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의 賻儀본 뜻 부(賻) - 상갓집에 보내는 재화(財貨), 즉 돈이나 물품을 말한다. 의(儀) - 의례(儀禮)를 말한다. 그러므로 부의(賻儀)는 조문하는 예의를 갖추어 전하는 돈이나 물품이란 뜻이다. 바뀐 뜻 현대에 이르러 단순히 상갓집에 내는 돈을 의미하게 되었다. 경사가 있는 곳에 내는 돈은 축의금(祝儀金)이라고 한다. 보기...
-
-
예곡문집 禮谷文集내용 2권 1책. 목판본. 1901년 6대손 근조(瑾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신헌구(申獻求)의 서문, 권말에 근조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은 시 146수, 권2는 시 94수, 부록으로 행장·가장·묘갈명·태고헌관양로연서(太古軒觀養老宴序)·유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구문유
- 창작/발표시기 :
- 1901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구근조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규장각 도서
-
-
김인환 金寅煥자족의 숙원을 달성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녹색혁명이 촉진되었다. 또한, 1981년부터 1983년까지 국제미작연구소 이사, 1981년부터 1986년까지 사단법인 한국종묘협회 회장,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농촌진흥청 농진회장을 맡아 일하였다. 1960년과 1963년 홍조소성훈장, 1972년 황조근조훈장, 1975년 은탑산업훈장을...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9년
- 사망 :
- 1989년
- 경력 :
- 경북대학교 농학과 교수, 농촌진흥청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농림행정가
- 성별 :
- 남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본관 :
- 의성(義城)
-
한산유찰 韓山遺札개설 총 18편으로 이병기(李秉岐) 편주의 『근조내간선(近朝內簡選)』에 수록되어 있다. 그 원본의 소재는 알 수 없다. 이집은 영조 때 사람으로 그의 아들 병건(秉建), 손자 산중(山重)·석중(石重)·해중(海重), 증손 규영(奎永)과 그 밖에 그들의 부인들이 상하·내외 척당간에 쓴 편지로, 부녀·모자·모녀·부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집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서간집, 한글편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반만년조선역사 半萬年朝鮮歷史조선에서부터 3국성립 이전까지를, 제2장 중고사(中古史)가 3국시대를, 제3장 남북조사(南北朝史)가 통일신라와 발해를, 제4장 고려사가 고려시대를, 제5장 근조선사(近朝鮮史)가 고종 즉위 이전까지의 조선을, 제6장 최근사가 대원군집정부터 한일합병까지를 각각 다루어 총 6장으로 되어 있다. 각 장 앞에는 해장(該章...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박해묵
- 창작/발표시기 :
- 1923년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국립중앙 도서관
-
국문학전사 國文學全史제1편을 고대문학으로 설정하고, 신화·설화·시가 등을 폭넓게 다루고 있으며, 삼국시대의 문학, 통일신라의 문학, 고려시대의 문학으로 구분하였다. 제2편을 근조문학(近朝文學)으로 설정하고, 시가문학의 난숙기에서 시조와 가사를 다루고 산문 정신의 맹아기에서 고소설을 주요하게 기술하였다. 제2부 신문학사는 제...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병기, 백철
- 창작/발표시기 :
- 1957년
- 성격 :
- 개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간행/발행 :
- 신구문화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