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로자 노무상담, 제가 근로자가 아니라고요 (관련어 근로관계)근로자는 법적인 개념입니다. 법에서 그 뜻을 정해놓고 있기 때문에 그에 비추어 근로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근로자가 아니라면 근로자를 보호하는 법의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근로자를 보호하는 법은 당연히 보호받는 사람이 '근로자일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근로자인지 아닌지 명확하지 않...
-
노동 勞動어원으로는 관계가 없지만 동일한 활동으로 생각하는 두 용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 구분은 지속해서 유지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그리스어는 ponein과 ergazesthai를, 라틴어에서는 laborare와 facere, 혹은 동일한 어원을 갖는 fabricari를, 프랑스어에서는 travailler와 ouvrer를, 독일어에서는...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기업경영정보, 한국의 인사와 노무노동법 구분 및 적용대상 개별적 근로관계법 • 근로기준법 • 최저임금법 • 산업안전보건법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남녀고용평등법 • 고용보험법 •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집단적 노사관계법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협력적 노사관계법...
-
-
-
근로기준법 勤勞基準法있는 사용자가, 그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남용하여 근로조건을 일방적으로 결정 또는 실시하는 것을 예방하려는 데 그 일차적 의의가 있다. 「근로기준법」은 근로관계의 성립·존속 또는 종료와 관련하여 일정한 권리를 근로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근로기준법」의 규정은 강행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제,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53년 5월 10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근로계약 관련 노무상담, 근로계약서는 꼭 써야 하나요명확히 하는 게 당연합니다. 만약 서류로 된 계약서가 없다면 누군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을 때 계약의 내용을 입증할 수 없어 손해를 보상받기 어렵습니다. 근로관계는 앞서 여러 번 이야기했듯이 사용자가 우월적인 지위를 갖고 맺는 관계입니다. 일반적인 법률관계가 보통 대등하다면 근로관계는 일반적으로 대등하지...
-
근로자 노무상담, 왜 근로자라고 하나요가능합니다. 근로기준법에서는 법의 보호를 받는 근로자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정의) 1.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일단 근로자에 대한 뜻을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요즘 법률 용어는 예전보다 많이 쉬워졌습니다...
-
-
산업재해 관련 노무상담, 어떤 경우에 산재 보상을 받나요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나 그에 따르는 행위를 하던 중 발생한 사고 • 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등을 이용하던 중 그 시설물 등의 결함이나 관리 소홀로 발생한 사고 •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이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서 출퇴근 중 발생한 사고 • 그 밖에 통상적인...
-
근로계약 관련 노무상담, 근로계약서에서 무엇을 살펴봐야 하나요입증해야 합니다. 이렇게 사전에 위약금을 정해놓지 못하기 때문에 손해배상 문제가 생기면 법원의 판결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근로관계의 특수성 때문에 근로자의 과실이 인정되는 경우가 많지 않고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과실이나 손해는 사용자가 감수해야...
-
취약계층 관련 노무상담, 위장도급이 무엇인가요직접 행사하는 경우, 휴가 · 병가 등 근태관리권이나 징계권을 직접 행사하는 경우, 근로자의 업무 수행에 대한 평가권을 직접 행사하는 경우, 시간 외 근로 등 근로시간 결정권을 직접 행사하는 경우 도급인의 지휘명령권 행사가 인정되면서 위장도급으로 판정될 수 있습니다. 만약 이와 같이 도급관계가 위장도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