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대적 시체방부보존법동맥주입을 통한 시체방부보존법은 18세기에 영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 이 방법은 17세기 전반기에 유명한 영국의 생리학자인 윌리엄 하비로 하여금 혈액순환을 발견하도록 이끈, 시체의 동맥에 색깔 있는 용액을 주입하는 실험을 통해서 발전되었다. 그후에 네덜란드의 과학자인 프레데리크 로이스와...
-
-
우리나라의 근대법 그 시작과 왜곡의 역사직면하는 시기가 서서히 찾아올 것이었습니다만, 불행하게도 그런 시기가 다가오기도 전에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근대 법 질서가 우리 스스로의 필요에 따라 도입되고 정비된 것이 아니라 일제의 강압에 의해 강제로 이식되어진 것이지요. 허울뿐이었던 일본식 근대적 법 이식 근대법적...
-
근대적 자본 축적을 이룬 루카 파치올리의 복식부기Luca Pacioli), 회계학의 아버지다. 1494년 11월 10일 그가 지은 《산술·기하·비율 및 비례 총람》은 유럽 전역에 복식부기를 확산시키며 주식회사 출범과 근대적 자본의 축적을 이끌었다. 괴테가 '인간의 창조물 중 가장 위대한 작품'이라고 극찬한 총람의 성격은 수학 백과사전. 아라비아 숫자를 처음 받아들인...
-
이웃 나라가 그려낸 조선의 이미지 줄기에 매달린 오이 형상에서 근대의 정교한 지도까지압록강, 두만강 이북 지역도 같이 그려지는 것이 보통이고 동해에는 울릉도와 독도가 그려지는데, 『동람도』처럼 우산도가 울릉도의 서쪽에 그려진다. 근대적인 성격의 조선지도는 이전의 전통적인 조선지도를 참고 하여 제작되지만 서양의 해도나 새로운 측량 성과를 반영하여 정교하게 제작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
근대춤 근대무용, 近代춤그러나 한 편의 공연으로 기점을 설정하기보다 사회전반의 변화를 살펴본다면, 1894년 갑오경장으로부터 1921년 해삼위학생음악단 전국순회공연까지를 근대춤에 진입하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970년대부터 발레와 모던댄스(현대무용)가 점점 전문화되어 1970년대 중반부터 한국무용에서 창작춤이 시도되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한국 근대춤의 흐름일반적으로 한국 근대춤의 출발점으로 1926년 3월 일본인 이시이 바쿠[石井漠]가 서울[京城]의 공회당에서 무용시(舞踊詩)풍의 현대춤을 공연했던 것을 든다. 비록 외국인에 의한 행사였을지라도 그 다음해에도 계속 열린 이시이 바쿠의 공연은 장식작품으로서 춤을 실내무대에서 선보인 한국 최초의 공연이었다. 그때...
-
한국 韓國지방 간에 교통상의 장벽이 되어 왔다. 압록강 · 대동강 · 한강 · 금강 · 낙동강 등의 주요 하천들은 황해와 남해로 흘러든다. 이들 하천은 20세기에 근대적인 육상교통이 발달하기 전까지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되었으며, 평양 · 한양 · 공주 · 부여 등의 역대 도읍들도 하안에 건설되었다. 또한, 대하천의 주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현대사
-
가족 家族후기 이후의 일인 것이다. 이와 같이 조선 후기에 형성된 가족의식은 일제강점기까지 거의 변화하지 않고 지속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전통적 가족원리와 근대적 가족원리 산업화 과정에서 서구 중심의 외래적인 요소, 특히 핵가족 의식이 우리 사회에 유입되고 이것이 다른 영역의 근대적인 사회의식과 맞물리면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가족