 법흥왕릉(慶州 法興王陵)
-
수리산 태을봉 코스 화장기 없는 수수한 분위기제법 큰 바위를 만나게 된다. 이 바위에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옛적에 어느 임금이 있었다. 임금은 40세가 넘어서도 왕자가 없어 고민하던 중 마침내 기골이 장대한 왕자를 얻게 되었다. 왕은 늦은 나이에 얻은 왕자를 끔찍이도 아꼈다. 왕자가 3살이 되던 해 전란이 일어나 궁궐을 떠나 강화도로 향하는 나룻배...
- 난이도 :
- 중
- 경로 :
- 제3코스 입구 → 한마음 등산로 → 태을봉 → 관모능선 → 노랑바위 → 제4코스 입구
- 거리 :
- 약 3.0km
- 소요시간 :
- 편도 1시간 40분
- 가는 법 :
- 지하철 4호선 산본역 4번 출구 쪽으로 나오면 왼편으로 버스 정류장이 있다. 계단을 따라 내려간 후 1번, 3번, 11-5번 등 남천병원·엘림복지원으로 향하는 버스를 탄다. 버스에서 내려 왼편으로 걸어가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이때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길을 건넌 후 조금 걷다가 GS25 편의점이 있는 왼편으로 진입한다. 이 길로 쭉 걸으면 등산로 입구가 보인다.
-
이의립 직보(直甫), 李義立강양(江陽). 자는 직보(直甫). 산음(山陰) 출신. 아버지는 증형조참판 이난춘(李蘭春)이며, 어머니는 박영준(朴英俊)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태어나면서 기골이 장대하고 힘이 세었다. 자라면서 동리 아이들을 모아 전쟁놀이를 하면서 무술을 연마하고, 말달리기와 활쏘고 창쓰는 법을 익히며, 병서를 읽어 장재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62년(명종 17)
- 사망 :
- 1642년(인조 20)
- 경력 :
- 경상좌도수군절도사, 병조판서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인조반정, 병자호란
- 직업 :
- 공신,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강양(江陽)
-
최칠석 위정(威靖), 崔七夕종손인 최양(崔瀼)과 함께 고향에 은거하였다가 태조의 부름을 받아 1394년(태조 3) 경기도도수군절제사(京畿道都水軍節制使)에 보임되었으나 곧이어 병으로 죽었다. 기골이 장대하고 남달리 키가 컸으며, 임금의 명을 받아 기선(騎船)을 만들었고, 특히 왜구를 방어하는 데 공이 많았다. 시호는 위정(威靖)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1394년(태조 3)
- 경력 :
- 경기도도수군절제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윤이(尹彛)·이초(李初)의 옥사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나덕명 극지(克之), 羅德明克之), 호는 소포(嘯浦) 또는 귀암(龜菴). 아버지는 증 좌찬성 나사침(羅士忱), 어머니는 파평윤씨(坡平尹氏) 윤언상(尹彦商)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기골이 장대하고 담력이 컸으며, 29세인 1579년(선조 12)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의금부도사가 되었으나 그것이 마지막 벼슬이었으며, 일생을 야인으로 지냈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51년(명종 6)
- 사망 :
- 1610년(광해군 2)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소포유고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나주(羅州)
-
-
박갑쇠 박삼봉(朴三峯), 朴甲釗개설 일명 삼봉(三峯).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임실 출신. 기골이 장대하고 품은 뜻이 웅위하여 어려서부터 사람들로부터 대장감이라는 소리를 들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같은 고을의 이석용(李錫庸)이 임실에서 의병을 일으켜 창의동맹단(倡義同盟團)을 조직하고 의병장으로...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