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융릉 장조와 현경왕후의 능하면서도 글 읽는 것보다 무예를 중요시하는 데 불만이 있었다. 조선 왕조에서 대리청정은 기회이자 위기였다. 국왕을 대신해 정무를 잘 처리할 경우에는 능력을 인정받고 입지를 다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신뢰를 잃고 실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대리청정은 훈련을 목적으로 한 우호적 기회임이...
-
한중록 한중만록(閒中謾錄), 閑中錄혐의를 두지 않았음을 말하고 있다. 그다음에는 정순왕후의 친정이 어떻게 정조의 등극을 방해했는지를 말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중록」은 역사적 인물의 글이면서, 더욱이 그 인물이 비빈(妃嬪)이라는 사실에서, 정치적 야화(野話)로서 역사의 보조 자료가 된다.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사망한 사건인 임오화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
조선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영조 vs 사도세자맑았으며, 글의 뜻을 이해함에도 그릇됨이 없었으니 뵙는 사람마다 동궁의 거룩하심을 일컬어 궁중 밖에서도 좋은 명성이 많이 떠돌았다. 사도세자가 혜경궁 홍씨와 결혼한 것은 10세 때로 이때 당시 세자가 매우 영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에요. 하지만 말이에요. 이 시절에 사도세자는 이미 아버지인 영조에게...
-
자물쇠잠글쇠의 청줏대에 부착된 탄력성 있는 V자형의 속청을 자물통에 끼워 넣어 잠그게 된다. 이 때 자물통의 열쇠구멍 및 청줏대에 부착된 속청의 크기와 구조에 맞는 열쇠가 아니면 열 수 없게 배려되었다. 중국에서는 『예기(禮記)』나 『회남자(淮南子)』 등 진(秦) · 한의 문헌에서 이미 자물쇠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주생활
-
2008년 쥐의 해, “부자 되세요~!”받는다. 뒤주는 바로 쌀독이다. 옛날에는 먹는 게 아주 중요했던 시절이라 쌀독을 차지한다는 말은 곧 가장 큰 재산을 얻는다는 말과 같다. ‘쥐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재물 복을 타고 난다’는 말이 생긴 이유다. 쥐는 남극과 뉴질랜드를 제외한 지구 전 지역에 살고 있는 설치류로,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
혜빈궁일기 惠嬪宮日記영조의 며느리이자 정조의 어머니이다. 임오화변(영조 38년 윤5월 세자가 뒤주에 갇혀 살해된 사건) 이후 영조가 내려준 칭호로, 뒤에 정조가 즉위하자 혜경궁...外廷)의 일기이다. 그 내역은 그날 있었던 일의 보고와 안건에 대하여 글이나 말로 여쭈어 올린 것들과 그에 대한 답이 주가 된다. 예시하면, 첫째 문안관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일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영묘고사 英廟故事불러들여 뒤주 속에 감금해 죽게 한 사실이 목격한 대로 기록되어 있는데, 일반 정사보다 상세하다. <천원시사 遷園時事>는 정조가 등극한 뒤 아버지가 비명에 죽었다는 사실을 슬퍼하고 당시 허술하게 거행된 장례절차와 묘지가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묘를 현륭원(顯隆園)으로 옮기기까지의 의궤(儀軌)·절차 및...
- 시대 :
- 조선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영조 연간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발치설화 拔齒說話쌀뒤주 설화」의 근원 설화로 알려져 있다. 「배비장전」에서는 정 비장이 애랑과 헤어지는 장면에 이 설화가 포함되어 있다. 애랑은 온갖 아양으로 정 비장을 꾀어내어 그의 재물과 관복을 빼앗고 상투와 앞니까지 빼앗는다. 이를 지켜보던 배 비장이 비웃으며 자신의 지조와 절개를 자신하자, 방자가 과연 그가 호색에...
- 시대 :
- 고대/남북국/고려·마진·태봉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이석문 (1713년)그에게 뒤주에 큰 돌을 올리라고 명하였지만, 죽더라도 못하겠다며 역시 거부하고 실행하지 않았다. 1762년 5월 14일 삭탈관직당하고 의금부로 끌려갔다. 영조는 의금부에서 그를 친히 직접 국문한 뒤, 곤장 50도를 가하고 도성에서 쫓아냈다. 이 일로 그는 모든 도구를 버리고(盡散宦具),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